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J-22

덤프버전 :

파일:J-22.jpg

소코 J-22 오라오(Soko J-22 Orao)

1. 소개
2. 양국 협력 개발
3. 시험 비행
4. 실전에서
5. 제원
6. 파생형
7. 둘러보기



1. 소개[편집]


현재는 사라진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의 국영 항공기업 SOKO(Соко)와 루마니아의 IAR(Industria Aeronautică Română) 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공격기가 "독수리"라는 의미를 담은 J-22 오라오였는데, 루마니아에는 같은 기종을 IAR.93 불투르(Vultur)라고 부르고 있다. 두 기종은 기본적으로 같지만, 기내 의장이나 항공전자 장비가 조금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자료에 따라서는 다른 기종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흔하다. 다만, 아예 혼동하고 별도의 기종으로 설명되는 일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2. 양국 협력 개발[편집]


유고슬라비아와 루마니아는 개발에 앞서 국제 협력 개발기구인 YuRom을 먼저 만들고 작업을 진행해나갔다. 루마니아 개발진은 테오도르 잔피레스쿠(Teodor Zanfirescu)가 이끌고 유고측은 비도예 크네제비치(Vidoje Knezević) 대령이 수석 설계자로 임명되었다.

루마니아에서 먼저 완성된 원형 1호기 IAR-93(001호기)은 뒤로 43도 젖혀진 얇은 후퇴익에 3도의 하반각이 주어졌고, 테이퍼 비율이 3에 가로세로비가 3.6이어서 델타익에 가까운 날개가 고익 배치된 형상이었다. 반대로 수평 미익은 낮게 배치되었는데, 이와 같은 형상은 날개 파일런에 무장을 탑재하기 쉽고 주익과 미익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유고측의 VTI Žarkovo 기술진들과 루마니아의 국영 항공연구소(INCAS) 엔지니어들이 협의한 끝에 선택된 것으로 당시에는 SEPECAT 재규어일본미쓰비시 F-1 같은 초음속기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오라오 원형기에 장착된 엔진은 애프터버너가 없었던 탓에 수평 비행에서는 음속 이하의 속도로만 낼 수 있는 아음속 공격기였다. 원형기 발표로부터 9년이 지난 1983년에 후연기를 갖춘 엔진으로 바꾼 오라오 2부터는 제한적인 초음속 공격기로 거듭났다. 오라오는 기체 설계는 유고슬라비아와 루마니아가 협력해 빚어냈더라도 엔진과 항전 장비 상당수는 영국으로부터 구입한 것을 이용했고, HUD프랑스 톰슨(Thompson-CSF) 사의 것을 그대로 써서 개발 비용을 아끼고 실용화를 앞당겼다.


3. 시험 비행[편집]


오라오의 시험비행은 루마니아 쪽이 며칠 더 빨랐다. 단좌형 White 001호기는 1974년 10월 31일에 바커우(Bacău) 비행장에서 게오르게 스터니커(Gheorghe Stănică) 대령이 비행에 성공했다. 유고에서 만든 원형 2호기에 해당되는 25002호기는 같은 해 11월에 베오그라드 바타이니차 공군기지(Batajnica Air Base)에서 블라디슬라브 슬라부예비치(Vladislav Slavujević) 소령이 처녀비행에 도전했다. 그로부터 3년 후에는 복좌형인 NJ-22(25003호기)도 만들어져 시험비행을 시작했다. 복좌형에서는 꼬리날개가 플러터 현상을 일으키는 증상이 발견되어 설계에 수정이 가해졌다. 엔진 강화형인 25101호기는 1984년 11월 22일에 원형 2호기가 떠오른 바로 그 활주로에서 이륙했고, 이때 시험비행을 맡은 마랸 옐렌(Marjan Jelen) 소령은 조종간을 살짝 앞으로 밀어 완만한 강하 기동을 통해 음속을 돌파했고, 이것은 유고와 루마니아 항공기 개발사를 통틀어 처음 해낸 쾌거였다.

오라오는 기체 설계만큼은 재규어와 미츠비시 F-1, 그리고 정면에서 본 형상은 다쏘-도르니어 알파 제트 같은 기종과 흡사하며 당대의 설계 흐름을 충실히 쫓아 완성도가 높았다. 하지만 장비된 롤스로이스 바이퍼 엔진은 터보제트 엔진이어서 추력에 비하면 연료 소모가 크고, 그런 탓에 저공 비행이 잦은 전술 공격기로 이용될 경우 항속거리가 짧고 전투 행동 반경이 좁은 한계를 드러냈다.


4. 실전에서[편집]


J-22를 수령한 첫 부대는 체르클레(Cerklje)에 주둔하고 있는 유고슬라비아 공군의 제82항공여단 예하의 제351정찰 비행중대였다. 이 부대는 1991년에 처음 실전에 동원되기 전까지 J-22 공격기와 NJ-22 훈련기를 갖춘 3개 대대가 있었다. 이 여단 예하의 제238전투폭격기 비행중대와 골루보브치(Golubovci) 기지의 제241 및 98항공여단의 제242 및 127 전투폭격기 연대에도 J-22가 배치되었다.

J-22는 슬로베니아에서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시작될 때 무력시위를 위해 비행했지만 이때만 해도 실제로 폭탄을 떨어뜨리지는 않았다. J-22의 첫 번째 공격 미션은 유고슬라비아군이 크로아티아의 군사 목표물을 공격하는데 출격시킨 1991년이었다. 전쟁 첫 해에 무셰 베기치(Muše Begić) 중령이 조종한 NJ-22가 격추되었으나 무사히 탈출했고, 제238전폭기 중대의 토미치(Z. Tomić) 소령은 전사했다.

슬로베니아에서 JNA가 철수한 후, 제82항공여단은 체르클레에서 바냐 루카 마호블랴니(Banja Luka Mahovljani) 공군기지로 옮겨갔다. 이듬해인 1992년보스니아 내전이 시작되자 유고슬라비아군은 8대의 J-22 편대를 스릅스카 공군(Republika Srpska Air Force)에 맡기고 떠났다. 1대의 기체는 전쟁 중에 행방이 묘연해졌다.

1999년에 유고슬라비아의 J-22는 20회 전투 임무를 수행하면서 코소보 해방군(Kosovo Liberation Army)에 대해 제한적인 전투를 경험했다. 3월 25일, 지보타 주리치(Života Ðurić) 중령이 조종한 J-22는 기체 고장인지 조종사의 실수인지 확실하지 않은 요인으로 행방불명되었다. 또한 NATO군의 공습이 포니크베(Ponikve) 공군기지의 격납고에 집중되자 6대의 J-22와 2대의 MiG-21을 포함하여 11대의 군용기가 지상에서 파괴되었다.

비교적 최근인 2010년 6월 3일, 세르비아 공군의 슬로보단 요치치(Slobodan Jocić) 소령이 조종하던 J-22가 세르비아 중부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기체의 랜딩기어가 고장나 펼쳐지지 않자, 슬로보단 소령은 위험한 동체착륙을 시도하거나 기체를 버리고 비상탈출을 하는 대신 J-22를 몰고 잔잔한 호수 위에 착수했고, 그 직후에 안전하게 구조되었다.


5. 제원[편집]


처녀비행 : 1974년 10월 31일
승무원 : 1명
운용 시기 : 1978년~
전장 : 13.02 m / 전폭 : 9.30 m / 전고 : 4.52 m / 익면적 : 26.00 m²
중량 : 5,550 kg~11,080 kg
동력 : 롤스로이스 바이퍼 Mk 633-41 터보제트 엔진 (추력 4,000~5,000 lbf) 2기
최대속도 : 1,130 km/h (해면고도)
실속속도 : 185 km/h
전투행동반경 : 522 km (BL755 폭탄 4발 + 1,500 L 보조 연료탱크 탑재시)
항속거리 : 1,320 km
상승한도 : 15,000 m
상승률 : 5,340 m/min.
무장 : 23mm GSh-23L 기관포 2문 / 하드포인트 5개소 2.8톤
미사일 : AGM-65 매버릭 또는 Grom-1 공대지 미사일
폭탄 : BL755 확산탄, 듀랜달 활주로 파괴폭탄, LGB


6. 파생형[편집]


IJ-22 Orao 1 : 유고슬라비아 기술진들이 제작한 프로토타입 1호기
J-22A Orao 1 : 초기형 단좌 공격기로 애프터버너가 없는 Viper Mk 632-41R 엔진을 장비.
J-22B Orao 2 : 165대가 생산된 주력 생산형
NJ-22 Orao : 35대가 생산된 복좌 전술 정찰기 형식.


7. 둘러보기[편집]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현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 및 반항공군 (2006~현재)
Zračne snage Bosne i Hercegovine
회전익기다목적 헬기Mi-34S1R, 벨 206R, Mi-8/17, UH-1H, SA341/342
공격헬기Mi-24R
공격기J-22R
수송기C-212R
훈련기UTVA 75R, G-2R, G-4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04:22:18에 나무위키 J-2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