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T-37 트윗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소련군이 운용했던 경전차에 대한 내용은 소련군/차량 문서
1.13 번 문단을
소련군/차량#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세스나_로고.png
[ 세스나 항공기 목록 ]

단발 프롭기C140, C150, C152, C162, C170, C172, C175, C177, C180, C182, C185, C188, C195, C205, C206, C207, C208, C210, C305, C321, C325, C350, C400
멀티 프롭기C303, C310, C327, C340, C336, C337, C401, C404, C406, C408, C411, C414, C421, C425, C435, C620
제트기
(사이테이션)
C500/501, C510, C525, C550/551/552, C560, C560XL, C650/670, C680, C680A, C700, C750
군용기C318(T-37 트윗), A-37 드래곤 플라이
헬리콥터CH-1
글라이더CG-2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파일:세스나.jpg
[1]
세스나 T-37 트윗(Cessna T-37 Tweet)

1. 제원
2. 소개
3. 특징
4. 운용
5. 현재
6. 파생형
7. 기타
8. 둘러보기


1. 제원[편집]


형식 : 쌍발 복좌 훈련기
개발 / 생산 : 세스나
초도비행 : 1954년 10월 12일
운용 시기 : 1956년~
전장 / 전폭 / 전고 : 8.92 m / 10.3 m / 2.8 m
익면적 : 17.09 m2
중량 : 1,755 kg~2,993 kg
동력 : 텔레다인 컨티넨틀 J69-T-25 터보제트 엔진(추력 4.56 kN) 2기
최대속도 : 684 km/h
항속거리 : 1,500 km
상승한도 : 1,950 m
생산수 : 1,269대


2. 소개[편집]


1952년, 이미 모든 전투기는 제트기화하고 아직 개발 단계였으나 초음속 전투기인 F-100의 완성을 기다리고 있던 미 공군은 여전히 초등 훈련기 만큼은 구식티가 완연한 레시프로 항공기인 T-34 멘토를 도입하기 위한 최종 평가를 진행하고 있었다. 군수와 교육 체계를 단순화하고 통합하는 효과를 구상한 미 공군 수뇌부는 초등 / 중등 훈련기를 모두 제트기로 바꾸고 고등 훈련은 해당 기종의 복좌형을 이용하는 정책을 추진할 필요성을 느꼈다. 즉, 이 계획대로라면 중등과 고등 과정은 문제될 것이 없었지만 초등 훈련기만큼은 새로 개발한 기종을 구입해야만 하는 소요가 발생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1952년 봄부터 시작된 TX(Trainer Experimental) 프로그램에 따라 미 공군 자재사령부는 미국의 각 항공기 생산업체들에게 차세대 초등 훈련기의 개발 프로그램에 동참해줄 것을 제안했다. 이 사업에는 2차 대전 전부터 군용기 생산에 주력하던 내로라하는 거대 업체들이 앞다퉈 참가했지만, 그 틈바구니에 뜻밖에도 1927년에 설립된 이래로 민간 경비행기 업체로 그 이름을 알린 세스나 사가 끼어있었다. 세스나는 육군에 O-1 버드독 같은 관측기를 납품한 것 외에 군용기 개발 경험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지만, 당당하게 모델 318이라는 후보 기종을 제시했다.

공군이 TX 후보에 관해 제한을 둔 사항은 거의 없었지만 두 가지 요구만큼은 분명히 지켜줄 것을 요구했는데, 그것은 쌍발 엔진을 탑재할 것과 조종석은 교관과 생도가 나란히 앉는 병렬 좌석 구조였다. XT-37이란 임시 명칭이 붙여진 세스나 모델 318은 이 요구를 충실히 따라 만들어졌고, 심사 끝까지 강력한 라이벌이었던 영국의 제트 프로보스트(BAC Jet Provost)와 막상막하의 경쟁을 펼쳤다. 그렇지만 최종 심사를 통과한 후보들 중에서 눈에 띄는 성능에 더해 저렴한 가격이 돋보여 마침내 같은 해 12월에 T-37로 채용이 결정되었다.


3. 특징[편집]


T-37은 중등 과정 이후의 훈련기들이 일반적으로 채택한 앞뒤로 앉는 탠덤 복좌 형식이 아니라 초등 훈련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좌우로 좌석이 배치된 병렬 복좌형 방식이 특징이다. 따라서 T-37의 큼지막하게 부풀어 오른 캐노피는 상당히 좋은 시야가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노피 면적이 널찍하다보니 버드 스트라이크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아 T-37B부터는 12.7mm 두께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바꿔 463 km/h 속도로 부딛힌 4파운드(1.8 kg) 크기의 조류 충돌로부터도 조종사들을 보호할 수 있으며 특별히 방탄 능력을 요구한 것은 아니지만 그 견고함 때문에 권총 같은 소구경탄 정도로는 뚫기 어렵다.

기체의 가격을 낮추고 중량을 덜어내기 위해서 조종석은 여압 기능을 처음부터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고도 7,500 m 이상의 고공 비행은 특별한 여압복을 입어야만 한다. 쌍발 엔진은 각각 익근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추력 감쇄기(thrust attenuator)가 추가되어 이착륙시 배기 개스의 추력 방향을 하방으로 향하게 해서 활주거리를 줄여준다. 주날개는 세스나가 즐겨 쓰는 단순한 구조의 테이퍼형 직선익에 수평 미익과 수직 미익의 형태 또한 경비행기가 연상될 만큼 단순하지만, 결과적으로 이런 기본에 충실한 설계가 T-37이 누리고 있는 경이적인 긴 수명의 비결이기도 하다.

꼬리날개, 엔진 배치 등의 전반적인 설계는 F2H와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


4. 운용[편집]


프로토타입인 XT-37의 생산 계약은 이듬해인 1953년에 체결되었다. 세스나 개발진들은 이미 기본 설계는 물론 디테일한 부분도 어느 정도 제작 도면까지 만들고 있었던 탓에 작업 진도는 빨랐고 원형기는 1954년 10월 12일에 첫 공식 비행에 나서게 된다. 생산형인 T-37A는 1956년부터 실전 배치가 시작되었다.

몇 년 후 T-37의 운용 체계가 틀이 잡히자 1961년 4월부터는 기존 초등 비행과정에 운용하고 있던 T-34 멘토를 전부 퇴역시키고 모든 교육과정을 제트기로 바꾸었다. 하지만 수 년간 이런 방식으로 파일럿들을 훈련시켜본 결과, 프로펠러기가 비록 속도가 느려 제트기로 기종 전환하는 과정이 필요하지만 훈련 효율과 경제성, 그리고 생도들의 비행 적성을 판별하는 용도로는 더 낫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이에 따라 미 공군은 다시 T-41을 도입했고, 조종 생도들은 레시프로기를 타고 비행 경력을 시작하도록 되돌려졌다.


5. 현재[편집]


이와 같은 교육과정의 변화 때문에 T-37은 그 위치가 약간 애매해졌지만, 초등 훈련과 중등 훈련의 간극을 메꿔주는 기종으로 계속 운용되었다. 1986년에 T-37의 후계 기종으로 선정되었던 페어차일드 T-46 계획이 취소되자 조종사들에게 트위티 버드라고 불리던 이 작은 제트기는 한동안 더 현역에 있었다. 1989년에 세이버 라이너 사의 주도로 T-37B 수명 연장 개량이 시작되었고, 1999년 이후로는 터보프롭 항공기인 비치크래프트 T-6 텍산 II로 교체가 진행되어 적어도 미 공군에서는 2009년에 모두 퇴역했지만, 워낙 해외로 수출된 기체가 많아 아직까지도 콜럼비아에콰도르, 파키스탄 공군 같은 경우는 현역, 그것도 경공격기로 꽤 남아있다.

우리 대한민국 공군1973년부터 미 공군이 베트남전에 투입했던 A-37의 중고 기체 25대를 도입했고 나중에는 브라질 공군으로부터 중고 기체 30대를 더 구해와 2007년까지 오랫동안 운용한 바 있다.


6. 파생형[편집]


XT-37 : 2대만 제작된 원형기로 1954년 10월 12일에 첫 비행.

T-37A : 초기 생산형으로 1954년부터 1959년까지 534대 생산. 나중에 대부분 B형 사양으로 개수됨.

T-37B : T-37A의 엔진을 강화하고 항전 장비를 개량한 형식으로 1968년까지 449대가 생산되었다.

T-37C : 날개 밑에 2개의 하드 포인트를 추가하고 윙팁 연료 탱크를 추가한 형식. 조준기와 건카메라도 장착하여 무장 사격 훈련기 뿐만 아니라 경공격기로도 활용 가능하다. 269대가 생산되어 해외에 판매된 수량도 가장 많다.

XAT-37D : T-37C를 더욱 발전시킨 지상 공격기 형식으로 2대만 제작.

A-37 드래곤 플라이 : XAT-37D에서 발전된 COIN기.


7. 기타[편집]


대한민국 공군에서 훈련기로 운용하던 시절 비행 훈련생들에게는 공포의 기종이였는데, 앞뒤로 훈련생과 교관이 분리되어 앉는 탠덤 시트 구조의 여타 훈련기들과 달리 T-37 트윗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구조인 덕분에 바로 옆자리의 교관에게 실시간으로 갈굼받는게 가능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T-37가 운용되던 시절 공군 조종사들의 후기를 보면 실시간으로 교관에게 얻어맞았다는 썰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콜롬비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콜롬비아군 (1945~현재)
Fuerzas Militares de Colombia
회전익기
경헬기
AS555 SN 페넥 | Bo 105CB | OH-6A · 휴즈 500ER | OH-13(H/S) 수우R
다목적 헬기
Mi-17(-1V/MD) | S-70i 블랙 호크 | UH-60(A/L) '알콘'육/공 | UH-1H 휴이육/공 | UH-1N 트윈 휴이육/해 | 벨 212 '라파즈'육/공 | 벨 412(HP/EPI) | AS365 N3 도팽 II | 벨 204 & 205R | UH-1(B/D) 이로쿼이R | HH-34 허스키R
공격헬기AH-60L 아르피아 IIIM
전투기
1세대
F-86F 세이버 · CL-13B Mk.6 세이버R | P-80 슈팅스타R
3세대
크피르 (C.2/C.7/C.12)
4(.5)세대
크피르 C.10M
공격기A-37B 드래곤플라이 | A-29(A/B) 슈퍼 투카노 | 미라주 5(COA→COAM)R | OV-10A 브롱코R | A-26C 인베이더R
건쉽AC-47T '판타스마'
정찰기
전술OT-47B 사이테이션 트래커 | 세스나 208육/해/공 | 미라주 5CORR | OA-37B 드래곤플라이R
전자ECN-235 ELINTM
수송기
경량C-295M | CN-235M-100 | C-212(-100육/해/-300M) | EMB 110P1A 반데이란치 | C-26A 메트로 III | An-32A | IAI 아라바R
전술 C-130(B/H) 허큘리스 | B737-400F | B727-2X3R | DC-7CR | DC-6BR | C-54(B/G)R | C-47(A/D)R | DC-3SR
수상기PBY-6A 카탈리나R
다목적기PA-44 세미뇰 | PA-42 샤이엔 | PA-34 세네카 | PA-31 나바호 | 에어로 685 커맨더 | 비치크래프트 킹 에어 (90/200/350C) | PA-28 체로키 크루저해/R | 세스나 404R | 가빌란 G358R | DHC-2 비버R
지원기
전자전기B737-732 EW | 슈퍼 킹 에어 (200/350i) EW
해상초계기
CN-235M-300 MPA
공중급유기
KC-767 MMTT | KC-707-373C
무인기
SUAV
클래스 1 - MAV
RQ-11 레이븐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UAV
클래스 2 - 전술형
헤르메스 450
클래스 3 - MALE급
헤르메스 900
훈련기
프롭T-6C 텍산 II | AT-27M 투카노 | T-90(C/D) 칼리마 | T-41D 메스칼레로R | T-34A 멘토R | AT-6D 텍산R | AT-11 캔전R
제트크피르 (TC.2→TC.7/TC.12) | 미라주 5CODMR | T-37(B/C) 트윗R | T-33A 슈팅스타R
헬기TH-67 크릭 · 벨 206B-3 제트 레인저 III | 엔스톰 280F | OH-23B 레이븐
VIP 탑승기B737-74V BBJ | 포커 F28-(3000/1000C) 펠로우십 | ERJ-135BJ 레거시 600 | AW139 | 세스나 550 사이테이션 2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M: 개조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3 23:03:31에 나무위키 T-37 트윗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기체는 한국항공대학교에서 보존 중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