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DC 유나이티드

덤프버전 :

||



파일:DC 유나이티드 로고.svg
DC 유나이티드
DC United
별칭DCU
Black and Red
약칭DC
창단1994년 6월 15일(29주년)[1][2]
리그 참가1994년(28주년)
소속 리그메이저 리그 사커 (Major League Soccer)
소속 컨퍼런스동부 컨퍼런스 (Eastern Conference)
연고지워싱턴 D.C.
홈구장RFK 스타디움 (RFK Stadium, 1996~2017)[3]
아우디 필드 (Audi Field, 2018~)
소유주제이슨 레비엔 (Jason Levien)[4], 스티븐 캐플런 (Stephen Kaplan)[5]
회장
감독공석
주장
공식 웹사이트 및 SNS파일:DC 유나이티드 로고.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 플레이오프 기록
MLS컵
(4회)
1996, 1997, 1999, 2004
컨퍼런스
(5회)
1996, 1997, 1998, 1999, 2004
서포터즈 실드
(4회)'''
1997, 1999, 2006, 2007
US 오픈컵
(3회)
1996, 2008, 2013
MLS컵 플레이오프
(15회)
1996, 1997, 1998, 1999, 2003, 2004, 2005, 2006, 2007, 2012
2014, 2015, 2016, 2018, 2019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1회)
1998
코파 인테라메리카나
(1회)
1998
팀 컬러 / 유니폼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검은색 빨강색 흰색

MLS컵 우승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96 / 1997 MLS컵 우승팀
-DC 유나이티드1998
시카고 파이어 SC
1999 MLS컵 우승팀
1998
시카고 파이어 SC
DC 유나이티드1999
캔자스시티 위저즈
2004 MLS컵 우승팀
2003
산호세 어스퀘이크스
DC 유나이티드2005
로스앤젤레스 갤럭시

클럽 기록
최다 출장제이미 모레노 (Jaime Moreno Morales) - 329경기 (1996~2002, 2004~2010)
최다 득점제이미 모레노 (Jaime Moreno Morales) - 131골 (1996~2002, 2004~2010)

2022 시즌 유니폼
HOMEAWAY메인 스폰서유니폼 메이커
파일:DC UTD 2022 Home.jpg파일:DC UTD 2022 Away.webp파일:XDC Foundation logo.png[6]파일:아디다스 로고.svg

1. 개요
2. 상세
3. 선수 명단
4. 성적
4.1. 2017 시즌
4.2. 2018 시즌
5. 홈구장
6. 여담



1. 개요[편집]


D.C. 유나이티드 (D.C. United)는 워싱턴 D.C. (Washington, D.C.)에 연고지를 둔 축구 클럽이다. 1995년도에 창단하였으며 메이저 리그 사커의 창설 멤버 10개 팀 중 하나이다.

LA 갤럭시 다음으로 MLS 컵 최다 우승기록을 세운 팀이다. 다만 현재는 결승에 나가는 것 조차 힘든 상황이 될 정도로 쇠락한 상태이다.

2. 상세[편집]


파일:DC 유나이티드 로고(1998~2015).svg
1998년~2015년까지 쓰던 로고
역사와 전통이 있는 구단으로 열성 팬들이 많지만 노후된 구장 문제 등으로 흥행은 좋지 않았다. 워싱턴의 프로 스포츠 팀들 중에서는 실내 스포츠팀인 워싱턴 위저즈워싱턴 캐피털스 보다도 저조한 평균 관중 수를 기록하고 있다.

서부지구의 로스앤젤레스 갤럭시와 더불어 가장 화려한 역사를 자랑하는 팀이다. MLS컵 우승 4회, 서포터즈 실드 우승 4회, US 오픈컵 우승 3회,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 1회, 코파 인테라메리카나 우승 1회 등 수많은 타이틀을 획득한 명문이라는 이름이 아깝지 않은 구단이다.

다만, 2007년에 정규시즌 1위를 마지막으로 기록한 이후로, 리그 초기 강팀으로 명성을 날린 예전의 영광에 비해서 상당히 주춤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13 시즌에는 3승 7무 24패 승점 16점을 기록하며 전체 순위 꼴찌라는 최악의 성적을 거두었다. 다만, US 오픈컵 우승이 그나마 위안이 되었다. 2014 시즌에는 반등에 성공하면서 3위로 정규시즌을 마쳤다. 이 기간 중 선수로서 레전드였던 올슨을 자르지 않은 보람이 있는 듯. 그리고, 2015 시즌에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22년 7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레전드이자 DC 유나이티드에서 두 시즌 동안 뛴 적이 있는 웨인 루니를 감독으로 선임했다.



3. 선수 명단[편집]


파일:DC 유나이티드 로고.svg
DC 유나이티드 1군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DC 유나이티드 2023 시즌 스쿼드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 월일비고
1파일:미국 국기.svgGK타일러 밀러Tyler Miller1993.03.12
2파일:브라질 국기.svgDF루안Ruan1995.05.29
3파일:아일랜드 국기.svgDF데릭 윌리엄스Derrick Williams1993.01.17
4파일:미국 국기.svgDF브렌던 하인스아이크Brendan Hines-Ike1994.11.30
5파일:호주 국기.svgDF브래드 스미스Brad Smith1994.04.09
6파일:미국 국기.svgMF러셀 커누스Russell Canouse1995.06.11
7파일:에콰도르 국기.svgFW마이클 에스트라다Michael Estrada1996.04.07
9파일:노르웨이 국기.svgFW올라 카마라Ola Kamara1989.10.15
12파일:콜롬비아 국기.svgFW크리스티안 다요메Cristian Dájome1994.01.03
14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DF앤디 나하르Andy Najar1993.03.16
15파일:미국 국기.svgDF스티브 번바움Steve Birnbaum1991.01.23주장
16파일:미국 국기.svgFW에이드리엔 페레즈Adrien Perez1995.10.13
17파일:잉글랜드 국기.svgMF루이스 오브라이언Lewis O'Brien1998.10.14[A]
18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MF제러미 가레이Jeremy Garay2003.04.01홈그로운
19파일:네덜란드 국기.svgFW나이절 로베르타Nigel Robertha1998.02.13
20파일:벨기에 국기.svgFW크리스티안 벤테케Christian Benteke1990.12.03저정선수
21파일:미국 국기.svgMF존 켐핀Jon Kempin1993.04.08
22파일:스페인 국기.svgFW미겔 베리Miguel Berry1997.09.16
23파일:미국 국기.svgDF도너번 파인스Donovan Pines1998.03.07홈그로운
25파일:미국 국기.svgFW잭슨 홉킨스Jackson Hopkins2004.07.01홈그로운
27파일:미국 국기.svgMF모지스 나이먼Moses Nyeman2003.11.05홈그로운
28파일:미국 국기.svgGK빌 하미드Bill Hamid1990.11.25
32파일:멕시코 국기.svgGK데이비드 오초아David Ochoa2001.01.16홈그로운
33파일:미국 국기.svgDF제이컵 그린Jacob Greene2003.03.23홈그로운
35파일:미국 국기.svgMF시어도어 쿠디피에트로Theodore Ku-DiPietro2002.01.28홈그로운
43파일:폴란드 국기.svgMF마테우시 클리흐Mateusz Klich1990.06.13지정선수
44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MF빅토르 팔손Victor Palsson1991.04.30지정선수
45파일:미국 국기.svgDF마타이 아킨보니Matai Akinmboni2006.10.17홈그로운
49파일:자메이카 국기.svgMF라벨 모리슨Ravel Morrison1993.02.02
77파일:칠레 국기.svgFW마틴 로드리게스Martin Rodriguez1994.08.05
93파일:멕시코 국기.svgDF토니 알파로Tony Alfaro1993.06.15
97파일:미국 국기.svgDF사미 게디리Sami Guediri1997.08.18
구단 정보
감독: 에르난 로사다 / 홈 구장: 아우디 필드
출처: DC 유나이티드 공식 홈페이지,





4. 성적[편집]


<rowbgcolor#231F20> 년도리그 순위플레이오프 성적대륙컵 성적컵대회 성적
19962위 (컨퍼런스), 3위 (리그)파일:MLS cup Icon2.png MLS컵 우승-우승
1997파일:Supporters Shield ICON.png 서포터즈 실드파일:MLS cup Icon2.png MLS컵 우승3위준우승
19981위 (컨퍼런스), 2위 (리그)준우승파일:CONCACAF CL TROPHY ICON.png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
1999파일:Supporters Shield ICON.png 서포터즈 실드파일:MLS cup Icon2.png MLS컵 우승3위-
20004위 (컨퍼런스), 11위 (리그)-준결승8강
20014위 (컨퍼런스), 10위 (리그)-준우승준결승
20025위 (컨퍼런스), 10위 (리그)-1라운드-
20034위 (컨퍼런스), 7위 (리그)컨퍼런스 준결승-준결승
20042위 (컨퍼런스), 4위 (리그)파일:MLS cup Icon2.png MLS컵 우승-4라운드
20052위 (컨퍼런스), 3위 (리그)컨퍼런스 준결승준결승8강
2006파일:Supporters Shield ICON.png 서포터즈 실드컨퍼런스 결승-준결승
2007파일:Supporters Shield ICON.png 서포터즈 실드8강준결승3라운드
20086위 (컨퍼런스), 10위 (리그)-준결승우승
20094위 (컨퍼런스), 10위 (리그)-조별라운드준우승
20108위 (컨퍼런스), 16위 (리그)--준결승
20117위 (컨퍼런스), 13위 (리그)--2라운드
20122위 (컨퍼런스), 3위 (리그)컨퍼런스 결승-4라운드
201310위 (컨퍼런스), 19위 (리그)--우승}}}
20141위 (컨퍼런스), 3위 (리그)컨퍼런스 준결승8강4라운드
20154위 (컨퍼런스), 8위 (리그)컨퍼런스 준결승8강5라운드
20164위 (컨퍼런스), 10위 (리그)녹아웃 라운드8강4라운드
201711위 (컨퍼런스), 21위(리그)--5라운드
20184위 (컨퍼런스), 9위(리그)녹아웃 라운드-16강
20195위 (컨퍼런스), 10위 (리그)1라운드-16강


4.1. 2017 시즌[편집]


공동 최저득점(31득), 최저골득실차(-29), 공동 최저승점(32점) 등 불명예스런 기록으로 컨퍼런스 최하위를 기록했다.


4.2. 2018 시즌[편집]


홈 경기장 완공이 늦어지면서 14라운드까지 모든 경기를 원정경기로 치루었다. 그 결과 2승 5무 7패의 참담한 성적을 기록했다. 그러나 홈경기장이 완공되고 때마침 웨인 루니까지 합류하면서 반전이 시작된다. 루니는 팀에 합류하자마자 빠르게 적응하며 새로운 주장으로써 시즌 막바지에는 10경기에서 9골을 기록하며 팀의 7승 3무 무패행진을 이끌었다.
후반기의 놀라운 반전으로 플레이오프진출에는 성공했지만 녹아웃 라운드에서 승부차기 끝에 탈락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5. 홈구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아우디 필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AudiFieldMLS.png

1996년부터 2017년까지 홈구장이었던 로버트 F. 케네디 메모리얼 스타디움은 가변형 스탠드를 움직여 야구, 미식축구 등과 공용이 가능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창단 초기부터 사용해 왔다. 그러나 완공된 지 반세기 가까이 지났고 관리조차 너무 열악해서, 미국의 축구팬들에게는 가히 오클랜드 콜리시엄이나 무등 야구장과 비견되는 악명으로 자자했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고.

이런 처참한 경기장 때문에 관중 동원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던 DC 유나이티드는 2006년부터 계속해서 신축 경기장 건설을 추진했지만, 부지와 자금 조달 문제로 계속해서 지체되었다. 그러다가, 2013년워싱턴 D.C.와 신축 축구전용구장 건설이 드디어 합의되었고 2016년 4월부터 내셔널스 파크 인근 부지에 건설을 시작했다. 새로운 DC 유나이티드의 축구 전용구장인 아우디 필드[7]2018년 7월에 개장하였다.


6. 여담[편집]




  • 서포터그룹이 MLS 내에서 과격하기로 유명하다. 최대 라이벌은 리그 초기 가장 가깝다 보니 자주 부딪쳤던 뉴욕 레드불스.

  • 2018년 후반기 웨인 루니가 영입되었다. 부정적인 여론이 아주 없는 건 아니었으나 주장으로 임명되고 후반기 팀을 말 그대로 하드캐리하며 플레이오프까지 진출시켰다. 비록 녹아웃 스테이지에서 결정적인 승부차기를 실축하며 탈락했지만 미국의 축구 팬들에게 진짜 슈퍼스타의 클래스를 확인시켜줬다.


  • 대한민국의 선수 이기제가 2014년 여름 이적 시장에서 이 팀으로 이적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당시 소속팀이었던 시미즈 S펄스에서 이적을 만류함에 따라 시미즈에 잔류했는데, 정작 시즌이 끝난 후에는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고 방출되었다. 이후 이기제는 호주의 팀인 뉴캐슬 유나이티드 제츠 FC를 거쳐 K리그에서 뛰고 있다.


[1] #[2] 원년 구단[3] 1996년 NFL 워싱턴 레드스킨스, 2005년~2007년 MLB 워싱턴 내셔널스와 공용[4] 기성용이 뛰었던 스완지 시티 AFC의 구단주이기도 하다.[5] 유명 대체투자 관리 회사 Oaktree Capital Group의 공동 설립자[6] 2022 시즌부터 비영리 IT 관련업체인 XDC Foundations로 교체되었다.[7] 독일의 아우디가 명명권을 사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