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Bellator MMA

덤프버전 :

Bellator MMA[1]
파일:attachment/BMMA_Logo.png
국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설립일2008년
창립자비욘 레브니
회장스캇 코커[2]
본사미국 캘리포니아로스앤젤레스 카운티 할리우드[3]
소유주Paramount Global
링크공식 홈페이지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특징
3. 역대 챔피언
3.1. 체급별 타이틀
3.1.1. 헤비급
3.1.2. 라이트헤비급
3.1.3. 미들급
3.1.4. 웰터급
3.1.5. 라이트급
3.1.6. 페더급
3.1.7. 밴텀급
3.1.8. 여성부 페더급
3.1.9. 여성부 플라이급
3.1.10. 여성부 스트로급
3.2. 토너먼트 챔피언



1. 개요[편집]


미국종합격투기 단체.


2. 특징[편집]


미국의 2위권 종합격투기 단체로 종합격투기계 메이저리그라 할 수 있는 1위 단체 UFC와는 그 격차가 매우 벌어져 있지만, 그래도 명실상부 미국 2위이자 세계 2위 수준의 MMA 단체다.[4]

북미에는 UFC벨라토르를 제외하고도 여러 MMA 단체가 있지만, 대부분 UFC메이저로 인정하고 한 수 접고 들어가는 마이너 단체들이다. 그러나 벨라토르는 UFC와 각을 세우고 라이벌을 자처하는 단체. 대부분의 MMA 단체는 선수들과 자유 계약을 맺어 마이너 단체에서 연승행진 or 챔피언 → UFC 입성의 루트를 밟지만, 벨라토르의 챔피언은 UFC 이적이 금지되는 독점 계약을 맺는다고 한다.

UFC 또한 벨라토르를 눈엣가시로 여기는지 벨라토르의 인기 챔프였던 헥터 롬바드, 에디 알바레즈를 거액의 몸값으로 빼내왔고,[5] 벨라토르의 PPV에 카운터 방송으로 UFC 대회를 무료로 방영하는 등 대놓고 사보타주(Sabotage)를 벌이고 있다.

시즌별 주간 토너먼트란 독특한 포맷으로 방영됐고, 비UFC 단체 중에선 가장 화려한 선수층을 자랑한다.[6] 모기업이 과거 WWEUFC를 방영했던 Spike TV여서 UFC의 사보타주 및 몇몇 실책을 딛고 꿋꿋이 생존하고 있다. UFC와 격차가 크지만, 다른 MMA 단체와 달리 제법 큰 방송국의 방영권을 가지고 있으니 마이너 단체에서 메이저 단체로 거듭났다. UFC에서 퇴출됐지만 상당한 기량을 발휘했던 선수들과[7] 동유럽의 수준급 선수들 및 여러 중견 선수들이 뛰고 있다.

2014년엔 창립자였던 비욘 레브니를 퇴출시키고 스캇 코커를 영입, 벨라토르의 특징이었던 시즌별 주간 토너먼트를 폐지하는 등 여러 변화를 꾀하고 있다. 단체의 규모와 성격 때문인지 프랭크 샴락, 티토 오티즈, 랜디 커투어 등 안티 UFC 인물들이 많이 몰려있다.

2015년 9월에 킥복싱 단체인 Glory와 연합하여 다이너마이트 대회를 유치하였고 드디어 한국에서 첫 방송을 타게 되었다. 이후 KBS N 스포츠에서 계속해서 중계권을 사서 한국에서도 벨라토르를 계속해서 볼 수 있게 되었다.

2016년 2월 UFC 라이트급 전 챔피언 벤슨 헨더슨과 전 PrideStrikeforce 헤비급 파이터 세르게이 하리토노프를 영입하였다. 3월에는 PRIDE 미들급 전 챔피언 및 전 UFC 파이터 반더레이 실바도 영입했다. 8월에는 전 UFC 웰터급 탑 랭커 로리 맥도날드를 영입. 9월에는 전 UFC 미들급 탑 랭커 차엘 소넨을 영입했다.

스포티비 온2(SPOTV ON2), 스포티비 나우(SPOTV NOW)에서 중계권을 사서 한국에서도 구매권을 사면 볼 수 있었다. 2021년부터는 국내 중계를 접었다고 한다.

참고로 벨라토르 뜻은 라틴어전사.

한국인 파이터는 아직까지 없다. 사실 벨라토르 정도의 단체에서 활동할 정도면 이미 세계무대에서 실력을 인정받는 선수이기에 최고 단체인 UFC를 노리는 것이 맞지, 벨라토르에 갈 이유는 없다. 벨라토르에서 뛰는 강자들이나 유명선수들은 UFC와 관계가 좋지 않거나 더 좋은 대우를 받고 싶은 선수들, 혹은 UFC 진출 직전의 선수들이 다수인데, 동양인 선수들이 이런 이유로 UFC를 가지 않거나 나온다면 아시아 단체인 원챔피언십으로 가는게 더 낫기에 한국인 파이터의 벨라토르 진출은 앞으로도 보기 힘들 것이다. 대신 한국계 혼혈 파이터는 있었다.

보통은 어느 정도 전적이 있어야지만 입성하지만 단일 분야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고 스타성있는 선수를 종합격투기에 데뷔시키기도 한다. 애런 피코[8], 발레리 로레다[9], AJ 아가잠[10]이 벨라토르에서 프로로 데뷔했다.

3. 역대 챔피언[편집]



3.1. 체급별 타이틀[편집]



3.1.1. 헤비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콜 콘라드Bellator 322010년 10월닐 그로브
Bellator 702012년 5월에릭 프린들
2대알렉산더 볼코프Bellator 842012년 12월리치 헤일
3대비탈리 미나코프Bellator 1082013년 11월알렉산더 볼코프
Bellator 1152014년 4월칙 콩고
4대라이언 베이더Bellator 2142019년 1월표도르 예멜리야넨코
Bellator 2262019년 9월칙 콩고[11]
Bellator 2732022년 1월발렌틴 몰다브스키
Bellator 2802022년 5월칙 콩고
Bellator 2902023년 2월표도르 예멜리야넨코
잠정발렌틴 몰다브스키Bellator 2612021년 6월티모시 존슨

  • 초대 챔피언 콜 콘라드는 은퇴하며 타이틀을 반납함.
  • 3대 챔피언 비탈리 미나코프는 방어전 장기 미이행으로 타이틀 박탈.
  • 4대 챔피언 라이언 베이더는 헤비급 토너먼트를 우승하며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 라이언 베이더가 라이트헤비급 토너먼트에 참여하여 잠정 타이틀전이 열렸다.


3.1.2. 라이트헤비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크리스티안 음품부Bellator 452011년 5월리치 헤일
2대아틸라 베흐Bellator 912013년 2월크리스티안 음품부
잠정엠마누엘 뉴턴Bellator 1062013년 11월킹 모
3대엠마누엘 뉴턴Bellator 1132014년 3월아틸라 베흐
Bellator 1242014년 9월조이 벨트란
Bellator 1302014년 10월린튼 바셀
4대리암 맥기어리Bellator 1342015년 2월엠마누엘 뉴턴
Bellator MMA: Dynamite 12015년 9월티토 오티즈
5대필 데이비스Bellator 1632016년 11월리암 맥기어리
6대라이언 베이더Bellator NYC/Bellator 1802017년 6월필 데이비스
Bellator 1862017년 11월린튼 바셀
7대바딤 넴코프Bellator 2442021년 4월라이언 베이더
Bellator 2572021년 4월필 데이비스
Bellator 2682021년 10월율리우스 앙글리카스
Bellator 2772022년 4월코리 앤더슨
Bellator 2972023년 6월요엘 로메로


3.1.3. 미들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헥터 롬바드Bellator 122009년 6월재러드 헤스
Bellator 342010년 10월알렉산더 슐레멘코
2대알렉산더 슐레멘코Bellator 882013년 2월마이켈 팔캉
Bellator 982013년 9월브렛 쿠퍼
Bellator 1092013년 11월덕 마셜
Bellator 1142014년 3월브레넌 워드
3대브랜든 홀지Bellator 1062013년 11월알렉산더 슐레멘코
4대하파엘 카르발료Bellator 1442015년 10월브랜든 홀지
Bellator 1552016년 5월멜빈 만호프
Bellator 1762017년 4월멜빈 만호프
Bellator 1902017년 12월알레시오 사카라
5대게가드 무사시Bellator 2002018년 5월하파엘 카르발료
Bellator 2062018년 9월로리 맥도날드
6대라파엘 로바토 주니어Bellator 2232019년 6월게가드 무사시
7대게가드 무사시Bellator 2502020년 10월더글라스 리마
Bellator 2642021년 8월존 솔터
Bellator 2752022년 2월오스틴 밴더포드
8대조니 에블렌Bellator 2822022년 6월게가드 무사시
Bellator 2902023년 2월아나톨리 토코프
Bellator 2992023년 9월파비앙 에드워즈

  • 초대 챔피언 헥터 롬바드UFC로 이적하면서 타이틀 상실.
  • 3대 챔피언 브랜든 홀지는 Bellator 137에서 타이틀 방어전에서 계체 실패하면서 타이틀을 상실함.
  • 6대 챔피언 라파엘 로바토 주니어는 뇌동맥정맥기형으로 인하여 은퇴, 타이틀을 반납함.


3.1.4. 웰터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라이먼 굿Bellator 112009년 6월오마르 데 라 크루즈
2대벤 아스크렌Bellator 332010년 10월라이먼 굿
Bellator 562011년 10월제이 히에론
Bellator 642012년 4월더글라스 리마
Bellator 862013년 1월칼 아모소
Bellator 972013년 1월안드레이 코레시코프
3대더글라스 리마Bellator 1172014년 4월릭 혼
4대안드레이 코레시코프Bellator 1402015년 7월더글라스 리마
Bellator 1532016년 4월벤 헨더슨
5대더글라스 리마Bellator 1642016년 11월안드레이 코레시코프
Bellator NYC/Bellator 1802017년 6월로렌즈 라킨
6대로리 맥도날드Bellator 1922018년 1월더글라스 리마
Bellator 2202019년 4월존 피치
Bellator 2222019년 6월네이만 그레이시
7대더글라스 리마Bellator 2322019년 10월로리 맥도널드
8대야로슬라우 아모소프Bellator 2602021년 6월더글라스 리마
잠정로건 스톨리Bellator 2812022년 5월마이클 페이지
8대야로슬라우 아모소프Bellator 2912023년 2월로건 스톨리



3.1.5. 라이트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에디 알바레즈Bellator 122009년 6월토비 이마다
Bellator 392011년 4월팻 커란
2대마이클 챈들러Bellator 582010년 10월에디 알바레즈
Bellator 852013년 1월릭 혼
Bellator 972013년 6월데이비드 리켈스
3대에디 알바레즈Bellator 1062013년 11월마이클 챈들러
잠정윌 브룩스Bellator 1202014년 5월마이클 챈들러
4대윌 브룩스Bellator 1312014년 11월마이클 챈들러
Bellator 1362015년 4월데이브 젠슨
Bellator 1452015년 11월마르친 헬드
5대마이클 챈들러Bellator 1572016년 6월패트리키 핏불
6대브렌트 프리머스Bellator NYC/Bellator 1802017년 6월마이클 챈들러
7대마이클 챈들러Bellator 2122018년 12월브렌트 프리머스
8대패트리시오 핏불Bellator 2212019년 5월마이클 챈들러
9대패트리키 핏불Bellator 2702021년 11월피터 퀄리
10대우스만 누르마고메도프Bellator 2882022년 11월패트리키 핏불
Bellator 2922023년 3월벤슨 헨더슨
Bellator 3002023년 10월브렌트 프리머스



3.1.6. 페더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조 소토Bellator 102009년 6월야이르 레이에스
2대조 워렌Bellator 272010년 9월조 소토
3대팻 커란Bellator 602012년 3월패트리시오 핏불
Bellator 852013년 1월패트리시오 핏불
Bellator 952013년 4월샤흐불라트 샴할라예프
4대다니엘 스트라우스Bellator 1062013년 11월팻 커란
5대팻 커란Bellator 1122014년 3월다니엘 스트라우스
6대패트리시오 핏불Bellator 1232014년 9월팻 커란
Bellator 1322015년 1월다니엘 스트라우스
Bellator 1382015년 6월다니엘 바이첼
7대다니엘 스트라우스Bellator 1452015년 11월패트리시오 핏불
8대패트리시오 핏불Bellator 1782017년 4월다니엘 스트라우스
Bellator 2032018년 7월다니엘 바이첼
Bellator 2092018년 11월엠마누엘 산체스
Bellator 2282019년 9월후안 아출레타
9대A.J. 맥키Bellator 2632021년 7월패트리시오 핏불
10대패트리시오 핏불Bellator 2772022년 4월A.J. 맥키
Bellator 2862022년 10월아담 보리치


  • 9대 챔피언 A.J. 맥키는 페더급 WGP에서 우승하며 그랑프리 타이틀과 페더급 타이틀을 동시에 차지했다.

3.1.7. 밴텀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잭 마콥스키Bellator 322010년 10월에드 웨스트
2대에두아르도 단타스Bellator 652012년 4월잭 마콥스키
Bellator 892013년 2월마르코스 갈벙
Bellator 1112014년 3월앤서니 리온
잠정조 워렌Bellator 1182014년 5월하파엘 실바
3대조 워렌Bellator 1282014년 10월에두아르도 단타스
4대마르코스 갈벙Bellator 1352015년 3월조 워렌
5대에두아르도 단타스Bellator 1562016년 6월마르코스 갈벙
Bellator 1662016년 12월조 워렌
6대대리언 콜드웰Bellator 1842017년 10월에두아르도 단타스
Bellator 1952018년 3월레안드로 히고
7대호리구치 쿄지Bellator 2222019년 6월대리언 콜드웰
8대후안 아출레타Bellator 2462020년 9월패치 믹스
9대서지오 페티스Bellator 2582021년 5월후안 아출레타
Bellator 2722021년 12월호리구치 쿄지
Bellator 2972023년 6월패트리시오 핏불
잠정라우페온 스탓츠Bellator 2792022년 4월후안 아출레타
Bellator 2892021년 12월대니 사바텔로
잠정패치 믹스Bellator 2952023년 4월라우페온 스탓츠

* 7대 챔피언 호리구치 쿄지는 십자인대 파열로 인해 벨트를 자진 반납하였다.

3.1.8. 여성부 페더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줄리아 버드Bellator 1742017년 3월마를로스 코넨
Bellator 1892017년 12월알린 블랜코
Bellator 2022018년 7월탈리타 노게이라
Bellator 2242019년 7월올가 루빈
2대크리스 사이보그Bellator 2382020년 1월줄리아 버드
Bellator 2492020년 10월알린 블랜코
Bellator 2592021년 3월레슬리 스미스
Bellator 2712021년 11월시네드 카바나흐
Bellator 2792022년 4월알린 블랜코
Bellator 3002023년 10월캣 진가노


3.1.9. 여성부 플라이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일리마 레이 맥팔레인Bellator 1862017년 11월에밀리 듀코트
Bellator 2012018년 6월알레한드라 라라
Bellator 2132018년 12월발레리 레토뉴
Bellator 2202019년 4월베타 아르테가
Bellator 2362019년 12월케이트 잭슨
2대줄리아나 벨라스케즈Bellator 2542020년 12월일리마 레이 맥팔레인
Bellator 2622021년 7월데니스 키엘홀츠
3대리즈 카무치Bellator 2782022년 4월줄리아나 벨라스케즈
Bellator 2892022년 12월줄리아나 벨라스케즈
Bellator 2942023년 4월디애나 베넷
Bellator 3002023년 10월일리마 레이 맥팔레인

3.1.10. 여성부 스트로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조일라 거젤Bellator 342010년 10월후지이 메구미

  • 조일라 거젤이 인빅타FC로 옮기면서 타이틀 상실. 이후 벨라토르에서 여성부 스트로급 타이틀 매치는 없다.


3.2. 토너먼트 챔피언[편집]


대회명체급우승날짜준우승
Bellator 10페더급조 소토2009년 6월야이르 레이에스
Bellator 11웰터급라이먼 굿2009년 6월오마르 데 라 크루즈
Bellator 12미들급헥터 롬바드2009년 6월재러드 헤스
Bellator 12라이트급에디 알바레즈2009년 6월토비 이마다
Bellator 21라이트급팻 커란2010년 6월토비 이마다
Bellator 22웰터급벤 아스크렌2010년 6월댄 혼버클
Bellator 23미들급알렉산더 슐레멘코2010년 6월브라이언 베이커
Bellator 23페더급조 워렌2010년 6월패트리시오 핏불
Bellator 32헤비급콜 콘라드2010년 10월닐 그로브
Bellator 32밴텀급잭 마콥스키2010년 10월에드 웨스트
Bellator 34여성부 스트로급조일라 거젤2010년 10월후지이 메구미
Bellator 43웰터급제이 히에론2011년 7월릭 혼
Bellator 44라이트급마이클 챈들러2011년 5월패트리키 핏불
Bellator 45라이트헤비급크리스티안 음품부2011년 5월리치 헤일
Bellator 45페더급패트리시오 핏불2011년 5월다니엘 스트라우스
Bellator 48페더급팻 커란2011년 8월말론 산드로
Bellator 57미들급알렉산더 슐레멘코2011년 11월비토 미란다
Bellator 57웰터급더글라스 리마2011년 11월벤 사운더스
Bellator 59밴텀급에두아르도 단타스2011년 11월알렉시스 비야
Bellator 62헤비급에릭 프린들2012년 3월티아고 산토스
Bellator 68페더급다니엘 스트라우스2012년 5월말론 산드로
Bellator 69미들급마이켈 팔캉2012년 5월안드레아스 스팡
Bellator 70라이트급릭 혼2012년 5월브렌트 위드먼
Bellator 72웰터급칼 아모소2012년 6월브라이언 베이커
Bellator 73밴텀급마르코스 갈벙2012년 8월루이스 노게이라
Bellator 73라이트헤비급아틸라 베흐2012년 8월트래비스 위프
Bellator 82웰터급안드레이 코레시코프2012년 11월라이먼 굿
Bellator 84헤비급알렉산더 볼코프2012년 12월리치 헤일
Bellator 90페더급샤흐불라트 샴할라예프2013년 2월래드 마르티네즈
Bellator 93라이트급데이브 젠슨2013년 3월마르친 헬드
Bellator 94라이트헤비급엠마누엘 뉴턴2013년 3월미하일 자야츠
Bellator 94라이트급데이비드 리켈스2013년 3월사드 아와드
Bellator 95미들급덕 마셜2013년 4월브렛 쿠퍼
Bellator 95페더급마고메드라술 하스불라예프2013년 4월마이크 리치먼
Bellator 97헤비급비탈리 미나코프2013년 7월라이언 마르티네스
Bellator 97라이트헤비급킹 모2013년 7월제이콥 노
Bellator 100웰터급더글라스 리마2013년 9월벤 사운더스
Bellator 102밴텀급하파엘 실바2013년 10월앤서니 레온
Bellator 107헤비급칙 콩고2013년 11월피터 그라함
Bellator 107미들급브레넌 워드2013년 11월미켈 파를로
Bellator 107밴텀급조 워렌2013년 11월트래비스 막스
Bellator 108페더급패트리시오 핏불2013년 11월저스틴 윌콕스
Bellator 109웰터급릭 혼2013년 11월론 키슬러
Bellator 109라이트급윌 브룩스2013년 11월알렉산더 사나브스키
Bellator 119페더급다니엘 바이첼2014년 5월데스몬드 그린
Bellator 120헤비급알렉산더 볼코프2014년 5월블라고이 이바노프
Bellator 120라이트헤비급퀸튼 잭슨2014년 5월킹 모
Bellator 122미들급브랜든 홀지2014년 6월브렛 쿠퍼
Bellator 122웰터급안드레이 코레시코프2014년 6월애덤 맥도너
Bellator 124라이트헤비급리암 맥기어리2014년 6월켈리 애넌드슨
Bellator 126라이트급마르친 헬드2014년 6월패트리키 핏불
Bellator MMA: Dynamite 1라이트헤비급필 데이비스2015년 9월프란시스 카몽
Bellator 214헤비급라이언 베이더2019년 1월표도르 예멜리야넨코
Bellator 232웰터급더글라스 리마2019년 10월로리 맥도널드
Bellator 263페더급A.J. 맥키2021년 7월패트리시오 핏불
Bellator 288라이트헤비급바딤 넴코프2022년 11월코리 앤더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1 14:49:38에 나무위키 Bellator MMA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전명칭 Bellator Fighting Championships[2] 2014년 취임[3] 전 위치는 캘리포니아주 산타모니카[4] 그 위상은 여전하지만, (구 WSOF) PFL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로리 맥도날드가 소속되어 있고, 저스틴 게이치, 말론 모라에스, 블라고이 이바노프 등의 컨텐더들이 이 단체 출신. 또한 전세계로 범위를 넓혀도 아시아 MMA 단체 부동의 1위인 싱가포르One Championship이 있으며 벨라토르와의 그 격차도 점차 좁아지고 있다. 혹자는 북미 시장이 더 크지 않냐 하지만, 북미 시장이 더 커도 UFC 몰빵이 심하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북미 시장이 곧 세계 시장의 중심이라는 점도 간과할 순 없다. 현재는 PFL이 생각보다 평가가 좋지 않은지 각종 커뮤니티나 사이트에서 MMA 프로모션 랭킹을 선정할 때, PFL은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지도 못하고 있고, One Championship 역시 벨라토르는커녕 3위권 단체인 러시아ACA에 밀려 4위권에 랭크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당분간 벨라토르의 2위 자리는 견고할 듯 하다.[5] 에디 알바레즈는 이 과정에서 벨라토르와 수년간 법정싸움을 벌였다.[6] UFC의 토너먼트인 TUF는 신인왕전 개념이었지만, 벨라토르의 토너먼트는 도전자 결정전 개념.[7] 티토 오티즈, 칙 콩고, 벤 사운더스, 퀸튼 잭슨, 필 데이비스, 조시 톰슨, 프란시스 카몽 등. 단, 퀸튼은 다시 UFC로 돌아간다 깽판치는 중이고 결국 돌아갔다. 그런데 다시 벨라토르로 돌아왔다.[8] 1996년생으로 2014, 2015 레슬링 주니어 선수권대회 2, 3위등 주니어 레슬러 시절 탑 랭커였고 복싱도 골든 글러브 우승경력이 있다. 데뷔후 4승 3패를 거뒀으나 6연승을 거두고 있다.[9] 1998년생 쿠바계 미국인으로 태권도 국가대표에 선정된적이 있다. 아메리칸 탑 팀에서 훈련받고 있으며 프로데뷔 후 4승 1패의 전적을 거두고 있다.[10] 1990년생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NCAA 디비전 l 레슬러 출신이며 노기 주짓수로 전향 후 여러 대회에서 수상하며 이름을 떨쳤다. 다만 트래쉬 토크에도 능해 악동이미지까지 가지고 있었다. 데뷔 후 전적은 5승 2패인데 마지막 패에데해 무기력하게 졌지만 불합리하다고 항의하고 정신승리를하다가 벨라토르에 찍혀서 방출되었다.[11] 아이포크로 인하여 무효 처리되어 방어에 성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