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e-2

덤프버전 :

파일:external/www.flugzeuginfo.net/petlyakov_pe2_peterdejong.jpg
Петляков Пе-2(Petlyakov Pe-2)
Пешка, 영어 음독: Peshka, 의미는 "Pawn"
1. 개요
2. 제원
3. 개발사 및 이모저모
4. 운용
5. 매체에서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동부 유럽 전선에서 주로 활약했던 소련군급강하폭격기. 급강하폭격기로써의 용도 뿐만 아니라 야간 전투기, 중전투기, 지상공격기 등 일반 단엽기들이 맡기 힘든 임무에 전부 투입되었다. 특히 Il-2와 더불어 당대 최고의 지상공격기로 평가받기도 했다. 중전투기나 야간 전투기, 정찰기로써의 역할도 수행했는데, 이를 위해 장갑을 줄이고, 항속거리를 늘린 Pe-3라는 자매품(?)도 존재했었다.[1] 그러니까 그 당시 서방권 항공기와 비교하자면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와 비슷한 역할을 맡았다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대전 중 생산 댓수는 무려 11,400대로, 중전투기로 분류해 쌍발 전투기로 분류하게 되면 P-38 라이트닝보다 생산량이 많아진다. 다만, 전후 NATO에서는 폭격기로 분류하여 Buck이란 코드명을 붙이게 된다.


2. 제원[편집]


Pe-2
분류: 쌍발 폭격기
승무원: 3명(조종수, 후방사수, 항법사 겸 사수)
전장: 12.66m
전폭: 17.16m
전고: 3.5m
익면적: 40.5㎡
엔진: 클리모프 M-105PF 수랭식 V12 엔진 2기(1,210 hp)[2]
자체중량: 5,875 kg
최대이륙중량: 8,495 kg
최대속도: 580km/h
항속거리: 1,160 km
최대상승고도: 8,800 m
무장: 기수 7.62mm ShKAS 기관총 2정[3]
방어무장: 7.62mm ShKAS 기관총 후방사수석에 1정, 동체 측면에 1정, 꼬리에 1정[4]
폭장: 최대 1,600kg

Pe-3
분류: 쌍발 폭격기
승무원: 3명(조종수, 후방사수, 항법사 겸 사수)
전장: 12.66m
전폭: 17.16m
전고: 3.5m
익면적: 40.5㎡
엔진: 클리모프 M-105RA 수랭식 V12 엔진 2기(1,100 hp)
자체중량: 5,858 kg
최대이륙중량: 8,000 kg
최대속도: 530km/h
항속거리: 1,500 km
최대상승고도: 9,100 m
무장: 기수 7.62mm ShKAS 기관총 2정, 12.7mm 베레진 UB 기관총 1정[5]
방어무장: 7.62mm ShKAS 기관총 후방사수석에 1정, 동체 측면에 1정, 꼬리에 1정[6]
폭장: 최대 700kg


3. 개발사 및 이모저모[편집]


이름에서 드러나듯이 설계자는 블라디미르 페틀랴코프. 굴라그항목에서 나오듯이 1937년에 수용소에 잡혀간 상태에서 개발을 시작했다. 개발 시작은 고공 폭격기인 투폴레프 ANT-42(Pe-8)을 호위할 고공 호위 전투기로서 최초로 붙여진 명칭은 VI-100. 프로토타입이 초도비행을 했던 1939년에는 상당히 하이테크 기체에 속했다. 여압 조종석, 전금속제 동체, 슈퍼차져, 전기로 작동하는 시스템 등. 이렇게 하이테크 기체면 당시 당시 소련의 상황을 미루어봐서는 빠꾸를 먹었겠지만, 다행히 프로토타입은 제대로 개발되어 제식 채용이 되기에 이른다.

다만, 대량 생산을 시작할 시기가 독일군이 전격전으로 유럽을 쓸어담고 있던 시기라 갑자기 소련 공군 수뇌부의 우선 순위가 전략폭격기에서 급강하폭격기로 바뀌게 된다. 이 덕분에 급강하폭격기로 재설계 되기에 이른다. 재설계를 요구할 당시, 45일을 주고 공밀레를 시전했다고... 어쨋든 시간이 충분치 않았으므로, 기존 디자인을 마개조하기로 결정한다. 결국 이 덕분에 고공에서 활동을 위한 여압식 콕핏을 제거하고, 개방형태로 바꾸었고, 에어브레이크를 장착하고, 폭탄창을 추가하는 등 폭격기로써 개량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재설계되어 PB-100으로 명명되었고, 이제야 비로소 이오시프 스탈린이 석방을 허락하고 이름을 붙이는 것을 허락한다. 덕분에 이름이 Pe-2가 된다. 다만, 초도비행을 하기 전 까지 엄청난 압박을 받아야 했다고...

페트리야코프는 개발자고 기술자고 몽땅 전쟁터로 끌려가는 게 비행기 생산에 점점 악영향을 끼치자 소련 수뇌부에 직접 따지기 위해 Pe-2를 타고 모스크바로 향하다 1942년 1월 12일 추락사한다. Pe-8을 비롯해 소련의 열악한 기술환경으로도 고성능 기체를 만들어낸 페트리야코프였지만 소련과 당대의 많은 항공기술자가 그랬듯[7] 항공사고를 피해갈 수는 없었다.

비행 특성은 그다지 나쁜 물건은 아니었으나, 문제는 이륙시 조종간을 당기는 게 무지무지 어려웠다고 한다. 특히, 야간 폭격 임무에는 여군 조종사들이 많이 참전했었는데, 이 문제 때문에 조종간을 못 당겨서 애로사항이 꽃피었다고 한다. 해결책은 승무원 중 한 명이 일단 조종석 옆에 탑승해서 조종사가 조종간을 당길 때[8] 조종사의 팔을 같이 당겨 주고, 이륙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운용했다고 한다.

또한, 무장이 생각보다 빈약했다고 한다. 기체 등짝 부분에 장착된 ShKAS 기관총의 경우, 발사 속도는 빨랐지만 재밍이 자주 일어났으며, 배 부분의 기관총 포탑은 시야가 너무나 제한적이었고, 마찬가지로 고장이 잦았다. 이 때문에 기체 양 측면에 필요하면 장착해 사용할 수 있는 ShKAS 기관총을 하나 더 싣고 다녔으나, 문제는 총은 하나고, 총구는 두 개라 사수가 여간 근육맨이 아니면 양 측으로 총을 옮기며 쏘는 게 쉬운 일만은 아니었다. 어쨋든 방호력을 보충하기 위해 대구경 기관총으로 등짝 부분의 포탑을 교체했으며, 이 덕분에 생존률이 두 배가 되었다고...[9]

초기에 문제가 많던 미쿨린 M-105 액랭식 엔진 대신 M-82 공랭식 엔진을 장착한 사양도 개발되었으나, M-82 엔진이 어느 전투기에 집중적으로 투입된 탓에 물량 부족으로 소수만 생산되었다.

4. 운용[편집]


파일:146373869613773718.jpg

일단 전쟁 상황이 상황인지라 1941년 까지는 별로 활약이 없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독일군의 공세 때문에 못 버티는 상태였기 때문. 그러나 반격이 시작되면서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처럼 고속 폭격기로써 장점이 부각되기 시작한다. 독일 공군의 주력 기체인 Bf 109를 뿌리치고 고속 폭격을 가하기도 했고, 따라잡은 109들을 도리어 역관광 태우기도 하는 등 기대 이상의 활약을 보여준 것이다. 다만, 앞에서 언급되었듯이 방어 무장의 부족과 끊임없이 재밍을 일으키는 현상은 지속적으로 승무원들을 괴롭혔다. 심지어 드르륵! 한 번 쏘았는데 바로 잼 되어버리는 경우도 있었다고. 또한, 조종사를 제외한 승무원을 보호할만한 장갑이 별로 좋지 않아서 조종사 한 명이 부상당할 때, 다른 승무원들은 10명이 부상당했다고 한다. 이 문제는 이후 실전 경험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장갑을 더 장착하면서 해결했다고 한다.

Pe-3는 Pe-2를 기반으로 생산되었으나, 무장이 빈약하고 최대상승한도가 낮아 독일 폭격기를 효과적으로 요격 할 수 없었다. 그탓에 주로 지상공격을 하게 되었고, Pe-3의 생산을 유지 할 필요를 못 느낀 소련 상층부는 Pe-3수준의 무장을 Pe-2에 달아버리고[10] Pe-3의 생산을 중단시켰다. 실제 독일의 Bf 110과 비교하면 거의 모든 면에서 부족하기 때문에 Pe-3의 입지는 당연히 약해질 수 밖에 없었다. Bf 110 G형은 Pe-2 후기형보다 폭장량이 더 많다. 일부 기체는 야간전투기로 개조되 레이다를 달아보았지만... 당시 소련의 기술력의 한계로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았다.

한편 핀란드에서도 계속전쟁이 벌어지자 독일로부터 노획된 Pe-2를 구매해 사용했다. 초반 계획은 급강하폭격기로 사용하려 했으나, 급강하시 엔진 부분에 장력이 너무 크게 발생해 취소되고, 장거리 정찰 및 폭격으로 바뀐다. Pe-3도 노획해 같은 용도로 사용했다고 한다.

전후 50년대 초반까지 유고슬라비아를 비롯한 동유럽권 국가에서 폭격 및 정찰용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5. 매체에서[편집]


  •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 IL-2 Sturmovik 시리즈에서 등장하여 오리지널 버전에서는 조종 불가 기체이지만 1946이라는 정식 버전에서는 조종할 수 있다. 공대공 전투에 투입하기에는 비행성능이 Il-2 시리즈 수준이기에 대부분 이거타는 유저들은 죄다 폭장하고 지상파밍을 한다.
파일:pe2s35.jpg
파일:pe2s87.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IL-2 Sturmovik: Great Battles/Pe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워 썬더에서도 소련 항공병기 트리에 Pe-2와 Pe-3가 전부 다 나오며, 전기형, 후기형또한 구현되었다. Pe-3 시리즈는 하나같이 처참한 상승력과 거지같은 기동성, 거지같은 위치에 장착된 고정무장탓에 리얼리스틱 공중전에서는 도저히 써먹을 수 없는 폐기물급 항공기다. 그나마 지상전 리얼에서는 쓸만하지만 이마저도 폭장량이 처참해서 CAS 용으로도 못써먹는다. Pe-2도 마찬가지로 기동성과 속도에서 처참한 수준이긴 하지만, 하강 속도는 높아 가끔 요격하러 오는 독일 적기들을 속도 면에서 제끼기도 한다.

  •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 에서도 관제기 트리와 폭격기 트리 둘다 등장한다. 성능은 별로지만 디자인이 꽤 잘 뽑혀서 타는 유저들은 타고다니는 편.

  • 월드 오브 워플레인에서 Pe-2가 소련 폭격기 트리에서 5티어와 6티어에 각각 오리지널과 M-82 엔진 장착형이 등장한다.


6. 둘러보기[편집]


제2차 세계 대전의 소련군 항공병기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 펼치기 · 접기 ]

겨울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항공기
전투기복엽 전투기I-15, I-15bis, I-153
전투기I-16 이삭, Yak-1, Yak-7, Yak-9, Yak-3, MiG-1, MiG-3, LaGG-3, La-5, La-7, La-9A, La-11A, Pe-3
폭격기경폭격기, 공격기Po-2,Il-2, Il-10, Su-2, Su-6, Ar-2, Pe-2, SB, Yak-2, Yak-4
中폭격기DB-3, Tu-2, Yer-2
重폭격기TB-3, Pe-8, Tu-4A
랜드리스 항공기미국 지원 항공기P-40C, P-40E-1, P-39 '코브라', P-63 킹코브라, P-47, P-51m, A-20, B-25, B-24, C-47, T-6, GST 카탈리나
영국 지원 항공기허리케인, 스핏파이어, 호커 타이푼m, 햄든, 스털링, 모스키토
공중항공모함즈베노 프로젝트
노획 기체나카지마 I-97, Fw190D, Bf109G, Me262, B-17, B-29
기타 항공기 및 시제기I-15GK, I-153GK, I-15bis TK, I-153TKm, I-15bis DM, I-153DM, I-153UD, I-153P, UTI-26, TB-6, I-180, I-185, Il-20, LaGG-1, Yak-15A, MiG-9A,La-15, La-152, Su-9(1946), TIS MA, BI
무기대여법으로 공여받은 기체는 소련식 표기로 기재하였다. 윗첨자m:소수 도입, 윗첨자A: 전후 도입





제2차 세계 대전의 핀란드군 항공병기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 펼치기 · 접기 ]

핀란드 방위군 (1918~1945)
Puolustusvoimat
전투기복엽기브리스톨 불독 IIA/IVA | 글로스터 게임콕 | 글로스터 건틀렛 | 레토프 Š-218 |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 F.K.52 | I-15bis | I-153 | 야크트팔켄 II
단엽기F2A 버팔로 | C.714, P-36 호크 | P-40M-10-CU 워호크 | 묄케-모랑 | 포커 D.XXI | 호커 허리케인 | G.50 프레치아 | Bf 109G-(2/5/6/8) | I-16 | LaGG-3 | MiG-3 | VL 미르스키 | Do 22
폭격기경폭격기블랙번 리폰 | 포커 C.V | 포커 C.X | 호커 하트 | Ju-87 | Po-2 | SB-2
中폭격기아브로 앤슨 | 브리스톨 블렌헤임 | DC-2 | Do 17 | Il-4 | Ju 88 | Pe-2 | ANT-40 | DB-3 | SB-2
수송기융커스 W34 | 에어스피드 AS.6E 엔보이
정찰기A.11 | A.32 | 웨스트랜드 월레스 | 웨스트랜드 라이샌더 | VL E.30 콧카 | Fi 156 슈토르히 | He 115
훈련기DH.60 모스 | DH.58 타이거 모스 | 융커스 A50 | Fw 44J | H.232.2 | VL 사스키 I/II/IIA | VL 투스쿠 I/II | VL 비마 I/II | Po-2
프로토타입VL 후무 | VL 퓌외레뮈르스퀴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냉전기 폴란드 인민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폴란드 인민군 (1943~1989)
Ludowe Wojsko Polskie
회전익기경헬기Mi-2(P/T/D/R/US/Sz/Ro) · Mi-2(URN/URP/URP-G)M | SM-2 | SM-1(Sz/S)
다목적 헬기Mi-17 | W-3(P/T) 소쿠우 | Mi-8(PS/T/RL) | Mi-4(A/ME)
수송헬기Mi-6A
공격헬기Mi-24(D/W)
대잠헬기Mi-14(PŁ/PS)
전투기프롭Yak-1B | Yak-3 | Yak-9(M/T/W/U/P)
1세대Yak-17 | Yak-23 | MiG-15(bis) · S-102 · Lim-1 · Lim-2 | MiG-17PF · Lim-5(P/M/bis) · Lim-6(M/bis)
2세대MiG-19(P/PM) | MiG-21(F-13/PF/PFM/PFMA)
3세대MiG-21(MF/MF-75/bis) | MiG-23MF
4세대MiG-29A
공격기Su-22M4 | Su-20 | Su-7(BM/BKŁ) | Il-10 · B-33 | Il-2(M/M3)
폭격기Pe-2FT | Tu-2S | Il-28
정찰기전술Il-28R | Su-20R | MiG-21R | Lim-5R · Lim-6(R/MR) | Lim-1A · SBLim-1A · Lim-2R · SBLim-2A
수송기An-26 | An-24W | An-12B | Il-14(P/T) | Il-12D | An-2(T/TD/W) | NC-701 | C-47 | Shche-2
다목적기PZL-104 빌가 35A | PZL-101 가브론 | Yak-12(R/M/A)
지원기연락기Bf 108C | Fw 58C | Fi 156C
훈련기프롭TS-8 비에스 B(I/II/III) | Yak-18 | Yak-11 | LWD 유나크-(2/3) | Il-10U | Il-2U | USB 2M-103 | Po-2 · CSS-13 | Yak UT-2 | UTI-4
제트TS-11 이스크라공/해 | Su-22UM3K | Su-7U | MiG-21(U/US/UM) | Il-28U | MiG-15UTI · CS-102 · SBLim-1 · SBLim-2(M) | Yak-17UTI
표적예인UTu-2
정부전용기Tu-154M | Tu-134A | Yak-40 | Il-18W 살론 | Il-14S | Li-2
※ 윗첨자M: 개조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1] 다만 Pe-3의 경우에는 전쟁 상황에 따라 생산 중단이 자주 되었고, Pe-2로 대부분 대체 가능했기에 그다지 많이 쓰이지는 않았다.[2] 소량 한정으로 쉬베초프 M-82 공랭식 엔진 장착.[3] 중기 생산분부터는 12.7mm 베레진 UB로 교체됨.[4] 후방사수석에 있는 ShKAS는 1942년부터 12.7mm 베레진 UB로 교체됨. 꼬리에 장착된 기관총은 후방사수가 원격조작하며 탈착하기도 했다.(후기형 모델에서는 장착되지 않았다.)[5] 중기 생산분부터는 기수 20mm ShVAK 기관포 1문, 배면에 12.7mm 베레진 2정으로 교체된다.[6] 후방사수석에 있는 ShKAS는 1942년부터 12.7mm 베레진 UB로 교체됨. 꼬리에 장착된 기관총은 후방사수가 원격조작하며 제거되기도 함.[7] 소련만 쳐도 추락사한 주요 항공관련인이 많은데 페트리야코프 본인을 포함해 표트르 바라노프(Пётр Ионович Баранов, 1933년 포돌스크에서 사망), 프세볼로트 타이로프(Всеволод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Таиров, 1941년 울리야놉스크에서 사망), 발레리 치칼로프(Вале́рий Па́влович Чка́лов, 1938년 모스크바에서 사망) 등이 있다.[8] 조종사는 손을 조종간에 묶는다.[9] 기존에는 평균 20소티 생존률 이었으나 이후 54소티가 된다.[10] ShVAK 기관포는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