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DSP미디어

덤프버전 :



[ 아티스트 ]

GROUP
파일:마마무 로고 화이트.svg1파일:브로맨스로고.png2
파일:원어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원위영문로고.png파일:퍼플키스영문로고.png파일:NXD 로고.svg
[ 각주 ]

1 솔라, 문별RBW 소속
2 윤은오글림 소속

SOLO
레이첼김영조박지은

[ 프로듀서 ]

DIRECTOR & PRODUCER
김도훈황성진이상호[G]권석홍
김형규최갑원송준호최용찬
서용배[G]윤영준임상혁코스믹 사운드
밍키이후상전다운코스믹 걸
MGR코코두부아빠진민호
[G] : 작곡가 그룹 '가면라이더' 소속 프로듀서

[ 자회사 ]

산하 레이블
파일:클라우드R 로고_화이트.png파일:WM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WM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파일:DSP미디어 로고(상하).svg파일:얼반웍스 로고.svg
||
해외지사
파일:RBW_JP_LOGO_.png파일:RBW_VN_LOGO_.png




[ 프로젝트 목록 ]


디에스피미디어
DSPmedia
파일:DSP미디어 상하조합 로고.svg파일:DSP미디어 상하조합 로고 화이트.svg
정식 명칭(주)디에스피미디어

DSPmedia Co., Ltd.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업종명매니저업 및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설립일1991년 10월[1]
설립자이호연
임원진
대표이사
김진우[2]
총괄 프로듀서
민영기[3]
모기업RBW(2022년 ~)[4]
기업 규모중소기업
상장 여부상장폐지
상장 시장코스닥시장(1993년 ~ 2009년)
종목코드016040
소재지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2동 680-2 [5]

링크파일:DSP미디어 심볼.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상호 변천사
3. 역사
4. RBW 인수 이전 특징
5. 사옥
6. 소속 연예인
6.1. 그룹
6.2. 가수
6.3. 배우
7. 과거 소속
7.1. 연예인
7.2. 연습생
8. 논란 및 사건 사고
9.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연예 기획사.

1991년 이호연이 설립한 이후, ZAM, 젝스키스, 핑클, 클릭비, 이효리, SS501, 카라, 레인보우, 에이젝스, 에이프릴, 카드, 미래소년, 영파씨 등 많은 스타들을 배출했다.

2022년, RBW가 DSP를 인수하며 RBW 산하 레이블로 편입되었다.[6]


2. 상호 변천사[편집]


파일:Daesung_Planning_1991.png
파일:DSP_Entertainment.png
파일:DSP Ent_2006.png
파일:DSP미디어 로고.svg
대성기획(1991)DSP엔터테인먼트(1999)DSP이엔티(2006)DSP미디어(2008)


3.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DSP미디어/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역대 DSP 소속 아티스트 무대 모음[7]

1991년, 태진아의 매니저 출신인 이호연이 대성기획[8]이라는 이름으로 설립하였다. 1990년대 중후반 젝스키스핑클을 배출하며 SM엔터테인먼트와 함께 1세대 아이돌 기획사의 양대산맥으로 불리었다.[9][10] 젝스키스H.O.T.를 상대로 1998년 서울가요대상에서 공동대상을 수상했고, 핑클은 1999년에 당시 최고의 전성기였던 조성모와 서울가요대상에서 공동 대상을 받고 SBS 가요대전에서는 단독 대상을 받았다. 클릭비는 아이돌 밴드의 시초로 인정받는 그룹으로서 인기를 끌었다.

2003년에는 핑클에서 솔로 데뷔한 이효리10 minutes이라는 히트곡으로 대상을 휩쓴 것 뿐만 아니라, 각종 스타일 등이 화제를 일으키며 대한민국에 '이효리 신드롬'을 일으켰다. 이후 SS501카라를 성공적으로 데뷔시켰다. 2000년대 후반 이후의 자료에 따르면 당시 DSP는 YG보도 더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기도 했다.[11] 2000년대 중반 동슈501[12](동방신기, 슈퍼주니어, SS501)/2000년대 후반 원카소(원더걸스, 카라, 소녀시대)라 불리며 당시 인기를 끈 보이그룹, 걸그룹 6개 중 2개 그룹이 DSP 소속이었던 것이다. 또 이 무렵엔 예능, 드라마, 영화 등도 제작하였는데 2005년 방영된 이효리 주연의 잊고 싶은 드라마 세잎클로버도 DSP가 제작했었다. 그 외 외과의사 봉달희, 마이걸, 연개소문 등의 드라마나, 박수홍, 최원정의 여유만만, 경제 비타민, 좋은나라 운동본부 등의 예능 프로그램도 제작한 바 있다. 파리의 연인, 해를 품은 달 등을 제작한 문정수 PD, 소현경 작가 등 스타 제작자들이 dsp에 소속되어 있기도 했다. 2010년 2월에는 카라 일본 진출을 시작하였고, 이후 해외에서 카라가 큰 인기를 얻으며 엄청난 성공을 거두게 된다.

그러나 2010년 3월 이호연 사장이 뇌출혈로 쓰러진 것이 원인이 되어 크게 쇠락하기 시작했다. 이 회사는 이호연 사장의 리더쉽, 인맥, 그리고 으로 유지되던 구조였기 때문. 2000년도 대학원 논문[13]을 보면 DSP에 대해 "대표자가 전 가수들을 총괄 기획하고 제작이나 각종 결정권에 큰 영향력을 행사" "모든 체계가 중앙집중적으로 편중되어 있어 전형적인 개인형 매니지먼트 구조"라고 분석하고 있다. 그가 뇌출혈로 쓰러진 후 DSP가 어려움을 겪자 이 점이 더욱 부각됐고 후계자 육성의 중요성과 이호연의 경영능력을 높이 평가하는 기사들도 나왔다.

이호연 사장이 뇌출혈로 쓰러진 2010년 중반부터 이호연의 부인 최미경이 대표이사를 맡았는데, 최미경은 원래 연예계는 물론 경영과도 전혀 무관한 가정주부였다. 최미경은 대표로 취임 후 경영진과 임원을 자신의 친인척으로 앉히는 등 방만한 경영을 하였다.[14] 이후 론칭한 레인보우, 에이프릴이 연이어 큰 성과를 내지 못했고, 보이그룹인 A-JAX 역시 실패하였다. 또한 당시 간판 그룹이던 카라니콜, 강지영 탈퇴 이후 성적이 떨어지게 되었다. 결국 2015년부터 적자전환에 매출도 하락하면서 자연히 회사 꼴이 말이 아니게 되었다.

그래도 과거만큼은 아니지만 프갤에서 정리한 2010년대 중반 기준 프로듀스 101 출연 소속사들 매출 규모를 보면 출연 연예기획사들 중에선 JYP엔터테인먼트와 함께 의미있는 영업이익을 내는 소속사로 나왔으며 실제로 연습생들 사이에선 괜찮은 기획사 중 DSP가 언급되기도 했다. 또한 카라 사태 이후론 정산도 잘 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8년, APRIL 멤버 이나은이 웹드라마 에이틴 시리즈으로 초대박을 치고, 2019년, 프로듀스 X101에서 소속 연습생 손동표가 많은 인지도를 얻으면서 2019년 다시 흑자전환에 성공하였다. 2020년에는 전년 대비 영업이익 성장률 498%를 찍으며 카라 활동 종료 이후 처음으로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그러나 얼마 가지 못해 상승세를 달리고 있던 에이프릴전 멤버 왕따 논란으로 인해 몰락하며 DSP 또한 최악의 위기를 맞이한다.

결국 에이프릴 왕따 사건 이후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2022년, RBW에 인수되었다 .[15] RBW 산하 레이블로 편입된 이후에는 배우 매니지먼트 진출[16] 및 싱어송라이터 안예은을 영입하는 등 기존 아이돌 전문 기획사에서 배우발라드도 포함한 종합 엔터테인먼트로 노선이 변경되었다.[17]

2023년 6월, 에이프릴 이후 8년만에 신인 걸그룹 론칭 소식[18]을 알렸다.

4. RBW 인수 이전 특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DSP미디어/RBW 인수 이전 특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사옥[편집]


파일:첫사옥.jpg
핑클시절 사옥. 건물 전체는 아니고 3층만 DSP가 사무실로 사용. 고속터미널역의 반포동 삼호가든 사거리쪽에 있었다. 연습실이나 녹음실 등은 이 건물이 아닌 다른 곳에 나뉘어있었다.[19]

파일:둘째사옥1.jpg
파일:둘째사옥2.jpg
카라가 히트한 뒤 2010년에 옮긴 사옥. 후지TV에서 제작팀이 직접 방문해 음악프로그램 녹화를 하기도 했다, 카라가 일본활동을 할 때 자주 나온 사옥이 바로 이 곳. 일본활동 때는 노기자카역 주변 유니버셜 뮤직 재팬에서 VTR 녹화를 많이 했다. 당시 "이호연의 개인저택이다", "요양원 느낌이 난다" 라는 평이 들려올 정도로 기획사 사옥 치고는 너무 주택 느낌인지라 모두에게 총공깽을 선사하였다.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 1화에선 이때의 DSP 사옥이 나온다. 2012년에 다시 한블럭 옆의 신사옥으로 옮긴다.
파일:85A60264-FB13-4547-9601-2CB297EC7380.jpg
2012년부터 2023년까지 사용한 사옥. 주소는 강남구 논현동 36-12이다. 이전 사옥에서 그냥 바로 옆의 옆 건물로 이전한 것.

활동하는 아이돌의 현수막을 걸어 놓으며 2018년에는 에이프릴, 카드가 자주 걸린다. 겉보기엔 빌라같지만 주차장, 녹음실 및 휴게실도 있고 실내를 보면 어마어마하게 넓다. 이나은이 브이앱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회사 뒷편에 고양이가 산다고.[20]

주변에 HYBE 구 사옥[21], MLD엔터테인먼트, 쏘스뮤직[22]이 있으며 강다니엘이 이 사옥 앞에서 셀카를 찍은 적이 있다.[23]

파일:데습실내1.jpg
파일:데습실내6.jpg
연습실
파일:데습실내2.jpg
파일:데습실내3.jpg
작업실회의실
파일:데습실내4.jpg
파일:데습실내5.jpg
휴식공간사무실
강남에 존재하는 중형 연예기획사 중 몇 안 되게 3층 이상의 사옥을 가지고 있고[24] 연습실도 2층이나 된다. 캐스퍼 영입 당시에는 전용 작업실까지 줬다고 한다. 괜히 다른 중소기획사 아이돌 팬들에게 궁궐로 불리는 게 아니다.

RBW에 인수된 이후, 2023년 광진구 자양2동으로 사옥을 이전했다. #


6. 소속 연예인[편집]



파일:DSP미디어 로고 화이트.svg
역대 소속 아티스트

[ 그룹 ]
데뷔 / 계약일아티스트팬클럽
1992.02.21ZAM-
1993코코-
1994.01.01
1996마운틴
1996.02IDOL
1997.04.15젝스키스옐로우키스
1998.05.12핑클핑키
1999.08.07클릭비NIZI
2003.09.08투샤이
2004.01.20샤인
2005.06.08SS501트리플 S
2007.03.29카라카밀리아
2008.04.24에이스타일
2009.11.14레인보우레인너스
2012.04.07퓨리티
2012.06.02A-JAXA-LIGHT
2015.08.24APRIL파인에플
2017.07.19KARDHIDDEN KARD
2021.03.17미래소년NOW
2023.10.18YOUNG POSSE
굿펠라스엔터테인먼트 인수
2022.12.12가비엔제이
2022.12.12베이비블루
[ 솔로 ]




6.1. 그룹[편집]



파일:KARD 로고.svg

J.Seph
BM
전소민
전지우

[ 음반 목록 ]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10022159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10039215_org.jpg
파일:external/pop1gasa.files.wordpress.com/1980591.jpg
파일:KARD 1st Mini Album.jpg
K.A.R.D Project
미니 1집

Hola Hola
2017. 07. 19.
Project Vol.1

Oh NaNa
2016. 12. 13.
Project Vol.2

Don't Recall
2017. 02. 16.
Project Vol.3

RUMOR
2017. 04. 24.
파일:20131240 (1).jpg
파일:20180729_152526.jpg
파일:KARD single BOMBBOMB.jpg
파일:KARD Dumb Litty.jpg
미니 2집

You & Me
2017. 11. 21.
미니 3집

RIDE ON THE WIND
2018. 07. 25.
디지털 싱글

Bomb Bomb
2019. 03. 27.
디지털 싱글

Dumb Litty
2019. 09. 22.
파일:RED MOON 커버.jpg
파일:KARD 1st Single ‘Way With Words'.jpg
파일:KARD 5th Mini Album 'Re:'.jpg
파일:KARD Remix Project.jpg
미니 4집

RED MOON
2020. 02. 12.
싱글 1집

Way With Words
2020. 08. 26.
미니 5집

Re:
2022. 06. 22.
디지털 싱글

KARD Remix Project
2023. 03. 28.
파일:FtV2GjeacAAkzo4.jpg
파일:FtlUds_aMAAmOBL.jpg
파일:ICKY.jpg
디지털 싱글

Without You
2023. 04. 10.
디지털 싱글

Without You (Alok Remix)
2023. 04. 13.
미니 6집

ICKY
2023. 05. 23.
[ 참여 음반 ]
파일:998B08345A5C547F24.jpg
파일:2021 뉴 비기닝 위드 케이팝 수퍼페스트 (Live) : Day 2 .jpg
파일:WET! Episode. 1.jpg
파일:KARD Fireworks.jpg
ETC

날개 잃은 천사
2018. 01. 13.
ETC

2021 뉴 비기닝 위드 케이팝 수퍼페스트 (Live) : Day 2
2022. 01. 07.
피처링

BAD
2023. 02. 09.
프로젝트

Fireworks
2023. 11. 14.
[ 관련 문서 ]



파일:미래소년 로고 화이트.svg

이준혁
리안
유도현
카엘
손동표
박시영
장유빈

[ 한국 음반 ]
파일:미래소년_KILLA_앨범 커버.jpg
파일:Splash - MIRAE 2nd Mini Album.jpg
파일:Marvelous - MIRAE 3rd Mini Album.jpg
파일:FduyXizVEAAGKiY.jpg
미니 1집

KILLA
2021. 03. 17
미니 2집

Splash
2021. 08. 25
미니 3집

Marvelous
2022. 01. 12
미니 4집

Ourturn
2022. 09. 28
파일:FkaOgdUacAA4ttc.jpg
파일:F1Y1K5CaYAEv0vw.jpg
스페셜 싱글

Snow Prince
2022. 12. 20
미니 5집

Boys will be Boys
2023. 07. 19
[ 참여 음반 ]
파일:WET! Semi Final.jpg
피처링

Energetic
2023. 03. 02
[ 관련 문서 ]


파일:가비엔제이 로고.svg

[ 전 멤버 ]

[ 발매 음반 ]
파일:20962761_1318313471883_1_600x600.jpg
파일:33649241_1318313375417_1_600x600.jpg
파일:20180731_174539.jpg
파일:44251523_1318313014230_1_600x600.jpg

정규 1집

2005. 11. 11.

디지털 싱글

2006. 01. 23.

정규 2집

2006. 11. 02.

디지털 싱글

2006. 12. 11.
파일:59384715_1318312931658_1_600x600.jpg
파일:COVER.png
파일:A Final Reminder.jpg
파일:72855047_1318312696281_1_600x600.jpg

정규 3집

2008. 05. 16.

디지털 싱글

2008. 07. 16.

베스트 앨범

2008. 12. 05.

디지털 싱글

2009. 01. 05.
파일:79975836_1318312602225_1_600x600.jpg
파일:80051355_1318312536009_1_600x600.jpg
파일:80182880_1_600x600.jpg
파일:644280_1_f.jpg

정규 4집 Side A

2009. 09. 24.

정규 4집 Side B

2010. 01. 21.

디지털 싱글

2010. 09. 09.

정규 5집 Vol.1

2010. 11. 24.
파일:80232800_1455693376163_1_600x600.jpg
파일:애정만세.jpg
파일:가비효과.jpg
파일:227269.jpg

정규 5집 Vol.1 리패키지

2011. 01. 12.

디지털 싱글

2011. 04. 21.

정규 5집 Vol.2

2011. 05. 27.

정규 5집 Vol.2 리패키지

2011. 07. 27.
파일:80274412_1321510423739_1_600x600.jpg
파일:그러고도 남자야.jpg
파일:연락하지마.jpg
파일:가로수길에서.jpg

디지털 싱글

2011. 11. 18.

디지털 싱글

2012. 02. 27.

디지털 싱글

2012. 05. 03.

디지털 싱글

2012. 09. 14.
파일:80317688_1349746394916_1_600x600.jpg
파일:80327781_1353634061502_1_600x600.jpg
파일:이별극장.jpg
파일:별일 없니.jpg

정규 6집 Part.1

2012. 10. 09.

정규 6집 리패키지

2012. 11. 23.

디지털 싱글

2013. 04. 19.

디지털 싱글

2014. 03. 25.
파일:딱해.jpg
파일:80467530_1412648234396_1_600x600.jpg
파일:친구가 널 봤대.jpg
파일:여자사람친구.jpg

선공개곡

2014. 09. 29.

정규 6집 Part.2

2014. 10. 07.

디지털 싱글

2015. 04. 20.

디지털 싱글

2015. 07. 10.
파일:Thank You_가비엔제이.jpg
파일:80732901_1446515027354_1_600x600.jpg
파일:슈비루비룹.jpg
파일:미안했을까.jpg

10주년 기념 싱글

2015. 10. 07.

정규 7집

2015. 11. 03.

디지털 싱글

2016. 07. 20.

디지털 싱글

2016. 12. 20.
파일:뻔한 멜로.jpg
파일:행복하댔잖아.jpg
파일:헤어지래요.jpg
파일:I'm Fine.jpg

미니 1집

2017. 02. 23.

디지털 싱글

2017. 10. 29.

미니 2집

2018. 04. 01.

디지털 싱글

2018. 09. 16.
파일:없더라.jpg
파일:다시 만나자.jpg
파일:신촌에 왔어.jpg
파일:전 여친.jpg

디지털 싱글

2019. 04. 09.

미니 3집

2019. 07. 07.

디지털 싱글

2020. 01. 22.

디지털 싱글

2020. 07. 12.
파일:가비엔제이_Last Christmas.jpg
파일:연애소설2021.jpg

디지털 싱글

2020. 12. 04.

디지털 싱글

2021. 08. 06.
[ 관련 문서 ]



파일:베이비블루 로고.svg
지나온
도아윤


파일:YOUNG POSSE 로고.svg

정선혜
위연정
지아나
도은
한지은


[ 한국 음반 ]
[ 관련 문서 ]
||
||
||



6.2. 가수[편집]



파일:허영지 로고.png

[ 한국 음반 ]
[ 일본 음반 ]
[ 참여 음반 ]
[ 관련 문서 ]



Ahn Yeeun


[ 음반 목록 ]
정규 음반
파일:aye_aye.jpg
파일:ahno.jpg
파일:ahn3.jpg
파일:안예은 정규 4집.jpg
정규 1집

2016.11.28.
정규 2집

2018.7.12.
정규 3집

2020.02.25.
정규 4집

2023.02.12.
EP/미니
파일:aye_aday.jpg
파일:섬으로_앨범표지.jpg
파일:안예은 미니앨범 3집 섬에서 앨범 표지.jpg
미니 1집

2017.8.21.
EP 1집

2021.4.3.
EP 2집

2021.11.28.
싱글
파일:aye_samethink.png
파일:hollobom.jpg
파일:8ho.jpg
파일:Neungsohwa.jpg
싱글

2017.12.5.
싱글

2018.3.30.
싱글

2019.02.22.
싱글

2020.8.6.
파일:안예은윤무.jpg
파일:안예은프루스트.jpg
파일:문어의 꿈 앨범 커버.jpg
파일:안예은창귀.jpg
싱글

2020.11.29.
싱글

2021.1.9.
3집 싱글컷

2021.5.5.
싱글

2021.8.1.
파일:열 달 아흐레_안예은.jpg
파일:안예은 메롱해치.jpg
파일:안예은 용천동굴.jpg
파일:안예은 선.jpg
싱글

2021.10.9.
싱글

2022.1.1
싱글

2022.2.27.
싱글

2022.3.23.
파일:안예은_노승과 잔나비.png
파일:백유화.jpg
파일:안예은쥐(RATvolution).png
파일:안예은_우리여기(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50주년 기념 음원).jpg
싱글

날짜
싱글

2022.6.25.
싱글

2022.7.20.
싱글

2022.8.30.
파일:안예은범진조각들.jpg
파일:안예은홍련.jpg
파일:곡쟈켓이미지.png
싱글

2022.9.14.
싱글

2023.8.5.
[ 참여 음반 ]
[ 관련 문서 ]




6.3. 배우[편집]




7. 과거 소속 [편집]



7.1. 연예인[편집]




7.2. 연습생[편집]




8.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DSP미디어/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여담[편집]
















[1] 정확한 날짜는 알려져 있지 않은데 위키백과는 물론이고 공식 홈페이지 마저도 1991년 10월만 써져있다. 중간에 법인을 몇차례 바꿔 가며 운영한 이력이 있으며, 현재의 법인은 기존 법인의 코스닥 우회상장 이후 2008년 9월 19일 물적분할 형태로 새로 설립한 법인이다.[2] 모기업 RBW 대표 겸임[3] 전 굿펠라스엔터테인먼트 대표로 가비엔제이, SG워너비, 씨야 등을 프로듀싱한 인물이다.[4] 2022년 1월 26일 인수. 기사[5] RBW에 인수되기 이전에는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해 있었다.[6] 기사[7] 2019년 영상.[8] 1999년, DSP로 사명을 변경한다.[9] 당시의 기사 원문 : ‘SM기획’과 ‘대성기획’은 그 중 단연 두드러지는 곳. SM기획 대표 이수만은 H.O.T., S.E.S., 신화를, 대성기획 대표 이호연은 젝스키스와 핑클을 배출해 가요 시장의 권력을 장악했다. 요즘 가요계를 ‘수만이와 호연이의 전성시대’라고 부를 만큼 이들의 영향력은 막강하다.#[10] 양대산맥이라고 서술한 기사들###############[11] 파일:IMG_8574.jpg[12] 또는 팬클럽 이름을 딴 "카트엘"이 많이 사용됐다.[13] 가수 매니지먼트에 관한 사례연구, 김정은, 경희대 언론정보대학원, 2000.[14] 기사: 이호연 쓰러진 후 DSP, '아내의 경영은'[15] 기사[16] #[17] 보컬 전문 기획사 굿펠라스엔터테인먼트와 배우 기획사인 지킴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하며 이쪽 인력이 함께 옮겨왔다. 젝키·핑클·카라 배출한 DSP, 배우 매니지먼트 사업 진출[18] "핑클·카라 동생 나온다"..DSP미디어, 신인 걸그룹 론칭[19] 2013년까지도 DSP 명의의 전용연습실이 없어서 일반 연습실을 대여해 썼다고 한다. 한승연이 2013년에 사옥 내 연습실이 생기자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20] 인스타그램과 브이앱에서는 지하주차장에서 사는 모습이 발견되었는데, '디고'라고 부른다. # '디에스피고양이'.[21] 그래서 학동역에 에이프릴 말고도 방탄소년단 생일광고가 많이 걸린다.[22] 쏘스뮤직은 원래 동남빌딩 지하에 있었다가 빅히트가 이사가면서 방시혁대표가 쏘스뮤직 소성진대표에게 지금의 자리를 준 거 같다.[23] 다니던 실용음악학원 유튜브 계정에 안무연습 영상이 있는데, DSP 연습실에서 찍었다.[24] 뮤직웍스도 1층만 쓴다고 한다. WM엔터테인먼트가 7층이긴 하나 망원동이므로 예외로 친다. 플레디스도 2016년부터 3층 이상 사옥을 쓴다.[25] 고지용은 젝스키스의 재결합과는 별개로 연예계에 복귀할 뜻이 없음을 토토가 출연 당시에 밝혔다. 이후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출연했지만 이 역시 연예계 복귀와는 무관하다.[26] 당시 이서진과 흡사한 외모로 기억되었던 하이 톤 담당. 현재는 해외에서 성우로 활동하고 있다. 참고로 해당 이름은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27] 1인기획사[28] 1인 기획사[29] 마마 크리에이티브와 계약했으나, 설성민 대표의 구속 이후 계약을 해지하고 이적했다 2019년 12월에 STX라이언하트로 이적.[30] 지앤지프로덕션의 매니지먼트 부문이 분사한 기획사다.[31] 계약 이관 후에도 DSP미디어 사이트에 프로필이 한동안 남아 있었다.[32] 은지원의 당시 소속사 대표로 하였다.[33] 굿펠라스 흡수합병 전에는 굿펠라스 소속이었다.[34] 젝스키스와 핑클 팬의 경우 소속사를 지칭할 때 대성기획을 많이 사용하고 SS501, 카라, 에이프릴, 카드 팬들은 그냥 데습(혹은 데슾)이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35] 전성기인 90년대 후반~00년대 극초반 당시에 대성기획은 SM만큼이나 잘 알려진 회사였다. 그러나 00년대에 접어든 이후 SM과 확연히 차이가 나게 되고, 당연히 팬덤의 규모나 소속 가수들의 인지도가 적어져 대중에게 노출되는 빈도수도 줄어들고, 거기에 사명까지 바뀌니 인지도가 더욱 낮아진 것. 물론 DSP로 이름이 바뀐 것은 99년이긴 했지만, 이때 활동하던 젝키, 핑클의 팬들 중 사명이 바뀌었다고 갑자기 회사를 DSP라고 바꿔부르는 사람들은 거의 없었다.[36] 사인은 자살로 추정되었다.[37] 사실 관리를 안하는건 아닌데, 망나니돌이라 불린 핑클처럼 개무시한 케이스가 많았을 뿐이라는 의견도 있다.(...) 예를 들어 폰 가져갔더니 바로 몰래 새 폰을 개통했다던가.. 특히 핑클은 합숙 생활이 아닌 개인 집에서 차 타고 가는 식이다 보니 이효리의 경우 활동 기간에도 퍽하면 밖에 나가 친구들과 술 마셔 독실한 교회 신자였던 성유리랑 이진이 이효리 노는 언니처럼 봐서 기겁했다고 고백하기도 했다.[38] 과거형 어미가 붙은 이유는 다름아닌...[39] 참고로 SS501도 2020년에 재결합을 시도했으나 무산된 바 있다.[40] 하지만 에이젝스와 에이프릴은 예외다. 에이젝스는 그룹 자체가 워낙 듣보잡이었던지라 재결합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고, 에이프릴은...[41] 물론 사실상 RBW가 인수한거긴 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