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Blackstar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블랙스타 문서
블랙스타번 문단을
블랙스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ACEEBDB-BBA7-4102-B172-4CA1C8EC9424.jpg

David Bowie

[ Studio albums ]

파일:데이비드 보위 1집.jpg
파일:데이비드 보위 2집.jpg
파일:Man Who Sold the World.jpg
파일:Hunky Dory HQ.jpg
파일:Ziggy Stardust.jpg

1967

1969

1970

1971

1972
파일:1973_aladdinsane.jpg
파일:데이비드 보위 7집.jpg
파일:1974_diamonddogs.jpg
파일:1975_youngamericans.jpg
파일:external/f965e22d90e26db26e649d3e2b8174d9a2d80043c0d72dde2ca7f034e4bff998.jpg

1973

1973

1974

1975

1976
파일:1977_low.jpg
파일:1977_heroes.jpg
파일:external/images.rapgenius.com/b39cbf69601690e0cf43f51269268d36.998x1000x1.jpg
파일:scarymonsters.jpg
파일:데이비드 보위 15집.jpg

1977

1977

1979

1980

1983
파일:tonight-1983.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G3By43yBL._SL1300_.jpg
파일:external/resources.wimpmusic.com/1280x1280.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avid_bowie-the_buddha_of_suburbia-uk.jpg
파일:external/images.rapgenius.com/18a179bd49a2c0be8b18b647e417acec.953x953x1.jpg

1984

1987

1993

1993

1995
파일:Earthling.jpg
파일:external/consequenceofsound.files.wordpress.com/bowie-hours.jpg
파일:external/www.davidbowie.com/2002_heathen_cvr_1000sq.jpg
파일:external/innocentwords.com/david-bowie-reality.jpg
파일:external/assets.rollingstone.com/david-bowies-the-next-day-001-1361815326.jpg

1997

1999
[1]
2002

2003

2013
파일:external/img.thesun.co.uk/08_08031016_01c087_2631892a.jpg

2016
[1] Hours와 Heathen 사이에, 2001년 미공개 정규음반인 Toy가 존재. 2021년 박스셋의 일부로 공개되었다.




데이비드 보위의 스튜디오 앨범
The Next Day
2013

2016
타계[1]

★의 주요 수상
[ 펼치기 · 접기 ]

파일:브릿 어워드 로고.png브릿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
'''[[틀:브릿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2000년~2019년)|{{{#000 Brit Award for Album of the Year
(2000 ~ 2019)}}}]]'''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
72위



파일:sonemic.pngRate Your Music 전체 앨범 차트
71위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2010년대 최고의 앨범
5위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파일:external/image.bugsm.co.kr/544852.jpg
발매일2016년 1월 8일
녹음일2015년 1월 - 5월
장르아트 록, 재즈 록, 익스페리멘탈 록
재생 시간41:14
곡 수7곡
프로듀서데이비드 보위, 토니 비스콘티
레이블ISO
컬럼비아 레코드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1. 개요
2. 상세
3. 차트 성적
4. 트랙 리스트
4.1. Blackstar
4.2. 'Tis a Pity She Was a Whore
4.4. Sue (Or in a Season of Crime)
4.5. Girl Loves Me
4.6. Dollar Days
4.7. I Can't Give Everything Away



1. 개요[편집]


Look up here, I'm in Heaven.

고갤 들어 여기를 봐, 난 천국에 있어.

I've got scars that can't be seen,

난 보이지 않는 상처들을 가졌고,

I've got drama, can't be stolen.

누구도 빼앗을 수 없는 극적인 삶을 살았지.

Everybody knows me now.

이젠 모두가 나를 알아.

- 'Lazarus' 中

2016년 1월 8일 발매된 데이비드 보위의 26번째 정규 앨범이자 유작. 공식 명칭은 [2]이고 'Blackstar'라고 읽는 것. 보위가 암 투병 중에 완성한 앨범이면서 그의 69번째 생일이자 죽음 이틀 전에 발매된 앨범이었고, 자신의 죽음에 대한 직간접적인 은유와 암시를 다수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팬들에게 데이비드 보위스완송으로 여겨지는 명작이기도 하다.


2. 상세[편집]


싱글 Black Star와 Lazarus가 각각 2015년 11월 19일과 12월 17일에 발매되었고, 앨범 전체는 발매 일주일 전에 유출되었다. 보위의 투병 사실을 아무도 모르던 시점에서도 앨범에 대한 평가는 The Next Day 이상의 호평이었으며 오랜만에 돌아온 노장이 새로운 작품 세계를 열었다는 평이었다. 이후 보위가 세상을 뜬 이후에 모호해 보였던 가사와 여러 요소들의 의미가 드러나면서 더욱 극찬을 받았다. 보위의 오랜 친구이자 보위와 함께 앨범을 프로듀싱한 토니 비스콘티는 Blackstar를 "보위의 작별 선물"로 표현했다. 보위는 자신에게 죽음이 다가오는 것을 느끼고 본인의 죽음에 대한 일종의 콘셉트 앨범을 남기고 떠난 것인데, 그야말로 보위다운 마무리라 할 수 있다. 많은 락스타들이 마약과 총탄에 급작스러운 죽음을 맞거나 말년에 조용히 잊혀지는 것을 생각해보면 데이빗 보위 정도의 거물이 이 정도로 잘 계획된 유작을 남긴 예는 매우 드물다.

앨범의 녹음은 보위가 간암으로 투병하던 중 비밀리에 진행되었다. 때문에 가사의 내용은 유언에 가깝다. 동명의 타이틀곡이기도 한 Blackstar의 가사는 락스타로서의 자기 인생에 대한 소회, Lazarus에 이르러선 아예 대놓고 유언의 느낌을 풍긴다. 참고로 Lazarus는 성경에서 병으로 죽었다가 예수에 의해 되살아난 나사로[3]를 가리킨다. 사망 소식이 알려지기 전에는 난해한 이미지의 연속으로 보이던 두 곡의 뮤직비디오와 노랫말이 본인 스스로의 죽음을 예감하고 썼다고 생각하고 읽으면 오히려 직접적인 비유로 읽힌다.

상업적인 면에서는 원래 차트 1위로 가는 추세였으나 소식이 알려진 이후 2위와 몇 배 차이를 벌렸다고 한다. 미국 차트에서도 아델을 누르고 보위 앨범 중 처음으로 빌보드 1위를 기록했다.

2016년 AM 연말 집계에서는 <To Pimp A Butterfly>를 큰 차이로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

비스콘티는 앨범 녹음 당시 보위와 함께 <To Pimp A Butterfly>를 자주 들었다고 밝혔다. 재즈를 접목시킨 것에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하는 이들도 있다.

Blackstar 세션에서 만든 열두 곡 중 5곡은 앨범에 수록되지 못하였다. 세 곡(No Plan / Killing a Little Time / When I Met You)은 no plan ep에 수록되었지만 두 곡의 행방은 미지수. 두 곡 중 한 곡은 Hunky Dory 앨범 느낌의 <When Things Go Bad>이며, 또 죽기 직전 <Blaze>라는 노래를 만들었다고 한다. 보위의 낙천적인 성격이 드러나는 노래라고 하는데 언제 공개될 지를 떠나 공개 여부 자체가 불투명하다. 다만, 상술한 다섯 곡의 녹음 자체는 블랙스타 세션 도중에 이루어져 모두 완료되었다고 한다.
이외 사망 직전, 블랙스타 다음의 신규 앨범+두 번째 뮤지컬 준비를 위해 다섯 곡 정도를 더 써두고 토니 비스콘티와 녹음 일정을 조율했었다고 한다. 당시 보위도 토니도 보위가 몇 달 정도는 더 살 수 있을 것이니 진짜 마지막 앨범을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이었는데, 토니와의 통화 후 몸 상태가 급격히 나빠지고 며칠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고 한다. 토니는 보위가 종종 사용하던 휴대용 녹음기에 악상을 남겼으리라고 짐작하지만, 아직 그 곡들을 작업할 시기는 아닌 것 같다고 밝혔다.

3. 차트 성적[편집]


빌보드 200 역대 1위 앨범
25
Adele
Blackstar
David Bowie
Death of a Bachelor
Panic! At The Disco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25,
전번_아티스트=아델,
이번_앨범=Blackstar,
이번_아티스트=데이비드 보위,
1위_기간=3주 연속,
후번_앨범=Best of Bowie,
후번_아티스트=데이비드 보위)]

파일:Grammys.svg 그래미 베스트 얼터너티브 앨범
201620172018
Sound & Color
Alabama Shakes

David Bowie
Sleep Well Beast
The National

4. 트랙 리스트[편집]


트랙리스트
#제목길이
1Blackstar9:57
2'Tis a Pity She Was a Whore4:52
3Lazarus6:22
4Sue (Or in a Season of Crime)4:40
5Girl Loves Me4:51
6Dollar Days4:44
7I Can't Give Everything Away5:47


4.1. Blackstar[편집]



타이틀 곡이다.


4.2. 'Tis a Pity She Was a Whore[편집]



가엾도다, 그녀는 창녀라는 희곡에서 영감을 얻은 곡이다.


4.3. Lazarus[편집]



보위의 죽음 한 달 전 발매되어 그의 생전 마지막 싱글이 된 곡이다. 뮤직비디오 내용이 침대에서 눈에 붕대를 감고 절규하던 보위가[4] 초조해하면서 무언가[5]를 고심해서 종이에 쓰더니, 막판에 어두운 옷장 속으로 들어가는 내용이다. 그리고 이 뮤비가 발표된 지 3일 후 보위는 사망했다.


4.4. Sue (Or in a Season of Crime)[편집]





4.5. Girl Loves Me[편집]





4.6. Dollar Days[편집]





4.7. I Can't Give Everything Away[편집]



사후 싱글로 발매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1 12:16:44에 나무위키 Blackstar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No Plan(EP) / 2017
Toy / 2021
[2] 데이비드 보위의 공식 웹사이트에도 이렇게 표기되어있다.[3] 되살아난 나사로의 모습에 대하여 성경에서는 "죽은 자가 수족을 베로 동인채로 나오는데 그 얼굴은 수건에 싸였더라" 고 나온다. 뮤직비디오의 모습은 아무리 봐도 자신에게 하는 고인드립(...). 뮤직비디오속에 나오는 얼굴을 거즈로 감싸고 눈처럼 보이는 단추를 달고있는 사람의 이미지는 보위가 직접 감독에게 제시한 것이다.[4] 해당 노래 가사에 I'll be free라는 부분이 있다.[5] 가사, 혹은 유언장으로도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