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Back to Black

덤프버전 :

Back to Black의 주요 수상 실적
[ 펼치기 · 접기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
127위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000,#fff 451위
2012년}}}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2012년 451위
2020년 33위
@연도3@년 @순위3@위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2000년대 최고의 앨범
23위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파일:SPIN-300-alt.webp
스핀 선정 1985 - 2014 300대 명반
111위
















Back to Black
파일:Back to Black.webp
발매일2006년 10월 27일
녹음2005년~2006년
장르소울, R&B, 컨템퍼러리 R&B, 네오 소울
곡 수11곡
재생 시간34:56
레이블파일:아일랜드 레코드 logo.png
프로듀서마크 론슨, 살람 레미
1. 개요
2. 상세
3. 평가
4. 성적
5. 트랙 리스트
5.1. Rehab
5.2. You Know I'm No Good
5.3. Me & Mr Jones
5.4. Just Friends
5.5. Back to Black
5.6. Love Is a Losing Game
5.7. Tears Dry on Their Own
5.8. Wake Up Alone
5.9. Some Unholy War
5.10. He Can Only Hold Her
5.11. Addicted



1. 개요[편집]


2006년 발매된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두 번째 앨범이자 유작.


2. 상세[편집]


이 앨범을 녹음할 때 즈음 에이미 와인하우스는 그녀의 남자친구와 이별을 겪었다. 이 때문에 앨범의 주제와 전체적인 분위기는 꽤나 어두운 색을 띈다.[1] 전작 "Frank"가 재즈 색이 강한 앨범이었다면, 이 앨범은 소울 음악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주로 60년대의 고전 소울 음악재즈, 모타운 사운드, 레게, 필 스펙터의 월 오브 사운드 같은 곳에서 영향을 받은 음악을 선보였다. 에이미는 특히 미국의 50년대~60년대의 소울과 팝(특히 걸그룹)에 경도되어 있었고, 그 음악들의 영향을 받은 음반을 만들고 싶어했다.

그리고 에이미는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샤론 존스 & 더 댑 킹스(Sharon Jones & the Dap-Kings)[2]의 음악을 알게 된다. 이들의 복고풍 사운드에 이끌려 투어 앞좌석에 초대하기도 하면서 재즈적인 것이 아니라 R&B 사운드+레트로 팝적인 곡 만들기를 시작했다. 신곡을 만들기 시작한 에이미는 마크 론슨이 MC로 있는 뉴욕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후일 대박이 될 'Rehab' 외 여러 곡을 이 방송에서 부르는데, 이때는 이미 론슨이 프로듀싱을 맡고 샤론 존스를 제외한 더 댑 킹스가 앨범의 연주자를 맡기로 결정됐다. 자칫 잘못하면 촌스럽단 평을 받을 수도 있는 모험이었지만 프로듀서 마크 론슨[3]과 살람 레미의 세련되고 그루브한 프로듀싱,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탁월한 송라이팅 실력과 특유의 걸쭉하고 허스키한 목소리는 결과물이 독특하면서도 지극히 팝 적인 색깔을 띄게 하였다.

또한 에이미 와인하우스를 상징하는 패션 스타일인 깡마르고 검게 태닝한 몸매, 높게 틀어올린 비하이브 머리[4], 눈꼬리를 강조한 스모키 메이크업, 높은 스틸레토 힐과 팔을 온통 뒤덮은 타투도 이 앨범이 나올 때 즈음에 선보여졌다.

그래미 올해의 레코드상을 수상한 에이미 와인하우스
발매 후 비평가와 리스너들의 큰 호평을 받았으며 2008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팝 보컬 앨범상을 수상했고 올해의 앨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같은 시상식에서 에이미 와인하우스는 4개의 상[5]을 추가로 수상하여, 무려 5관왕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6] 또한 이 앨범은 2007년 브릿 어워드에서 마스터카드 브리티시 앨범 부문 후보에 올랐고 2007년 머큐리 어워드 최종 후보에도 올랐다.

비평적인 성공 뿐만 아니라 상업적인 성공도 크게 거두어 영국 앨범 차트 1위, 빌보드 200에서 2위에 오르고 영국에서 358만 장 이상, 전세계적으로 1,600만 장 이상 팔렸으며 이 앨범에서 컷된 5개의 싱글도 모두 차트 상위권에 올라 에이미 와인하우스가 00년대를 상징하는 팝스타 중 한 명으로 남는데 기여하였다.

2018년 9월, 이 앨범의 제작 과정과 인터뷰 등을 담아낸 다큐멘터리 "Amy Winehouse: Back to Black"이 개봉됐다.

3. 평가[편집]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Album Guide
★★★★☆








21세기 소울 클래식.

더 가디언 #


2000년대를 대표하는 소울 명반 중 하나로, 이 장르의 클래식에 반열에 오른 앨범이다. 비평가들의 평가와 흥행을 모두 잡아낸 작품이다.

이 앨범이 00년대 ~ 10년대 메인스트림 팝 씬에 끼친 영향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큰데, 에이미와 비슷한 소울 보컬리스트인 아델, 더피, 에스텔 등의 가수들의 이정표를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이후 00년대 후반 이미 사장된지 오래였던 영국 소울 음악의 광범위한 인기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앨범으로 자주 언급되며, 오히려 발매된지 오래된 지금 시점에 더욱 호평을 얻는 앨범이다. 이러한 평가를 반영해서인지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2012년 판에는 이 앨범의 순위가 451위였는데 2020년 개정판에는 무려 33위로 껑충 뛰어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성적[편집]


Back to Black의 주요 성적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A1A70,#47478d><#1A1A70,#191919> 파일:Ifpi.svg
IFPI Global
Album Sales
Recording Artists
of 2007

국제음반산업협회 글로벌
앨범 세일즈
레코딩 아티스트
||
||<#fff,#191919><color=#000,#fff> 2위
2007년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47478d><#1A1A70> 파일:Ifpi.svg
IFPI Global
Albums
Recording Artists of the Year
국제음반산업협회
글로벌
앨범
레코딩 아티스트
||
||<#fff,#191919><color=#000,#fff> 2007년 2위
"연도3=display:none@"
"연도4=display:none@"
"연도5=display:none@"
@연도5@년 @순위5@위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A1A70,#47478d><#1A1A70,#191919> 파일:Ifpi.svg
IFPI Global
Album Sales
Recording Artists
of 2008

국제음반산업협회 글로벌
앨범 세일즈
레코딩 아티스트
||
||<#fff,#191919><color=#000,#fff> 7위
2008년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47478d><#1A1A70> 파일:Ifpi.svg
IFPI Global
Albums
Recording Artists of the Year
국제음반산업협회
글로벌
앨범
레코딩 아티스트
||
||<#fff,#191919><color=#000,#fff> 2008년 7위
"연도3=display:none@"
"연도4=display:none@"
"연도5=display:none@"
@연도5@년 @순위5@위
||
}}}


파일:RIAA 플래티넘2.png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Platinum Certification
(2x Platinum)


미국 내 판매량 2,000,000 단위 이상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Beautiful World(앨범),
전번_아티스트=테이크 댓,
이번_앨범=Back to Black,
이번_아티스트=에이미 와인하우스,
1위_기간=2주 연속,
후번_앨범=HATS OFF TO THE BUSKERS,
후번_아티스트=뷰)]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Life in Cartoon Motion,
전번_아티스트=MIKA,
이번_앨범=Back to Black,
이번_아티스트=에이미 와인하우스,
1위_기간=1주 연속,
후번_앨범=YOURS TRULY ANGRY MOB,
후번_아티스트=카이저 칩스)]



차트 및 판매량
국가판매량순위인증
호주420,0004위6× 플래티넘
브라질250,00011위다이아몬드
오스트리아210,0001위7× 플래티넘
캐나다100,0004위플래티넘
네덜란드350,0001위5× 플래티넘
프랑스1,000,0001위2x 플래티넘
독일1,200,0001위6x 플래티넘
그리스15,0001위플래티넘
덴마크140,0001위7x 플래티넘
벨기에150,0001위3x 플래티넘
이탈리아200,0001위4x 플래티넘
스위스210,0001위7x 플래티넘
일본100,00023위골드
뉴질랜드45,0001위3x 플래티넘
스페인160,0001위2x 플래티넘
스웨덴40,0004위플래티넘
영국3,930,0001위14× 플래티넘
미국3,000,0002위2× 플래티넘
월드와이드16,000,000[7]

전세계적으로 약 1,600만장이 팔리는 대박을 기록하며 2000년대 중반 가장 많이 팔린 앨범 중 하나다. 세계 여자 가수 앨범 판매량 순위에서도 이 앨범의 이름을 볼 수 있다. 유럽 전역에서 엄청나게 많이 팔렸는데 무려 800만장이 팔렸다.

2006년 영국에서만 185만장이 팔리며, 그 해 영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 됐다. 처음에는 판매량이 저조했지만 엄청나게 롱런을 거듭해서 팔린 앨범이다. 2006년 11월 첫 등장 3위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4주 만에 톱 40권 밖으로 밀려났다. 하지만 'Rehab'이 첫 히트 싱글이 되고 연초에도 'You Know I'm No Good'가 연이어 히트하자 그 여파는 앨범 차트에도 미치기 시작했다. 2007년 1월 말에 UK 차트 1위에 처음으로 도달했다. 그로부터 거의 48주간 동안 톱10에 머물렀다.[8] 이후 이 앨범은 꾸준하게 팔리면서 현재까지 393만장이 팔리며 역대 영국에서 12번째로 가장 많이 팔린 음반이 되었다.[9] 영국에서 지금까지 꾸준하게 팔리는 스테디셀러 앨범으로 2021년 연말 차트에서 54위를 차지했다.#

미국에서도 엄청나게 롱런을 거듭해 팔린 앨범이다. 발매 당시 7위를 기록했으나, 에이미 와인하우스가 그래미상에서 상을 수상하고, 2008년 3월의 11만장을 기록해 빌보드 200 차트에서 2위를 기록했다. 이후 2008년 3월 12일 RIAA로부터 더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미국에서 300만 장이 팔렸다.


5. 트랙 리스트[편집]


트랙 리스트
#제목작사/작곡프로듀서재생 시간
1Rehab에이미 와인하우스마크 론슨3:34
2You Know I'm No Good4:17
3Me & Mr Jones살람 레미2:33
4Just Friends3:13
5Back to Black에이미 와인하우스
마크 론슨
마크 론슨4:01
6Love Is a Losing Game에이미 와인하우스2:35
7Tears Dry on Their Own에이미 와인하우스
애쉬포드 & 심슨
살람 레미3:06
8Wake Up Alone에이미 와인하우스
폴 O'더피
마크 론슨3:42
9Some Unholy War에이미 와인하우스살람 레미2:22
10He Can Only Hold Her에이미 와인하우스
리차드 포인덱스터
로버트 포인덱스터
마크 론슨2:46
11Addicted에이미 와인하우스살람 레미2:45


5.1. Rehab[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000,#fff 194위
2010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b1890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010년 194위
"연도3=display:none@"
@연도3@년 @순위3@위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117위



Rehab

  • 첫 번째로 싱글컷 된 곡.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대표곡이다. 영국 싱글차트에서 7위, 빌보드 핫 100에서 9위까지 올랐으며,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노래상과 올해의 레코드 상을 동시에 수상한 00년대 최고의 명곡 중 하나이다. 곡의 가사는 에이미 와인하우스가 마약 중독으로 인해 재활원(Rehab)에 다녀온 경험을 다루고 있다.


5.2. You Know I'm No Good[편집]


You Know I'm No Good

  • 두 번째로 싱글컷 된 곡. 영국 싱글차트에서 18위에 올랐다. 런던에서 열린 제50회 그래미상 공연 때 "Rehab"과 함께 이 곡을 불렀고, 그 모습이 전 세계에 중계됐다. 같은 영국 출신의 록 밴드인 악틱 몽키스도 이 곡을 커버했다.


5.3. Me & Mr Jones[편집]


Me & Mr Jones

  • 재즈 스탠더드로 유명한 "Me and Mrs. Jones"를 오마주한 제목이다. 레게 음악의 영향이 느껴지는 노래다.


5.4. Just Friends[편집]


Just Friends

  • 레게의 영향을 받은 스카 소울 뮤직이다.


5.5. Back to Black[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000,#fff 79위
2021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b1890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021년 79위
"연도3=display:none@"
@연도3@년 @순위3@위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1133위



Back to Black

  • 세 번째로 싱글컷 된 곡. 영국 싱글차트에서 8위에 올랐다. 이 앨범에서 가장 평가가 높은 노래 중 하나이며 가장 인기가 많은 노래 중 하나다. 유튜브 조회수는 9억뷰를 넘었으며,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노래 중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 된 노래다.
  • 영화 위대한 개츠비의 수록곡으로 사용됐으며, 비욘세André 3000이 커버했다.


5.6. Love Is a Losing Game[편집]


Love Is a Losing Game

  • 다섯 번째로 싱글컷 된 곡. 영국 싱글차트에서 33위에 올랐다. 느린 템포 발라드 넘버로 자신의 순탄치 않았던 연애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졌다. 이 곡으로 에이미는 아이버 노벨로상(Ivor Novello Awards)을 수상했다.


5.7. Tears Dry on Their Own[편집]


Tears Dry on Their Own



5.8. Wake Up Alone[편집]


Wake Up Alone

  • 앨범에서 가장 먼저 녹음된 곡이다.


5.9. Some Unholy War[편집]


Some Unholy War

  • 라디오에서 들은 홀리 워(Holy War)라는 말에서 영감을 받아 완성된 곡. 전쟁과 자신의 연애를 바탕으로 쓰여진 미들 템포의 소울뮤직이다.


5.10. He Can Only Hold Her[편집]


He Can Only Hold Her

  • 팝보다는 소울 테이스트가 강한 노래다.


5.11. Addicted[편집]


Addicted

  • 에이미 와인하우스가 본인의 마리화나 경험을 토대로 만든 노래다.



[1] 에이미 와인하우스가 약물 남용을 하게 된 데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남자친구 블레이크 필더는 이후에 그녀와 재결합했고 결혼하기에 이른다.[2] 원래 간수였던 샤론 존스가 다른 뮤지션들과 만나면서 1996년 결성되었다. 샤론 존스는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지지로 인지도가 대폭 상승해 2014년 그래미에 노미네이트 되는 등의 성공을 거뒀다. 2016년 암으로 타계.[3] Uptown Funk를 만든 그 사람 맞다.[4] 60년대 걸 그룹에게 영향을 받았다.[5] 신인상, 올해의 레코드, 올해의 노래, 여성 팝 보컬상[6] 에이미 와인하우스는 이때 마약 문제로 인해 출국을 못해 그래미 어워드에 참석하지 못하여 영국의 한 스튜디오에서 위성 중계로 상을 받고 노래를 불렀다.[7] Chartmasters에 따르면 15,940,000장이 팔렸다고 한다. #[8] 2주간만 톱10에서 나갔다.[9] 21세기로 한정하면 아델21에 이어 2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