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ummer 2015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6%><bgcolor=#1371b7><|2> LCS NA ||<width=28%> 2013
Spring | Summer ||<width=28%> 2014
Spring | Summer ||<width=28%> 2015
Spring | Summer ||
|| 2016
Spring | Summer || 2017
Spring | Summer || 2018
Spring | Summer ||
||<|2><bgcolor=#6460ff> LCS || 2019
Spring | Summer || 2020
Spring | Summer || 2021
Lock In | Spring | MSS |
Summer | Championship ||
|| 2022
Lock In | Spring |
Summer | Championship || 2023
Spring | Summer |
Championship || 2024
Spring | Summer |
Championship ||



역대 League Championship Series NA 일람
Riot LCS NA Spring 2015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ummer 2015Riot LCS NA Spring 2016

파일:2015LCSNASUMMERCLGCHAMPION.jpg

1. 개요
2. 참가팀
3. 순위
4. 포스트시즌
4.1. Quarterfinals
4.2. Semifinals
4.3. 3rd/4th Place
4.4. Final
5. 결과



1. 개요[편집]


  • 리그 기간: 2015년 5월 30일 ~ 7월 26일
  • 리그 방식
    • 10팀 풀 리그 진행, 각 팀과 2번씩 대결
    • 6강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진행. 3~6위가 먼저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 후 승자팀이 4강에서 1,2위팀과 각각 맞상대. 전경기 5전 3선승제 방식
  • 포스트시즌 장소: 메디슨 스퀘어 가든


2. 참가팀[편집]




3. 순위[편집]


2015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ummer 정규시즌 순위표
순위팀명
1Team Liquid135
2Counter Logic Gaming135
3Team Impulse126
4Gravity Gaming126
5Team SoloMid117
6Team Dignitas108
7Cloud9612
8Team 8612
9Enemy414
10Team Dragon Knights315

1, 2위는 플레이오프 4강 직행, 3~6위는 플레이오프 진출, 7위는 다음 시즌에 잔류, 8, 9위는 승강전, 10위는 자동으로 LCS에서 떨어진다.

1-2위, 3-4위, 7-8위가 단판식 순위 결정전을 통해 정해졌다.


4. 포스트시즌[편집]



4.1. Quarterfinals[편집]


Quarterfinal (2015. 08. 08.)
Team Impulse30Team Dignitas
--×××--
Semifinal 진출결과탈락

Quarterfinal (2015. 08. 09.)
Gravity Gaming13TSM
×××-×-
탈락결과Semifinal 진출


4.2. Semifinals[편집]


Semifinal (2015. 08. 15.)
CLG30Team Impulse
--×××--
Final 진출결과3rd/4th Place 진출

Semifinal (2015. 08. 16.)
TSM31Team Liquid
×-×××-
Final 진출결과3rd/4th Place 진출


4.3. 3rd/4th Place[편집]


3rd/4th Place (2015. 08. 22.)
Team Liquid31Team Impulse
×-×××-
3rd결과4th


4.4. Final[편집]


Final (2015. 08. 23.)
CLG30TSM
--×××--
1st결과2nd


5. 결과[편집]


오랫동안 북미의 최강자로 군림하던 C9이 미드 Hai가 팀에서 나가면서 완전히 무너졌고 간신히 잔류하는데에 만족하는 시즌을 보냈다. TDK는 엠퍼러와 닌자 두 한국인을 영입했지만 비자 문제로 첫 4주 동안 두 선수가 경기에 나가지 못하면서 그 동안 0승 9패를 거뒀고 그 후로도 겨우 3승을 추가하는데 그치며 결국 재도전의 기회조차 얻지 못한채 LCS와 작별하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그 외의 팀이 자기 수준을 유지한데 비해 TL과 TIP가 스프링 시즌에 비해 크게 치고 올라왔다. 두 팀 모두 SKT T1 K 출신 멤버를 데리고 있는 팀으로서 임팩트는 북체탑이라는 단어가 나올 정도로 폼을 올렸고 피글렛은 줄곧 터져나오던 팀 케미스트리 문제가[1] 말끔히 해결된 듯 다시 폼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팀의 선두 질주에 기여했다.

이번 LCS 시즌 동안 북미는 대체로 약한 지역으로 평가받았다. MSI에서도 TSM이 큰 임팩트를 보여주지 못했고 파워랭킹에서도 지역 상위권 팀들조차 20팀 중 중하위권에 위치했다. 소위 북미잼이라는 표현으로 대표되는 툭하면 어디로 갈지 모르는 경기를 어느 팀이나 가리지 않고 보여주는 리그인데 그렇다고 유럽의 프나틱처럼 압도적인 팀이 있는 것도 아니다.



[1] 실제로 있었는지는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