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81식 지대공유도탄

덤프버전 :

파일:일본 국기.svg 현대 일본 자위대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자위대 (1954~현재)
自衛隊
기타전차경전차특차R, M41 워커 불독R
중형전차89식 중전차 이고P/R, M4A3 (76) W HVSSR
MBT1세대61식 전차R, M47 패튼L
2세대74식 전차 (A ~ F형 · G형)
3세대90식 전차 (改)
3.5세대10식 전차
장갑차차륜형82식 지휘통신차, 87식 정찰경계차, 화학방호차,
96식 장갑차, NBC 정찰차, 장륜장갑차 (改),
수송방호차, 16식 기동전투차, {파트리아 AMV XP}, {공통전술차량 IFV형 및 정찰차형}
궤도형AAV7A1, {MAV} 73식 장갑차, 89식 장갑전투차,
73식 견인장갑차R, 73식 탄약급탄차M, 87식 포측탄약차, 99식 탄약급탄차,
자재운반차, 60식 장갑차R, M3A1 하프트랙R
차량오토바이가와사키 KLX250 정찰용 오토바이,
혼다 XLR250R · SL250SR · XL250SR · XL250RR 정찰용 오토바이/VFR400 · CB400SF 경무대용 오토바이,
야마하 XJR400 경무대용 오토바이
소형경장갑 기동차, 고기동차, 73식 소형트럭, 윌리스 MBR, J601R
트럭토요타 73식 중형트럭,
73식 대형트럭, 미쓰비시 74식 특대형트럭, 이스즈 포워드,
히노 레인저, UD 콘도르, M37R, J602R, CCKWR, J603R
트랙터M5 트랙터R
자주포자주곡사포M37 자주 유탄포L/R, 시제 56식 105mm 자주유탄포, M44 자주 유탄포R, M52 자주 유탄포R, 74식 자주 유탄포R,
75식 자주 유탄포R, 75식 改, 99식 자주 유탄포, M110A2R, 19식 차륜형 자주 유탄포
자주박격포60식 81mm 자주박격포R, 60식 107mm 자주박격포R, 96식 120mm 자주박격포, {공통전투차량 자주박격포형}
대전차 자주포M36 전차L, 60식 자주무반동포R
대함차량88식 지대함 미사일, 12식 지대함 미사일, 94식 기뢰 부설차
대공 차량자주 대공포M15A1R, M16 MGMCR, M19R, M42R, 87식 자주고사기관포
단거리 SAM81식 단거리 지대공유도탄, 93식 근거리 지대공유도탄, 11식 단거리 지대공유도탄
다목적 유도탄96식 다목적 유도탄, 중거리 다목적 유도탄
다연장로켓75식 130mm 다연장 로켓 발사기R, M270 MLRS
공병 차량구난차량M32 전차회수차R, 도로장해작업차, 70식 장갑회수차R, 78식 전차회수차,
90식 전차회수차, 11식 전차회수차, 중장륜 회수차
AEV75식 장갑 불도저, 시설작업차, 92식 지뢰 원거리 처리차량
교량 차량67식 전차교R, 70식 자주부교R, 81식 가주교, 91식 전차교, 92식 부교, 07식 기동지원교
기타78식 설상차, 10식 설상차, 경설상차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P: 의장용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L: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GSDF_Type_81C_SAM_01.jpg
파일:81sam_4-1.jpg

81式(はちいちしき 短距離(たんきょり 地対空誘導弾(ちたいくうゆうどうだん

1. 개요
2. 운용 구성
3. 제원
3.1. 미사일 제원
3.2. 발사차량 제원
4. 상세
5. 개량형
5.1. 81식 지대공 미사일(C)(短SAM改)
5.2. 短SAM(改II)/기지 방공용 지대공 미사일
6. 배치
7.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7.1. 게임
7.2. 애니메이션
7.3. 영화



1. 개요[편집]


81식 지대공 유도탄은 낡은 M51 스카이 스위퍼 75mm 대공포와 M3 하프트랙기반의 M15A1 자주대공포를 대체하고, 스팅어호크 改간의 중간급을 보완하기 위하여 방위청 기술 연구 본부와 도시바가 개발한 단거리 지대공 방공 미사일 시스템이다. 방위성은 약칭을 SAM-1, 자위대 내에서는 短-SAM(たんさむ)으로 불린다. 애칭은 Short Arrow. 현재는 전부 개량되어 사용되고 있다.


2. 운용 구성[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ype_81_SAM_-_launcher.jpg
  • 발사대 차량
이스즈 73식 대형트럭 개량형에 발사대의 준비탄 4발과 예비탄 보관용 컨테이너를 탑재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M-1_%28JASDF%29_02.jpg
  • 사격통제장치 탑재 차량
이스즈 73식 대형트럭에 탐지거리 30km의 3D 위상배열 펄스 도플러 레이다, 30kW급 전력 공급장치를 탑재했다.


3. 제원[편집]



3.1. 미사일 제원[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7%9F%ADSAM.jpg

81식 단거리 지대공 유도탄 제원
개발사일본 방위청 기술연구 본부
도시바
재조사도시바
발사 중량100kg
105kg (C형)
길이2.7m
직경0.16m
날개폭0.6m
속력마하 2.4
사거리10km
14km (C형)
최고 상승 한계3km
최저 요격 가능 고도15m
탄두고폭 파편탄두
탄두 중량9.2kg
유도레이더 보정 항법 유도 (비활성 단계)
적외선 유도 (종말 단계)
위상배열 능동 레이다 유도 (종말 단계, C형)
추진 기관1단 고체연료 로켓 모터


3.2. 발사차량 제원[편집]


81식 지대공 유도탄 발사 차량 제원
개발사이스즈 자동차
도시바
재조사이스즈 자동차
도시바
중량6.8t + ??kg
전장6.89m
전폭2.43m
전고3.08m
엔진이스즈 모델 8PC1 V형 6기통 디젤 엔진
변속기??? 6단 수동변속기 (전진 5단, 후진 1단)
현가장치리지드 액슬
최대출력210마력 (2,200rpm 에서)
최대속도90km/h(도로)
톤당 마력??hp/t
항속거리500km
도섭 가능 심도?m
주무장81식 지대공유도탄 2연장 발사기 2기
추적/유도방식레이다 추적[1] / 수동식 적외선 유도 (미사일 자체)
사거리10km
14km (C형)
추적거리30km
부무장12.7mm 중기관총 거치가능
탄약 적재량81식 단거리 지대공유도탄 8발?(준비탄 4발 + 예비탄 4발?)
탑승인원(운전병, 조작병) 2명
방어력제한적 포탄 파편 방호
장갑비장갑


4. 상세[편집]


1개 포대는 3차원 위상배열 펄스 도플러 레이다[2]를 탑재한 사격통제장치 탑재 차량 1대와 발사 차량 2대로 구성되어있다. 81식은 두 개의 목표에 대한 동시 추적 및 연속 공격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사격통제에는 패시브식의 위상배열 레이다를 사용, 발사 후 지정 포인트까지의 레이다 유도/추적 기능을 담당하며, 종말 유도 단계에서는 적외선 패시브 유도 방식을 사용한다. 신관은 근접 신관, 직접 충돌 방식 두가지이며, 5~15m의 살상 반경을 보유한다.

발사장치는 미사일 4발을 장전할 수 있고, 탑재차량에는 예비탄을 수납할 수 있는 컨테이너가 있다. 준비탄을 모두 발사하고 재장전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3분 내외라고 한다. 한편, 미사일의 비행시간이 설정값을 초과할 때, 사격통제장치를 통해 미사일에 자폭 명령을 내려 불발탄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81식 지대공 유도탄 발사차량에는 자위용 12.7mm 중기관총을 거치할 수 있으며, 전자전 상황을 대비하여 광학추적 조준구도 가지고 있고, C형의 경우 전자 광학 방해(EOCM) 상황에서도 전파탄을 사용하여 교전할 수 있다.


5. 개량형[편집]



5.1. 81식 지대공 미사일(C)(短SAM改)[편집]


파일:250px-JGSDF_Type_81C_SAM_03.jpg

1989년부터는 개량형이 개발되었는데, 1995년에 적외선/가시광선 유도 방식의 광파탄과 액티브 전파 유도 방식의 전파탄의 두 종류가 제식화되었다. 전파 방해(ECM) 상황에서는 광파탄을, 전자 광학 방해 (EOCM) 상황에서는 전파탄을 사용한다.

短SAM改는 광파 FCS를 탑재해 역방해성과 전천후성이 향상되었고, 고체 로켓 모터의 끝부분에 폴리부타디엔을 수산기로 사용해 연기를 제거했고 추진력을 증가시켜 피발견율을 감소시키고 사정거리를 증가시켰다. 사단 대공 정보 처리 시스템(DADS)와의 연계도 이루고 있으며, 발사기에도 일부 변경된 부분이 있다. 광파탄의 종말 유도 방식은 적외선/가시광선 유도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신관은 레이더 근접 신관이며, 전파탄의 종말 유도 방식은 페이즈 펄스 도플러 레이저(phased pulse doppler seeker)를 이용한 액티브 레이더 유도 방식으로, 신관은 펄스 도플러를 이용한 액티브 레이더 신관이다. 短SAM改는 육상자위대에서만 사용하고 있다.


5.2. 短SAM(改II)/기지 방공용 지대공 미사일[편집]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이루어진 대공 미사일 연구 성과를 살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개발한 개량형이다. 短SAM改와 같이 광파탄과 전파탄으로 구성되어 있고, 캐니스터 발사 방식으로 변경하여 초음속 공대지 미사일과 순항 미사일등에도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항공자위대에서는 패트리어트 미사일, 93식 근거리 지대공유도탄, 11식 단거리 지대공유도탄등과 같이 기지 근처에 다수 배치해놓고 운용하면서 공군기지와 활주로 등의 시설과 장비를 보호하고 적기와 순항미사일을 요격하는 임무를 부여하고 있으며 해상자위대도 비슷한 기지 방공임무를 갖고 운용하고 있다. 육상자위대의 경우도 즉각전인 전개가 가능함을 이용한 야전방공 등 각종 임무를 수행 하고있다.

81식 지대공 미사일을 육상자위대는 73식 대형 트럭에 항공자위대에는 고기동차에 탑재하여 운용하며 현재 많은 수의 81식 유도탄들이 거의다 이 버전으로 개량되었다.


6. 배치[편집]


현재는 최소 C형 (短SAM改) 거의 모든 81식 미사일을 短SAM(改II)로 개량을 끝마친 상태이며 항공자위대,해상자위대,육상자위대등 자위대 전체에서 사용하고 있다.

현재 육상자위대에서는 57대의 포대를 운용,야전방공등 각종 임무를 부여하고 있으며 항공자위대와 해상자위대의 경우 각각 30대,6대의 포대를 기지방공용으로 운용하고 있다.


7.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7.1. 게임[편집]


  • 워게임: 레드 드래곤 - 자위대원들이 붙인 별명인 단-SAM으로 등장. 성능은 채퍼럴 비슷하지만, 트럭 탑재식이라 도로를 따라서 진지 이동에 유리하며, 청룡덱에선 방공이 죄다 레이더인 한국 방공을 보좌하는 역할을 맡는다. 유저들 사이에서는 명중률이 매우 딸려서 탄이 샌다고 해서 탄샘이라고 부른다


7.2. 애니메이션[편집]


  • 메모리즈 체취병기 - 야마나시현 고후시에서 올라오는 독가스를 저지하지 위해 육해공 자위대 장비 중에 81식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이 등장한다. 하지만 독가스에 재밍당한 미사일이 다시돌아오면서 자폭.

  •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에서 잠깐 등장한다. 국회의사당에 배치된 발사대 앞에서 독일 국방군, 혹은 일본군으로 보이는 군복을 입고 셀카를 찍는 밀덕을 보며 경멸하는 경비병의 표정이 압권

7.3. 영화[편집]


  • 가메라: 대괴수 공중결전 - 가메라를 갸오스 동급의 적으로 오해를 받아 81식 단거리 지대공유도탄에 맞아 후지산 기슭에 추락하고, 도쿄까지 쳐 들어온 갸오스를 격추시키기 위해 그것을 엄청난 양으로 왕창 쏴서 맞추었지만 나머지 2발이 갸오스가 이리저리 피해 다니다가 도쿄타워를 맞아서 부서져 버리고 그곳에서 갸오스의 둥지를 제공해주는 역할이 되는 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9 08:35:34에 나무위키 81식 지대공유도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격통제장치 탑재차량에서 수행.[2] 전방향 탐지 모드, 구역 탐지/항적 추적 모드, 정밀 추적 모드 총 3가지 모드가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