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ueen II

덤프버전 :

분류



Queen II
파일:Queen II.jpg
발매일1974년 3월 8일
녹음 기간1973년 8월 5일 ~ 1974년 2월 20일
장르하드 록, 글램 록, 아트 록, 프로그레시브 록
재생 시간40:42
곡 수11곡
스튜디오트라이던트 스튜디오
프로듀서Queen
로이 토마스 베이커
로빈 제프리 케이블
레이블파일:영국 국기.svg EMI
파일:미국 국기.svg 엘렉트라 레코드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000,#fff 819위
1998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bbb><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 올 타임 탑 1000 앨범

1998년 819위
"연도3=display:none@"
@연도3@년 @순위3@위
||}}}

1. 개요
2. 상세
3. 트랙 리스트
4. 라이브 투어



1. 개요[편집]


무덤까지 가지고 가야 할 앨범.

건즈 앤 로지스의 보컬리스트 액슬 로즈


의 정규 2집 앨범.

2. 상세[편집]


전년도에 발매한 전작인 데뷔 앨범에 비해 환골탈태를 했다고 할 정도로 발전과 진보를 보여준 앨범이다. 평론가들과 매니아들 사이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앨범이라 할 정도로 그 실험성과 완성도가 뛰어나다. 비로소 퀸의 음악세계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지만 안타깝게도 상업적으로 큰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 "만약 이 앨범이 크게 성공했다면 퀸의 음악세계는 완전히 달라졌을 것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1]

퀸의 처음이자 마지막 컨셉트 앨범이라 그런지 앨범 전체가 하나의 메들리처럼 이어져있다. 마치 판타지 소재의 뮤지컬을 보는 듯한 전개로 되어 있는 것이 프레디 머큐리가 평소 좋아했던 오페라풍 분위기와 구성이 그대로 드러난다. 숨겨진 명곡이라 평가받는 'The March Of The Black Queen'은 앨범의 성격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아름다운 대서사시이다.[2]

이 앨범에서 가장 주목받았던 곡은 싱글로 발매되었던 Seven Seas of Rhye. 1집에 수록된 짧은 연주곡 트랙을 가사를 추가하고 좀 더 사운드를 보강해서 앨범에 수록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곡이 처음으로 영국 싱글차트 10위권에 진입하면서 퀸의 첫 히트곡이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당시 퀸 멤버들은 이 앨범을 실패했다고 생각하고선 이후의 퀸 노래들이 좀 더 대중적이고 미니멀리즘한 방향으로 선회하게 만드는 결과를 낳았다.

참고로, 로저는 이 앨범의 크레딧에 본명 '로저 메도스-테일러(Roger Meddows-Taylor)'로 등장한다. 이는 1집과 2집 한정으로, 3집부터는 로저 테일러로 표시되어 나왔다.

앨범 발매 직후 영국의 록밴드 'Mott the Hoople'과 투어를 진행하였으나 미국 투어 도중 브라이언에게 간염증세가 찾아와 건강이 나빠졌고 투어를 중단하기도 했다.[3]

건즈 앤 로지스의 보컬리스트 액슬 로즈는 "무덤까지 가지고 가야할 앨범." 이라 표현하며 깊은 애정을 과시하며 극찬한 것으로 유명하다.

앨범 자체는 높은 평과는 별개로 대중적으로는 그렇게까지 유명하지는 않지만 앨범 아트퀸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여겨질 정도로 매우 유명하며, 매체에 등장한 패러디도 셀 수 없이 많다. 대표곡 보헤미안 랩소디뮤직비디오도 이 앨범 아트를 기반으로 해서 제작되었고, One Vision 뮤직비디오 인트로에 10년 후의 멤버들이 셀프 패러디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여러 매체에서 패러디 되었을 만큼 다른 수 많은 아티스트들도 이 앨범 아트를 패러디 했는데, 국내에서는 신해철이 리더로 있는 밴드 N.EX.T의 5.5집 ReGame?의 앨범 아트에서 이 Queen II 앨범의 앨범 아트를 패러디하였다.


3. 트랙 리스트[편집]



파일:Queen II.png
Queen II
트랙 리스트
||
[ 펼치기 · 접기 ]

곡명작사/작곡리드 보컬러닝타임
White Side
1Procession메이-1:12
2Father to Son메이머큐리6:14
3White Queen (As It Began)메이머큐리4:34
4Some Day One Day메이메이4:23
5The Loser in the End테일러테일러4:02
Black Side
1Ogre Battle머큐리머큐리4:10
2The Fairy Feller's Master-Stroke머큐리머큐리2:40
3Nevermore머큐리머큐리1:17
4The March of the Black Queen머큐리머큐리/테일러6:33
5Funny How Love Is머큐리머큐리2:50
6Seven Seas of Rhye머큐리-2:50
관련 트랙
1See What a Fool I've Been메이머큐리4:32
파일:Queen logo.png


  • 수록곡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위 틀을 참조.

4. 라이브 투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Queen II/라이브 투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00:34:15에 나무위키 Queen II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렇다고 완전한 실패는 아니었는데 앨범 차트에 들었을 뿐만 아니라 발매 당시인 1974년에 10만장을 파는데 성공했다.[2] Bohemian Rhapsody와 더불어 퀸 초기 최고의 명곡으로 꼽는 팬들이 많다.[3] 이 때 영국으로 돌아온 기억이 멤버들마다 다른데, 브라이언 본인은 스스로가 아픈 것을 인지한 후 영국으로 돌아왔다고 기억했지만 다른 멤버들은 브라이언이 스스로가 아픈 것을 알아차릴 틈 없이 황급히 귀국했다고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