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ll Apologies

덤프버전 :



파일:Nirvana,_In_Utero_(Logo).png
트랙리스트
[ 펼치기 · 접기 ]

제목작사 / 작곡재생 시간링크
1Serve the Servants커트 코베인3분 36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Scentless Apprentice커트 코베인, 크리스 노보셀릭
데이브 그롤
3분 48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Heart-Shaped Box커트 코베인4분 41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Rape Me2분 50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Frances Farmer Will Have Her
Revenge on Seattle
4분 09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Dumb2분 32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Very Ape1분 56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Milk It3분 55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Pennyroyal Tea3분 37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Radio Friendly Unit Shifter4분 51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Tourette's1분 35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All Apologies3분 51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onus track on non-US CD pressings
13Gallons of Rubbing Alcohol
Flow Through the Strip
커트 코베인, 크리스 노보셀릭
데이브 그롤
7분 34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nirvana-logo.png


All Apologies의 주요 수상 및 기록
[ 펼치기 · 접기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너바나 102대 명곡
[ 펼치기 · 접기 ]

2019년 롤링 스톤지가 'All 102 Nirvana Songs Ranking'을 선정.
1위Smells Like Teen Spirit
2위In Bloom
3위Sliver
4위Breed
5위Something in the Way
6위Dive
7위Lithium
8위About a Girl
9위Drain You
10위Where Did You Sleep Last Night
11위Pennyroyal Tea
12위Heart-Shaped Box
13위All Apologies
14위Serve the Servants
15위Negative Creep
16위School
17위Come as You Are
18위Love Buzz
19위Territorial Pissings
20위Dumb
21위You Know You're Right
22위Blew
23위Been a Son
24위Scentless Apprentice
25위Frances Farmer Will Have Her Revenge On Seattle
26위Lake of Fire
27위Molly's Lips
28위On a Plain
29위Polly
30위Aneurysm
31위Rape Me
32위Sappy
33위부터는 롤링 스톤지 참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000,#fff 462위
2010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b1890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010년 462위
"연도3=display:none@"
@연도3@년 @순위3@위
||}}}



All Apologies
파일:AARM.jpeg.jpg
싱글 발매일1993년 12월 6일
싱글 A면"Rape Me"
싱글 B면"Moist Vagina"
녹음일1993년 2월
수록 앨범
장르그런지
재생 시간3:50
작사/작곡커트 코베인
프로듀서스티브 알비니
스튜디오미네소타 캐넌 펄스 Pachyderm Studios
레이블DGC

1. 개요
2. 영상
3. 가사



1. 개요[편집]


너바나의 3집 In Utero에 실린 곡. 앨범이 나온지 3달 뒤에 Rape Me와 함께 더블 싱글로 발매되었다. 자기반성적인 가사와 평화로운 기타소리가 인상적인, 너바나의 곡 중에서도 가장 멜로딕한 곡 중 하나이다. Live at Reading에선 커트가 이 곡을 코트니 러브와 딸 프란시스 빈 코베인에게 바친다고 말하였다. 커트 코베인은 이 곡의 뮤직비디오를 찍고 싶어했으나 결국 제작되지는 못했다.

잔잔하게 울리는 첼로 반주가 특징이다. 1993년 11월 MTV Unplugged in New York 라이브 공연을 통해 명성을 얻은 곡이다. 아래의 유튜브 영상이 해당 공연을 녹화한 것이다.

2014년 너바나가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을 때 Lorde가 객원 보컬을 맡아 노래했다. 이외에 세인트 빈센트조안 제트가 기타를 맡았고, 소닉 유스킴 고든이 베이스를 맡아 연주했다. 이 버전에서 팻 스미어는 어쿠스틱 기타를,[1] 크리스 노보셀릭은 아코디언[2]을 맡았다.


2. 영상[편집]


MTV Unplugged in New York


3. 가사[편집]


해석에 대하여 2가지 견해가 있는데, 커트 코베인이 밝힌 것과 같이 아내인 코트니 러브에게 하는 말이라는 견해가 있고, 반어법으로 세상에 대해 빈정거리는 말이라는 시각이 있다.[3] 커트 코베인은 평화롭고 행복하고 편안한 노래이지만 가사는 그렇지 않고 큰 상관이 없다고 언급했다.

너바나의 마지막 앨범의 마지막 곡으로서, 코베인의 자살 이후 이 곡을 세상에 대한 그의 작별 인사 또는 자살 예고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Nevermind 발매 이전, 코트니 러브와의 결혼 전부터 이 곡의 초안이 구상되었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마찬가지 이유로 이 곡을 갑작스런 유명세나 아내에 대한 냉소로 여기는 것보다는 있는 그대로 미안함을 전하는 평화로운 곡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옳다는 의견이 있지만, 원안에 비해 최종본의 가사가 조금씩 어두워지고 달관한 느낌이 생긴다는 점에서 해석이 갈릴 수 있다. #

All Apologies

What else should I be?
내가 무엇을 더 할 수 있겠어?
All apologies
사과할 수 밖에
What else could I say?
내가 무엇을 더 말할 수 있겠어?
Everyone is gay
모두가 즐거워하는 걸
What else could I write?
내가 어떤 가사를 쓸 수 있겠어?
I don't have the right
난 자격이 없는 걸
What else should I be?
내가 무엇을 더 할 수 있겠어?
All apologies
사과할 수 밖에
In the sun, in the sun, I feel as one
태양 아래에서, 태양 아래에서 난 하나가 된 느낌이야
In the sun, in the sun
태양 아래에서, 태양 아래에서
Married, buried
결혼하고, 파묻혀
I wish I was like you
내가 너와 비슷했으면 좋겠어
easily amused
작은 일에도 즐거워하는 너처럼
Find my nest to salt
소금으로 내 둥지를 찾았어
everything's my fault
모든게 내 탓이지
I'll take all the blame
내가 모든 비난을 감수할게
aqua seafoam shame
푸른 바다거품같은 수치심이란
Sunburn, freezer burn
햇볕과 냉기로 태워버렸어
choking on the ashes of her enemy
그녀의 적의 잿더미로 숨이 막혀
In the sun, in the sun, I feel as one
태양 아래에서, 태양 아래에서 난 하나가 된 느낌이야
In the sun, in the sun
태양 아래에서, 태양 아래에서
Married, buried
결혼하고, 파묻혀
Married, buried
결혼하고, 파묻혀
Yeah, yeah, yeah, yeah
All in all is all we are[4] (x22)
모든 존재하는 것이 결국엔 하나야 (x22)
파일:nirvana-logo.pn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18:13:56에 나무위키 All Apologies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담으로 Unplugged 공연 때 쓰던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한다!(바로 밑의 공연 영상에 나오는 3색 어쿠스틱 기타이다.)[2] 원곡의 첼로 소리를 대체하기 위함으로 추측된다.[3] 해석#[4] 불교의 구절 중 하나다. 밴드의 이름인 너바나의 뜻이 열반이란 걸 생각해보면 뭔가 의미심장한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