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ONE Championship

덤프버전 :

ONE Championship[1]
파일:ONE_Championship_company_logo.png
국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설립일2011년 7월 14일
창립자차트리 싯요통
회장차트리 싯요통
경영진사우라브 미탈
후아 펑 테
빅터 치
리치 프랭클린
맷 흄
본사싱가포르 프레이저 스트리트
소유주Group One Holdings Pte. Ltd.
링크공식 홈페이지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대한민국 중계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파일:쿠팡플레이 로고 화이트.svg

1. 개요
2. 특징
2.1. 평체 계체
2.2. 타이틀
2.2.1. MMA 타이틀
2.2.1.1. 체급별 챔피언
2.2.1.1.1. 헤비급
2.2.1.1.2. 라이트헤비급
2.2.1.1.3. 미들급
2.2.1.1.4. 웰터급
2.2.1.1.5. 라이트급
2.2.1.1.6. 페더급
2.2.1.1.7. 밴텀급
2.2.1.1.8. 플라이급
2.2.1.1.9. 스트로급
2.2.1.1.10. 스트로급(여성)
2.2.1.1.11. 아톰급(여성)
2.2.2. 킥복싱 타이틀
2.2.2.1. 체급별 챔피언
2.2.2.1.1. 라이트헤비급
2.2.2.1.2. 라이트급
2.2.2.1.3. 페더급
2.2.2.1.4. 밴텀급
2.2.2.1.5. 플라이급
2.2.2.1.6. 스트로급
2.2.2.1.7. 아톰급(여성)
2.2.3. 무에타이 타이틀
2.2.3.1. 체급별 챔피언
2.2.3.1.1. 헤비급
2.2.3.1.2. 라이트급
2.2.3.1.3. 페더급
2.2.3.1.4. 밴텀급
2.2.3.1.5. 플라이급
2.2.3.1.6. 스트로급
2.2.3.1.7. 스트로급(여성)
2.2.3.1.8. 아톰급(여성)
2.2.4. 서브미션 그래플링 타이틀
2.2.4.1. 체급별 챔피언
2.2.4.1.1. 웰터급
2.2.4.1.2. 라이트급
2.2.4.1.3. 플라이급
2.2.4.1.4. 아톰급(여성)
2.2.5. 토너먼트 챔피언
3. 기타


1. 개요[편집]


싱가포르에 위치한 종합격투기/입식격투기/서브미션 그래플링 단체다.

전세계 최고의 입식격투기 단체이자, 미국의 UFC, 벨라토르 이은 세계 3~4위권[2]의 1부 리그 종합격투기 단체이며, 아시아에선 부동의 1위 단체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입식격투는 현 대표인 차트리 싯요통부터가 태국 낙무아이 출신인지라 탑급 낙무아이부터 유명 킥복서까지 높은 수준의 선수를 대거 보유해 업계 최고라 평받는 중.


2. 특징[편집]


종합격투기 단체로 출범하였지만, 킥복싱, 복싱, 무에타이, 렛웨이[3] 경기도 유치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그래플링 매치 또한 유치하고 있다. 아무래도 단체의 규모와 선수층을 키우기 위해서 이런 결정을 내린 듯. 동남아 지역이다 보니 무에타이와 렛웨이의 인기가 매우 뜨겁기 때문이다.

덕분에 종합격투기 단체임에도 글로리 킥복싱이 자금난으로 몰락한 2020년 이후 기준으론 세계 제일의 입식격투기 단체 소리도 듣고 있다. 무에타이 분야에서는 룸피니와 랏차담넌을 평정했던 괴물급 낙무아이를 다수 볼 수 있으며, 킥복싱 분야에선 K-1과 글로리 킥복싱에서 활약했던 조르지오 페트르시안, 엔리코 켈, 칭키즈 알라조프 등 간판급 유명 킥복서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다만, 화제성이 높은 헤비급 타이틀이 없다는 점이나 헤비급의 최강자인 리코 베르후번, 인지도가 높은 바다 하리, 알리스타 오브레임[4] 등이 아직 글로리에 남아있어, 부동의 1위 단체로 등극하긴 했으나 아주 절대적인 위상을 차지하기엔 조금 더 시일이 걸릴 듯 하다.[5]

선수들에게 파이트머니를 많이 주고, 복지나 대우가 좋은 단체로 상당히 유명하다. 수상할 정도로 자본력이 대단해서, 타 단체에 비해 파이트머니를 꽤나 많이 주고 선수생명이나 대우, 복지에 대해 많이 투자한다고 알려져있다. 당연히 기본급의 단위가 크고, PPV 수익을 얹어서 받게 되는 UFC의 슈퍼스타들은 제외.[6] 물론 선수들마다 달라서 비교하기 어렵지만 추성훈의 경우, 추성훈이 방송에서 한 말에 따르면 복귀전에서 보너스로는 6000만원, 그리고 기본급으로 무려 강남아파트 살 돈을 파이트머니로 받았다고 한다. 그 말은 아무리 낮게 쳐줘도 6억 이상의 파이트머니를 기본 대전료로 받았다는 말인데 추성훈이 UFC에서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기본급은 최대 2~3억 정도이다. 이처럼 기본급이나 승리 보너스를 상당히 많이 준다고 볼 수 있다.

종합격투기 절대강자 UFC에 이어 북미의 벨라토르, 러시아의 ACA와 세계 2위 자리를 두고 경쟁 중인 범세계적 규모의 1부 리그 프로모션이라고 평가받고 있다.[7] 아시아에선 일본의 Rizin FF를 밀어내고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선수풀도 전UFC 소속의 챔피언 드미트리우스 존슨, 에디 알바레즈와 계약을 체결하여 대외적인 유명세를 얻었고, 사실 대외적인 인기를 얻기 전에도 젠스 펄버브랜든 베라 등의 UFC 파이터들과도 계약을 체결한 적이 있었다. UFC로 이적하고 은퇴한 벤 아스크렌이 웰터급 챔피언이었으며, 한국의 김수철 선수가 밴텀급 챔피언이었던 적도 있다. 오랜 기간 UFC와 갈등을 일으키던 프란시스 은가누와도 몇 차례 접촉한 적이 있으며 은가누가 아예 UFC를 나온 후로는 무려 2천만 달러의 금액에 영입 직전까지 갔으나 은가누가 당당하게 이사회 자리까지 요구하자 빡친 싯요통 회장이 협상을 엎어버리면서(...) 결국 무산되었고 은가누는 PFL로 향했다.

그 외에도 추성훈, 오카미 유신, 세이지 노스컷, 아오키 신야 등 한국에서도 인지도 있는 선수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는 오뚜기 김대환, 김재웅, 김규성, 박대성, 송민종, 윤창민, 명현만, 권원일, 배명호, 옥래윤, 강지원, 함서희, 진태호 등의 한국 선수들이 활동하고 있다.

과거에는 동남아시아인을 밀어주었다. 일례로 아오키 신야비비아노 페르난데스가 챔피언 시절 각기 4~5회의 방어전을 성공하여 적수가 없어 페더급 챔프인 마틴 은구옌과 슈퍼 파이트를 희망했으나 이를 무시하다가 에두아르도 폴라양과 마틴 은구옌이 각기 체급의 챔프가 되자마자 슈퍼파이트를 추진했다.

물론 매치라는 게 자국인 위주로 돌아가는 것은 격투기 단체 특성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은 있다지만[8], 그래도 근래 들어서는 북미나 한국 시장을 노리는지 UFC 출신 및 한국 로컬 선수 영입이 활발해지고, 영입된 선수들을 흥행카드, 혹은 본인들이 밀어주는 선수들의 재물로 쓰기 위해 새로운 선수들에게 기회를 많이 주는 편이다.

경기는 대부분 싱가포르 인도어 스타디움에서 치러지지만, 2023년에는 태국 육군과 협약을 맺고 무에타이의 성지인 룸피니 스타디움에서 거의 모든 경기를 소화하고 있다. 대체로 상징성과 수익성을 원큐에 챙긴 한 수로 평가받고 있다.


2.1. 평체 계체[편집]


대부분의 격투 단체들과 투기 종목들이 사전계체를 채택하고 있는 반면 One Championship은 평체계체를 시행하고 있다.

중국인 선수가 감량 중 탈수 증세로 사망한 것을 계기로 일정기간 동안 소변테스트를 통해 수분 함량을 일정 이상 유지시켜야 하고, 계체 체중 그대로 파이트하는 방식으로 바뀐 것.

그래서 체급당 표기 체중을 보통의 사전계체방식 단체에서 쓰는 것보다 라이트급 기준으로 8Kg더 높게 표기하고 있는데, 이는 보통의 사전계체단체에서 실제 경기 체중이 평균적으로 체급보다 8Kg 높은 것을 반영한 듯 하다.

다만 지방감량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UFC선수들보다 커다란 감은 있다. 또한 사전계체단체가 리게인 양에 따라 선수들의 사이즈가 천차만별인 것과 달리 평체 계체인 만큼 체급 내에 작은 유닛이 잘 없는 편.

그러나 이것과 별개로 One Championship의 계체방식은 공개 계체가 아니기 때문에 계체 관련 치팅 의혹이 종종 나온다. 실제로 평체 계체를 감안해도 사이즈가 과도한 파이터들이 나오기 때문.[9]

One Championship 경기들이 대체로 체력적 퍼포먼스가 좋은데 이는 약물 검사를 하지 않는 것으로 인한 도핑도 있겠지만 수분감량을 하지 않기 때문에 체력적으로 무리가 덜 가는 것일 수도 있다.

밴텀급 차기 타이틀 주자로 거론까지 됐었으나 잦은 감량 실패와 이로 인한 컨디션 난조로 인해 UFC에서 방출된 존 리네커는 원으로 이적 후 물 만난 고기 신세.


2.2. 타이틀[편집]



2.2.1. MMA 타이틀[편집]


헤비급아나톨리 말리킨
라이트헤비급아나톨리 말리킨
미들급레이니어 데 리더
웰터급크리스천 리
라이트급크리스천 리
페더급탕 카이
밴텀급파브리시오 안드라지
플라이급드미트리우스 존슨
스트로급제라드 브룩스
스트로급(여성)시옹 진난
아톰급(여성)스탬프 페어텍스


2.2.1.1. 체급별 챔피언[편집]


2.2.1.1.1. 헤비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브랜든 베라ONE: Spirit of Champions2015년 12월 11일폴 쳉
ONE: Age of Domination2016년 12월 2일세키네 히데키
ONE: Conquest of Champions2018년 11월 23일마우로 세실리
2대아르잔 불러ONE: Dangal2021년 5월 15일브랜든 베라
잠정아나톨리 말리킨ONE Championship: Bad Blood2022년 2월 11일키릴 그레센코
3대아나톨리 말리킨ONE Friday Fights 222023년 6월 23일아르잔 불러

* 2대 챔피언 아르잔 불러의 계약 분쟁으로 인하여 잠정 챔피언전이 열렸다.


2.2.1.1.2. 라이트헤비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호저 그레이시ONE: Ascent to Power2016년 5월 6일미칼 파스터낙
2대아웅 라 은상ONE: Quest for Gold2018년 2월 23일알렉슨드레 마차도
ONE: Century − Part 22019년 10월 23일브랜든 베라
3대레이니어 데 리더ONE on TNT 42021년 4월 28일아웅 라 은상
4대아나톨리 말리킨ONE on Prime Video 52022년 12월 3일레이니어 데 리더

* 초대 챔피언인 호저 그레이시가 은퇴 선언하면서 타이틀을 반납함


2.2.1.1.3. 미들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이고르 스비리드ONE: Battle of the Lions2014년 11월 7일레안드로 아타이데스
2대비탈리 빅대시ONE: Tigers of Asia2015년 10월 9일이고르 스비리드
ONE: Quest for Power2014년 6월 14일아웅 라 은상
3대아웅 라 은상ONE: Light of a Nation2017년 6월 30일비탈리 빅대시
ONE: Spirit of a Warrior2018년 6월 29일하세가와 켄
ONE: Pursuit of Greatness2018년 10월 26일모하마드 카라키
ONE: A New Era2019년 3월 31일하세가와 켄
4대레이니어 데 리더ONE: Inside the Matrix2020년 10월 30일아웅 라 은상
ONE Championship: Full Circle2022년 2월 25일키암리안 압바소프
ONE 1582022년 7월 22일비탈리 빅대시


2.2.1.1.4. 웰터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스즈키 노부타츠ONE: War of Nations2014년 5월 14일브록 라슨
2대벤 아스크렌ONE: Reign of Champions2014년 8월 29일스즈키 노부타츠
ONE Championship: Valor of Champions2015년 4월 24일루이스 산토스
ONE Championship: Dynasty of Heroes2017년 5월 26일안젤라 타니
ONE Championship: Shanghai2017년 9월 2일제바스티안 카데스탐
ONE Championship: Immortal Pursuit2017년 11월 24일아오키 신야
3대제바스티안 카데스탐ONE: Warrior's Dream2018년 11월 17일타일러 맥과이어
ONE Championship: Reign of Valor2019년 3월 8일게오르기 키치긴
4대키암리안 압바소프ONE: Dawn Of Valor2019년 10월 25일제바스티안 카데스탐
ONE Championship: Inside the Matrix 22020년 11월 6일제임스 나카시마
5대크리스천 리ONE on Prime Video 42022년 11월 19일키암리안 압바소프

* 2대 챔피언인 벤 아스크렌은 UFC로 이전하면서 타이틀 반납함.
* 4대 챔피언인 키암리안 압바소프는 계체에 실패하여 타이틀이 박탈된 상태에서 크리스천 리와 대결함.


2.2.1.1.5. 라이트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박광철ONE: Rise of Kings2012년 10월 6일조로바벨 모레이라
2대아오키 신야ONE: Kings and Champions2014년 8월 29일박광철
ONE: Reign of Champions2014년 8월 29일카말 샬로루스
ONE: Warrior's Quest2015년 5월 22일안도 코지
3대에두아르드 폴라양ONE: Defending Honor2016년 11월 11일아오키 신야
ONE: Kings of Destiny2014년 4월 21일에브 팅
4대마틴 누옌ONE: Legends of the World2017년 11월 10일에두아르드 폴라양
5대에두아르드 폴라양ONE: Conquest of Champions2018년 11월 23일아미르 칸
6대아오키 신야ONE: A New Era2019년 3월 31일에두아르드 폴라양
7대크리스천 리ONE: Enter the Dragon2019년 5월 17일아오키 신야
ONE Championship: Inside the Matrix2020년 10월 30일유리 라피쿠스
ONE on TNT 22021년 4월 14일티모페이 나스튜킨
8대옥래윤ONE Championship: Revolution2021년 9월 24일크리스천 리
9대크리스천 리ONE 1602022년 8월 27일옥래윤

* 4대 챔피언 마틴 누옌은 부상으로 인하여 타이틀을 유지할 수 없어 반납함


2.2.1.1.6. 페더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호노리오 바나리오ONE: Return of Warriors2013년 2월 12일에릭 켈리
2대오이시 코지ONE FC: Rise to Power2013년 5월 31일호노리오 바나리오
ONE Championship: Valor of Champions2013년 12월 6일호노리오 바나리오
3대자담바 나란퉁가락ONE: Reign of Champions2014년 8월 29일오이시 코지
잠정마랏 가푸노프ONE: Odyssey of Champions2015년 9월 27일마틴 누옌
4대마랏 가푸노프ONE: Dynasty of Champions (Beijing II)2015년 11월 21일자담바 나란퉁가락
ONE: Kingdom of Champions2016년 5월 27일요코타 카즈노리
ONE: Defending Honor on2016년 11월 11일자담바 나란퉁가락
5대마틴 누옌ONE: Quest for Greatness2017년 8월 18일마랏 가푸노프
ONE: Unstoppable Dreams2018년 5월 18일크리스천 리
ONE: Roots of Honor2019년 4월 12일자담바 나란퉁가락
ONE: Dawn of Heroes2019년 8월 2일마쓰시마 코요미
6대탄 리ONE: Inside the Matrix2020년 10월 30일마틴 누옌
ONE: Lights Out2022년 3월 11일개리 토논
7대탕카이ONE 1602022년 8월 26일탄 리
잠정탄 리ONE Fight Night 152023년 10월 7일일야 프레이마노프

*7대 챔피언 탕카이의 부상으로 잠정챔피언전이 열림.


2.2.1.1.7. 밴텀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김수철ONE: Rise of Kings2012년 10월 6일레안드로 이사
잠정비비아노 페르난데스ONE: Rise to Power2013년 5월 31일오카자키 코에츠
2대비비아노 페르난데스ONE: Total Domination2013년 10월 19일김수철
ONE FC: Rise of Heroes2014년 5월 2일우에다 마사카츠
ONE FC: Warrior's Way2014년 12월 5일김대환
ONE: Kingdom of Warriors2015년 7월 18일토니 타우루
ONE: Dynasty of Champions (Changsha)2016년 1월 23일케빈 벨링건
ONE: Age of Domination2016년 12월 2일리스 맥라렌
ONE: Kings & Conquerors2017년 8월 5일앤드류 레온
ONE: Iron Will2018년 3월 24일마틴 응구옌
잠정케빈 벨링건ONE: Reign of Kings2018년 7월 27일마틴 응구옌
3대케빈 벨링건ONE: Heart of the Lion2018년 11월 9일비비아노 페르난데스
4대비비아노 페르난데스ONE: A New Era2019년 3월 31일케빈 벨링온
ONE: Century − Part 12019년 10월 13일케빈 벨링온
5대존 리네커ONE Championship: Lights Out2022년 3월 11일비비아노 페르난데스
ONE on Prime Video 32022년 10월 22일파브리시오 안드라지[10]
6대파브리시오 안드라지ONE Fight Night 72023년 2월 25일존 리네커

  • 초대 챔피언 김수철의 부상 공백으로 잠정 타이틀전이 열림
  • 5대 챔피언 존 리네커는 파브리시오 안드라데와의 경기에서 계체에 실패하면서 타이틀도 박탈됨


2.2.1.1.8. 플라이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아드리아누 모라에스ONE: Rise of the Kingdom2014년 9월 12일제헤 유스타키오
ONE: Age of Champions2015년 3월 13일미카미 아스카
2대카이랏 아크메도프ONE: Dynasty of Champions (Beijing II)2015년 11월 21일아드리아누 모라에스
잠정아드리아누 모라에스ONE: Heroes of the World2016년 8월 13일틸렉 바타이로프
3대아드리아누 모라에스ONE: Kings & Conquerors2017년 8월 5일카이랏 아크메도프
ONE: Legends of the World2017년 11월 10일대니 킹애드
잠정제헤 유스타키오ONE: Global Superheroes2018년 6월 26일카이랏 아크메도프
4대제헤 유스타키오ONE: Pinnacle of Power2018년 6월 23일아드리아누 모라에스
5대아드리아누 모라에스ONE: Hero's Ascent2019년 1월 25일제헤 유스타키오
ONE on TNT 12021년 4월 7일드미트리우스 존슨
ONE Championship: X2022년 3월 26일와카마츠 유야
6대드미트리우스 존슨ONE on Prime Video2022년 8월 27일아드리아누 모라에스
ONE Fight Night 102023년 5월 6일아드리아누 모라에스


2.2.1.1.9. 스트로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데잠롱 소르 암네이시리촉ONE: Warrior's Quest2015년 5월 22일로이 돌리게즈
2대나이토 요시타카ONE: Kingdom of Champions2016년 5월 27일데잠롱 소르 암네이시리촉
ONE: State of Warriors2016년 10월 7일조슈아 파키오
3대알렉스 실바ONE: Warriors of the World2017년 12월 9일나이토 요시타카
4대나이토 요시타카ONE: Grits And Glory2018년 5월 12일알렉스 실바
5대조슈아 파키오ONE: Conquest of Heroes2018년 9월 22일나이토 요시타카
6대사루타 요스케ONE Championship: Eternal Glory2019년 1월 19일조슈아 파키오
7대조슈아 파키오ONE Championship: Roots of Honor2019년 4월 12일사루타 요스케
ONE: Masters Of Fate2019년 11월 8일레네 카탈란
ONE: Fire & Fury2020년 1월 31일알렉스 실바
ONE Championship: Revolution2021년 9월 24일사루타 요스케
7대제라드 브룩스ONE 1642022년 12월 3일조슈아 파키오


2.2.1.1.10. 스트로급(여성)[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시옹 진난ONE Championship: Kings of Courage2018년 1월 20일티파니 테오
ONE Championship: Pinnacle of Power2018년 1월 23일로라 볼린
ONE Championship: Beyond the Horizon2018년 9월 8일사마라 산토스
ONE Championship: A New Era2019년 3월 31일안젤라 리
ONE Championship: Inside the Matrix2020년 10월 3일티파니 테오
ONE Championship: Empower2021년 9월 3일미첼 니콜리니
ONE Championship: Heavy Hitters2022년 1월 14일미우라 아야카
ONE on Prime Video 22022년 10월 1일안젤라 리


2.2.1.1.11. 아톰급(여성)[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안젤라 리ONE: Ascent to Power2016년 5월 6일야마구치 메이
ONE: Warrior Kingdom2017년 3월 11일제니 황
ONE: Dynasty of Heroes2017년 5월 26일이스텔라 누네스
ONE: Unstoppable Dreams2018년 5월 18일야마구치 메이
ONE: Century − Part 12019년 10월 13일시옹 진난
ONE Championship: X2022년 3월 26일스탬프 페어텍스
2대스탬프 페어텍스ONE Fight Night 142023년 9월 30일함서희

* 초대 챔피언인 안젤라 리는 동생인 빅토리아의 죽음으로 인한 충격으로 타이틀을 반납함.


2.2.2. 킥복싱 타이틀[편집]


라이트헤비급로만 크리클리아
라이트급레기안 에르셀
페더급칭기즈 알라조프
밴텀급조나단 해거티
플라이급수퍼렉 키앗무 9
스트로급조나단 디 벨라
아톰급(여성)자넷 토드


2.2.2.1. 체급별 챔피언[편집]


2.2.2.1.1. 라이트헤비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로만 크리클리아ONE: Age Of Dragons2019년 11월 16일타릭 카바데즈
ONE Championship: Collision Course2020년 12월 18일안드레이 스토이카
ONE Championship: Full Circle2022년 2월 25일무라트 아이군


2.2.2.1.2. 라이트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레기안 에르셀ONE: Enter the Dragon2019년 5월 17일니키 홀츠켄
ONE: Dawn Of Valor2019년 10월 25일니키 홀츠켄
ONE: Fists Of Fury 32021년 2월 26일무스타파 하이다
ONE: Winter Warriors2021년 12월 3일이슬람 무타자예프
ONE 1562022년 4월 22일아리안 사디코비치


2.2.2.1.3. 페더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슈퍼본 싱하 마윈ONE: First Strike2021년 10월 15일조르지오 페트로시안
ONE Championship: X2022년 3월 26일마랏 그리고리안
2대칭기즈 알라조프ONE Fight Night 62023년 1월 14일슈퍼본 싱하 마윈
ONE Fight Night 132023년 8월 4일마랏 그리고리안


2.2.2.1.4. 밴텀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알라베르디 라마자노프ONE: Mark Of Greatness2019년 12월 6일장 쳉롱
2대캐피탄 펫치인디아카데미ONE: Unbreakable2021년 1월 22일알라베르디 라마자노프
ONE Championship: Revolution2021년 9월 24일메흐디 잣아웃
3대아키모토 히로키ONE Championship: X2022년 3월 26일캐피탄 펫치인디아카데미
4대펫치타농 펫치페르거스ONE 1632022년 11월 19일아키모토 히로키
5대조나단 해거티[11]ONE Fight Night 162023년 11월 4일파브리시우 안드라지

* 4대 챔피언 펫치타농 펫치페르거스는 도핑 양성으로 타이틀이 박탈됨.


2.2.2.1.5. 플라이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펫치담 펫치인디 아카데미ONE: Warriors of Light2019년 5월 10일엘리아스 마흐무디
2대일리아스 에나하치ONE: Dreams of Gold2021년 8월 16일펫치담 펫치인디 아카데미
ONE: Age Of Dragons2019년 11월 16일왕 웬펭
ONE: Fists Of Fury2021년 2월 26일수퍼렉 키앗무 9
3대수퍼렉 키앗무 9ONE Fight Night 62023년 1월 14일대니엘 푸에타스
ONE Fight Night 82023년 3월 25일대니얼 윌리엄스

*2대 챔피언 일리아스 에나하치는 계체에 실패하여 타이틀이 박탈됨.


2.2.2.1.6. 스트로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삼-아 가이양하다오ONE: Mark Of Greatness2019년 12월 6일왕 준광
2대조나단 디 벨라ONE 1622022년 10월 21일장 페이메인
ONE Fight Night 152023년 10월 7일대니얼 윌리엄스

* 삼-아 가이양하다오는 부상으로 인하여 은퇴 선언하면서 타이틀을 반납함


2.2.2.1.7. 아톰급(여성)[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카이 팅 추앙ONE: Battle for the Heavens2018년 7월 7일욧체리 싯욧통
2대스탬프 페어택스ONE: Kingdom of Heroes2018년 10월 6일카이 팅 추앙
3대자넷 토드ONE: King of the Jungle2020년 2월 28일스탬프 페어택스
잠정펫지자 룩자오포롱톰ONE Friday Fights 462023년 12월 22일아니사 멕센


2.2.3. 무에타이 타이틀[편집]


헤비급로만 크리클리아
라이트급레기안 에르셀
페더급타완차이 PK 센차이
밴텀급조나단 해거티
플라이급롯탕 짓무앙논
스트로급프라잔차이 P.K. 센차이무에타이짐
스트로급(여성)스밀라 선델
아톰급(여성)앨리시아 헬렌 로드리게스


2.2.3.1. 체급별 챔피언[편집]


2.2.3.1.1. 헤비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로만 크리클리아ONE Fight Night 172023년 12월 9일알렉스 로버츠


2.2.3.1.2. 라이트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레기안 에르셀ONE on Prime Video 32022년 10월 22일신사무트 클린미
ONE Friday Fights 92023년 3월 17일신사무트 클린미
ONE Friday Fights 112023년 6월 10일드미트리 멘시코프


2.2.3.1.3. 페더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페치모라콧 페치인디아카데미ONE: Warrior's Code2020년 2월 7일퐁시리 P.K. 센치아이무에타이짐
ONE: No Surrender2020년 7월 31일욧센클라이 페어텍스
ONE: A New Breed 32020년 9월 18일마그너스 앤더슨
ONE 1572022년 5월 20일지미 비뇨
2대타완차이 PK 센차이ONE 1612022년 9월 29일페치모라콧 페치인디아카데미
ONE Fight Night 72023년 2월 25일자말 유서포프
ONE Friday Fights2023년 12월 22일슈퍼본 싱하 마윈


2.2.3.1.4. 밴텀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농-오 가이양하다오ONE: Clash of Legends2019년 2월 16일한 지하오
ONE: Warriors of Light2019년 5월 10일스즈키 히로아키
ONE: Immortal Triumph2019년 9월 6일브라이스 델발
ONE: Edge Of Greatness2019년 11월 22일새마펫치 페어택스
ONE Championship: Collision Course2020년 12월 18일로드렉 P.K. 센차이무에타이짐
ONE Championship: X2022년 3월 26일펠리페 로보
ONE on Prime Video2022년 8월 27일리암 해리슨
ONE Friday Fights 12023년 1월 20일알라베르디 라마자노프
2대조나단 해거티ONE Fight Night 92023년 4월 22일농-오 가이양하다오


2.2.3.1.5. 플라이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삼-아 가이양하다오ONE: Unstoppable Dreams2018년 5월 18일세르지오 웰젠
2대조나단 해거티ONE: For Honor2019년 5월 4일삼-아 가이양하다오
3대롯탕 짓무앙논ONE: Dawn of Heroes2019년 8월 2일조나단 해거티
ONE: Century − Part 22019년 10월 13일월터 콘클라베스
ONE: A New Tomorrow2020년 1월 10일조나단 해거티
ONE: No Surrender2020년 7월 31일펫치담 펫치인디 아카데미
ONE on Prime Video 42022년 11월 19일조셉 라시리
ONE Fight Night 102023년 5월 6일에드가 타바레스


2.2.3.1.6. 스트로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삼-아 가이양하다오ONE: King of the Jungle2020년 2월 28일로키 오그덴
ONE: Reign of Dynasties2020년 10월 9일조쉬 토나
2대프라잔차이 P.K. 센차이무에타이짐ONE: Battleground2021년 7월 30일삼-아 가이양하다오
3대조셉 라시리ONE 1572022년 5월 20일프라잔차이 P.K. 센차이무에타이짐
잠정프라잔차이 P.K. 센차이무에타이짐ONE Friday Fights 222023년 6월 23일삼-아 가이양하다오
4대프라잔차이 P.K. 센차이무에타이짐ONE Friday Fights 462023년 12월 22일조셉 라시리


2.2.3.1.7. 스트로급(여성)[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스밀라 선델ONE 1562022년 4월 22일잭키 분탄
ONE Fight Night 142023년 9월 30일앨리시아 헬렌 로드리게스


2.2.3.1.8. 아톰급(여성)[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스탬프 페어택스ONE: Call to Greatness2019년 2월 22일자넷 토드
ONE: Legendary Quest2019년 6월 15일알마 주니쿠
2대앨리시아 헬렌 로드리게스ONE: A New Breed2020년 8월 28일스탬프 페어택스
ONE Fight Night 82023년 3월 25일자넷 토드
잠정자넷 토드ONE 1582022년 7월 22일라라 페르난데스

* 앨리시아 헬렌 로드리게스가 출산 관계로 자넷 토드와 라라 페르난데스의 잠정 타이틀이 열림


2.2.4. 서브미션 그래플링 타이틀[편집]


웰터급타이 루톨로
라이트급케이드 루톨로
플라이급마이키 무스메시
아톰급(여성)다니엘레 켈리


2.2.4.1. 체급별 챔피언[편집]


2.2.4.1.1. 웰터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타이 루톨로ONE Fight Night 162023년 11월 4일마고메드 압둘카디로프


2.2.4.1.2. 라이트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케이드 루톨로ONE on Prime Video 32022년 10월 22일우알리 쿠르제프
ONE on Prime Video 52022년 12월 3일마테우스 가브리엘
ONE Friday Fights 112023년 6월 10일토미 랑가커


2.2.4.1.3. 플라이급[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마이키 무스메시ONE on Prime Video 22022년 10월 1일클레버 소우자
ONE Fight Night 62023년 1월 14일바얀두우렌 강투무르
ONE Fight Night 102023년 5월 6일오사마 알마르와이
ONE Fight Night 132023년 8월 5일제라드 브룩스


2.2.4.1.4. 아톰급(여성)[편집]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다니엘레 켈리ONE Fight Night 142023년 9월 30일제사 칸


2.2.5. 토너먼트 챔피언[편집]


대회명토너먼트우승날짜준우승
ONE FC: Rise to Power밴텀급 그랑프리우에다 마사카츠2013년 5월 31일케빈 벨링건
ONE FC: Warrior Spirit1말레이시아 페더급 토너먼트A.J. 리어스 맨서2013년 11월 15일멜빈 여
ONE FC: Rise of the Kingdom캄보디아 페더급 그랑프리삼 앙 던2014년 9월 12일찬 로타나
ONE FC: Dynasty of Champions (Beijing)베이징 페더급 토너먼트리 카이 웬2014년 12월 19일왕 야 웨이
ONE FC: Dynasty of Champions (Beijing)베이징 플라이급 토너먼트웨이 빈 리2014년 12월 19일왕 웨이
ONE: Dynasty of Champions (Guangzhou)광저우 페더급 토너먼트후앙 디 유안2015년 6월 20일마 지아 웬
ONE: Dynasty of Champions (Guangzhou)광저우 플라이급 토너먼트우 제2015년 6월 20일양 지안 빙
ONE: Kingdom of Warriors미얀마 페더급 토너먼트따 삐에이 은요2015년 7월 18일묘 만 띳
ONE: Kingdom of Warriors미얀마 라이트급 토너먼트따웨이 띳 아웅2015년 7월 18일쏘우 바 오
ONE: Dynasty of Champions (Beijing II)베이징 페더급 토너먼트양 센2015년 11월 21일장 지아 카이
ONE: Dynasty of Champions (Changsha)창사 밴텀급 토너먼트마 하오 빈2016년 1월 23일부 후오 유 가
ONE: Dynasty of Champions (Anhui)헤이페이 밴텀급 토너먼트후오 유 시아 부2016년 7월 2일하오 지에 리
ONE: State of Warriors미얀마 페더급 토너먼트포 따우2016년 10월 7일쏘우 얀 팽
ONE: Light of a Nation미얀마 라이트급 토너먼트쏘우 민 민2017년 6월 30일슈 캬울 따르
ONE: Century라이트급 그랑프리크리스천 리2019년 10월 13일사이기드 아르슬라날리예프
ONE: Century플라이급 그랑프리드미트리우스 존슨2019년 10월 13일대니 킹애드
ONE: Century킥복싱 페더급 그랑프리조르지오 페트로시안2019년 10월 13일새미 사나
ONE: A New Breed무에타이 밴텀급 토너먼트로드렉 P.K. 센차이무에타이짐2020년 8월 28일쿨랍담 소르 조르 피엑 우타이
ONE: Winter Warriors여성부 아톰급 그랑프리스탬프 페어택스2021년 12월 3일리투 포갓
ONE Championship: X킥복싱 페더급 그랑프리칭기즈 알라조프2022년 3월 26일싯띠차이 싯송피농
ONE 163킥복싱 헤비급 그랑프리로만 크리클리아2022년 11월 19일이라즈 아지즈푸어


3. 기타[편집]


  • PFL이나 벨라토르 등의 단체와 견주는 2위권 규모와 로스터 보유로 UFC에서도 알아주는지 이 단체에서 챔피언을 지낸 선수가 UFC와 계약을 하게 되면 랭커와 매칭을 붙인다. 무패 챔프 출신인 벤 아스크렌을 바로 UFC의 전 챔피언 로비 라울러와 매칭을 시키기도 했으니..[12] 2위권 단체 Bellator MMA 챔피언을 지낸 알렉산더 볼코프도 UFC와 계약하자 바로 당시 랭킹 15위였던 티모시 존슨과 매칭시켰다.

  • 아시아 지역 단체 특성상 미들급 이상의 중량급 선수층은 좀 얇은 편이다. 반대로 말하면 웰터급과 그 이하의 경량급은 엄청난 경쟁률을 보여준다. UFC 내에서도 지옥 체급이라 불리는 라이트~웰터 뿐만 아니라 벤텀~페더급은 오히려 이들을 뛰어넘는 어마어마한 수준을 보여준다. 특히 입식타격 쪽에서 이런 부분이 더욱 도드라진다. UFC에서는 선수층이 상당히 얇은 플라이급과 그 이하 스트로급까지 어마어마하게 빡빡한 선수풀을 보유하고 있다.

  • PPV가 아닌 지상파 형식으로 방영된다. 애초에 UFC의 PPV가 20만장에서 30만장이 팔린다면, 이곳의 PPV는 5만장을 팔기도 힘든게 현실이기에 PPV로 상영하다가 포기했다.

  • 칫타리 싯요통 CEO가 One Championship과 UFC의 합동 대회를 열 의사가 있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 흥미롭게도 단체 라운드걸 중에 한국인이 많다. 또 아시아 지역이라 그런지 벨라토르보다 한국 선수들의 진출이 많은 편이다.

  • 2020년대 들어선 유튜브 shorts 기능을 활용한 다양한 영상을 만들어 올리고 있다.

  • 2021년에 The Apprentice: ONE Championship Edition 를 넷플릭스를 통해 방영되었다. 토널드 트럼프를 유명인에 올려놓은 그 프로그램의 스핀오프격. 차트리 회장의 인간적이면서도 엄격한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3:03:20에 나무위키 ONE Championship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전명칭 ONE Fighting Championship[2] PFL이 현재 이름있는 선수들을 영입하며 미국 내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긴 하나 아직까진 메이저 단체로 분류될 만큼의 흥행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2023년 7월부터 벨라토르가 경영난으로 인해 PFL, UFC로 매각한다는 이야기가 있다.[3] 미얀마 지역의 격투 경기.[4] 바다 하리의 전성기가 지났고, 오브레임도 공백기가 길었기에 실력을 가늠할 수 없다. 하지만 여전히 인기가 많은 선수들이기도 하다.[5] 원 챔피언쉽은 라이트헤비급이 최대라 올 수 없어서 그렇다.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경량급~중중량급의, 그것도 세계 최고로 수준 높은 본토 경기에 눈이 익숙해져버린 동남아 관중들의 눈에 굉장히 투박하고 단조로운 헤비급 경기는 인기가 없어 따로 체급이 개설되지 않았기 때문. 아무리 원챔피언쉽이 세계구급 단체라 해도, 싱가포르 기반이며 또한 동남아/동북아가 세계에서 입식격투가 가장 인기있는 지역임을 감안한 시장성의 결과다.[6] PPV는 유료 시청 티켓으로 많이 팔리면 팔릴수록 더 많이 배당이 떨어진다. 따라서 이 경우는 스타성이 클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몇 십억 이상 받는 경우도 많다. 퀸튼 잭슨의 경우 3억으로 기본급을 받고 추가적으로 PPV 수입을 63억(500만 달러)이나 받았다고 한다. 맥그리거의 경우도 50~60억 정도를 기본급으로 받고, PPV 수익으로 몇백억원 이상 받는다.[7] 벨라토르의 경우 탄탄한 자금력의 모기업과 세계시장의 중심이나 마찬가지인 북미의 2위 단체라는 점 때문에 강자들을 영입하기 좋은 조건이며, 원챔피언십도 단체의 규모나 선수들에 대한 대우가 좋은 편이기에 아시아나 제3세계 강자들을 영입하기 수월한 상황이고, 중간급이나 경량급은 UFC에서 활약하던 선수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반면, ACA는 러시아 및 동구권 강자들의 의존도가 강한 편이라서 성장에 한계가 있는 편이었는데, 현재는 러시아의 상황 때문에 단체가 계속 유지될 수 있을지도 확신하기 어렵다. 메이저 톱 10 안에 드는 수준의 단체들 중에서도 북미 케이지워리어 및 PFL, 러시아 M-1 Global, Fight Nights Global 등의 동구권 단체, 일본 판크라스와 라이진 FF 정도는 이들과 수준 면에서 비슷하고 권위도 높지만, 지역성이 짙어 규모와 인지도에서는 밀리는 감이 크다. 또한 러시아 단체들을 제외하곤 다들 해당 지역에서 대놓고 더 큰 상위 단체가 존재하기에, 소속 대륙 전체를 무대로 주도하는 범세계적 단체라고 부르기엔 상당히 애매하다. 당장 해당 리그들의 선수가 UFC로 옮겼을 시에 붙여주는 매칭 수준도 차이가 좀 난다.[8] 당장 UFC만 봐도 미국인이 많다.[9] 예외적으로 북미 진출을 위해 개최한 TNT는 공개 계체를 진행했다.[10] 반칙성 로블로로 인한 경기 속개 불가로 노 콘테스트 처리됨.[11] 조나단 해거티와 파브리시우 안드라지가 타이틀전을 벌일 예정. 밴텀급 무에타이 챔피언과 MMA 챔피언간의 대결이다.[12] 단 이미 라울러가 연이은 혈전 이후로 기량 하락이 된 것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