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N 미니미

덤프버전 :

Minimi
Mini Mitrailleuse
소형 기관총
파일:xm249_sheet 0.jpg
파일:external/cfs11.blog.daum.net/47ea63abba686&filename=minimi.jpg
종류경기관총
원산지
파일:벨기에 국기.svg

【펼치기 · 접기】
이력
역사1974년~현재
개발에르네스트 베르비에
생산FN 에르스탈
테일즈 오스트레일리아
피에트로 베레타
보포스 칼-구스타프(현 사브-보포스 다이내믹스)
PT 핀다드
스미토모중기계공업
생산년도1974년~현재
사용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사용된 전쟁걸프 전쟁
부룬디 내전
코소보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리비아 내전
시리아 내전
이라크 내전
예멘 내전(2014년)
기종
파생형미니미 Para
미니미 SPW
M249
미니미 7.62
미니미 Mk 3
제원
탄약5.56×45mm NATO
급탄100, 200발 벨트형 탄띠
30발들이 STANAG 탄창
작동방식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
회전 노리쇠 방식
총열길이465mm
349mm(Para)
조준 반경490mm
전장1,040mm
914mm(Para, 개머리판 연장)
776mm(Para, 개머리판 수축)
중량7.1kg(탄약 미포함)
10kg(200발 탄약, 탄통 포함)
강선7인치에 1회전
발사속도725~1,150RPM
탄속925m/s
866m/s(Para)
유효사거리800m
최대사거리3,600m
1. 개요
2. 상세
3. 파생형
4.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4.1. 게임
4.2. 영화
4.3. 소설, 만화 및 애니메이션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노르웨이 향토방위군의 장전
발사 동시에 총열 교환하는 훈련 모습 (Minimi PARA)
육상자위대 5.56mm 기관총 MINIMI(89식 소총) 공포탄 사격
(모의전투)

FN사가 1970년대에 개발한 경기관총. '미니미'라는 이름은 '소형 기관총' 이라는 뜻의 프랑스어 'Mini-Mitrailleuse(미니 미트레외즈)'를 줄인 것이다. FN FAL[1]FN CAL, FN MAG을 개발한 에르네스트 베르비에(Ernest Vervier)가 개발했다.


2. 상세[편집]


7.62×51mm NATO 탄이 이전까지의 가벼운 총에서는 반동이 강해 자동발사를 통한 제어가 어려웠고, 결국 베트남 전쟁에선 무겁고 잔고장도 많았던 다목적기관총M60분대지원화기로 써야 했던 미 육군은 무게는 물론 성능까지 여러모로 부족했던 M60에 대해 불만을 품게 되었고[2], 베트남전 이후 새 분대지원화기를 찾다가 마침 등장한 FN 미니미를 M249란 이름로 명명해서 제식 채용한 뒤로, 여러 나라가 도입한 베스트셀러 기관총. 이후로 서구권 분대지원화기는 아예 미니미거나, MG4처럼 미니미와 유사한 물건이 대세가 되었다. 현재는 45개국에서 미니미와 그 파생형을 사용 중이다.

기관총 탄약이 떨어졌을 때에 소총용 STANAG 탄창을 탄띠 삽입구 아래의 구멍에 꽂고 쓸 수 있는 기능이 있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비상용이며 주된 급탄 방식은 탄띠 급탄이다. 신뢰성 좋은 다른 탄창 급탄식 기관총이 많음에도 유독 미니미에서만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은 일종의 설계상 문제인데, 탄창 급탄시에는 탄띠를 끌어당길 필요가 없다 보니 노리쇠의 왕복 속도가 더 빨라지게 되고 탄창의 스프링이 밀어주는 속도가 이 노리쇠 왕복 속도를 못 따라가 탄걸림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이다. 탄창과 탄띠 급탄이 둘 다 가능한 네게브 기관총의 경우 탄창급탄시에는 가스조절기로 발사속도를 늦추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일반 STANAG 탄창은 삽입구가 잘근잘근 씹혀서 금방 고장나버린다. 맥풀 사에서 자사의 PMAG 탄창 내구성 테스트를 미니미에 꽂아서 테스트할 정도다. 이 외에도 기관총 사수가 소총수의 탄창을 빌려 써야 할 상황이 막상 실전에서 그리 많지 않았기 때문에, 중량 감소나 신뢰성 증대 목적으로 탄창 급탄 기능을 삭제한 버전들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아래의 미니미 SPW나 Mk.46 LWMG. 물론 보통은 이왕 있는 거 굳이 삭제하지 않고 그냥 야전교범에다가 비상용으로 쓰라고 가르치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

여담으로 권총 손잡이는 FN FAL / FN FNC의 손잡이와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3. 파생형[편집]


  • 미니미 Para
  • 파일:MinimiPara.jpg
  • 349mm 총열과 인입식 철사 개머리판을 사용하는 단축형. 공수부대의 운용을 위해 개조된 모델이다.

  • 미니미 SPW
  • 파일:MinimiSPW.jpg
  • 개조형 모델. 미니미 Para의 총열과 개머리판을 사용하고 총열덮개는 피카티니 레일로 교체되었으며, STANAG 탄창 삽입구와 양각대가 삭제되었다.


  • 미니미 Mk 2
  • 파일:미니미.jpg
  • M249의 장점을 가져와 업그레이드한 미니미.

  • 미니미 Mk 3
  • ||
    파일:Minimi_556_Mk3.jpg
    ||
    파일:Minimi_556_Mk3_Para.jpg
    ||
  • || Mk 3 || Mk 3 Para ||
  • 2013년 11월에 나온 최신 개량형. 간단한 개조로 5.56×45mm NATO 탄과 7.62×51mm NATO 탄을 바꿔서 쓸 수 있다고 한다. 벨기에군의 차기 기관총으로 확정되었다.


4. 대중매체에서의 등장[편집]


  • M249는 해당 문서 참조.


4.1. 게임[편집]




  • 버추어 캅
  • 3편 공군기지 스테이지에서 보스전 직전에 사용할수 있는 군 차량에 거치된 기관총으로 나온다.

  • 사혼곡 2: 사이렌
  • 나가이 요리토의 마지막 시나리오인 '결전' 종료조건 1에서 변종 암인(갑형)이 된 미사와 다케아키가 보스전에서 들고 덤벼든다. 안그래도 변종 암인은 정면공격이 안 먹히고 이놈은 보스몹이라 이동속도도 빠른데 사용무기마저 이런 놈이라면.... 종료조건 2에서는 진 최종보스인 오토시고와 맞짱뜰 때 사용할 수 있지만 진짜 징하게 갈겨대야 죽는다. 차라리 조건 맞춰서 화형시켜 버리는 게 더 편할 정도.

  • 솔저 오브 포춘 온라인
  • 장탄수 100발에, 값도 쎄고(거의 5만에 육박. 저격소총류가 5만대 초반이다.), 무게도 묵직해서 P90이나 여러 돌격소총류 보다 못한 면을 보이나, 화력이 굉장히 뛰어나서 컨트롤만 받쳐주면 근거리에서 몇명이고 재장전 없이 순식간에 요단강 익스프레스 보내버릴 수 있는 무기. 외관이나 특유의 손맛 때문에 의외로 인기가 많다.

  • 재기드 얼라이언스 2
  • 오버사이즈 돌격소총으로 나온다. 무...무슨? 차라리 C7을 쓰고 말지... 하지만 1.13 모드를 깔면 제대로 기관총 대우를 해 준다. 특히 각종 옵션을 달아줄 경우, 게임 내에서 연사력이 가장 빠른 경기관총으로 변한다.



4.2. 영화[편집]



  • 히트맨(2007년 영화)
  • 우드레 벨리코프가 두자루를 들고 쏜다. 하지만 에이전트 47이 던진 수류탄에 의해 공중부양을 당하면서 한대도 못 맞추고 GG. 그나마 두자루씩 쓰면서도 그 좁은 실내에서 오인사격 한번 안한것은 대단하다.



4.3. 소설, 만화 및 애니메이션[편집]


  • DADDYFACE
  • 3권에서 주인공인 쿠사카리 슈우지가 후유미를 구출하기 위해 사용.

  • 데빌17
  • 2권에서 쿠로에 토오루가 사용.

  • 데프콘
  • 제1부 한중전쟁편에서 암살자 구스타프가 중국 정치당원들을 암살할때 저격용으로 사용했다.




5. 둘러보기[편집]























































































































[1] 정확히는 같은 회사 소속의 디외도네 세브(Dieudonné Saive)와 공동 개발.[2] 결국 M60은 1990년대 이후 M240 기관총에 밀려 사실상 퇴출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