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여자 축구 국가 대항전에 대한 내용은 UEFA 여자 챔피언십 문서
UEFA 여자 챔피언십번 문단을
UEFA 여자 챔피언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UEFA Women's Champions League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파일:UEFA WCL logo.svg

정식 명칭UEFA Women's Champions League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창설 연도2001년 (UEFA 위민스컵)
2009년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참가팀 수소속 리그에서 출전권을 부여받은
UEFA 라이선스 여자 축구 클럽
최근 우승팀파일:UEFA ESP.png FC 바르셀로나 페메니 (2022-23)
최다 우승팀파일:UEFA FRA.png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 (8회)
최다 출장파일:UEFA FRA.png 웬디 르나르 (110경기)
최다 득점파일:UEFA NOR.png 아다 헤게르베르그 (59득점)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UEFA Women's Champions League

1. 개요
2. 진행 방식
3. 역대 결승전
4. 우승 횟수
4.1. 클럽
4.2. 국가
5. 트로피
6. 오피셜 스폰서
7. 출전한 대한민국 선수
8. 여담



1. 개요[편집]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테마곡
유럽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유럽 여자 축구 클럽 대항전.

대회의 시작은 'UEFA 위민스 컵이었으나 2009-10 시즌부터 UEFA 위민스 챔피언스 리그로 변경하였다. 2020-21 시즌까지는 32강부터 준결승까지 홈 앤드 어웨이로 진행했으며 결승전은 중립 경기장에서 단판 승부로 진행한다.


2. 진행 방식[편집]


라운드이번 라운드에 합류이전 라운드에서 진출
1라운드
(미니 토너먼트)
챔피언스
(44)
리그 협회 순위 7~50위의 우승 팀 44팀-
리그
(16)
리그 협회 순위 1~6위의 3위 팀 6팀
리그 협회 순위 7~16위의 2위 팀 10팀
-
2라운드챔피언스
(14)
리그 협회 순위 4~6위의 우승 팀 3팀챔피언스 1라운드에서 통과한 11팀
리그
(10)
리그 협회 순위 1~6위의 2위 팀 6팀리그 1라운드에서 통과한 4팀
조별리그
(16)
지난 시즌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
리그 협회 순위 1~3위의 우승팀 3팀
챔피언스 2라운드에서 승리한 7팀
리그 2라운드에서 승리한 5팀
지난 대회 우승팀이 리그 순위로 진출권을 확보한 경우 해당 진출권은 차순위 리그에 승계하며 2021-22 시즌부터 조별리그가 도입되어 가을에 진행하며, 3월에 토너먼트를 진행한다.


3. 역대 결승전[편집]


연도우승팀결과준우승팀경기장
2002파일:독일 국기.svg 프랑크푸르트 프라우엔2 - 0파일:스웨덴 국기.svg 우메오 IK파일:독일 국기.svg 프랑크푸르트, 발트슈타디온
2003파일:스웨덴 국기.svg 우메오 IK4 - 1
3 - 0
파일:덴마크 국기.svg 포르투나 예링파일:스웨덴 국기.svg 우메오, 감리아발렌
파일:덴마크 국기.svg 예링, 예링 스타디움
2004파일:스웨덴 국기.svg 우메오 IK3 - 0
5 - 0
파일:독일 국기.svg 프랑크푸르트 프라우엔파일:스웨덴 국기.svg 솔나, 로순다 스타디온
파일:독일 국기.svg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터 폴크스방크 슈타디온
2005파일:독일 국기.svg FFC 투르비네 포츠담2 - 0
3 - 1
파일:스웨덴 국기.svg 유르고르덴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톡홀름, 스톡홀름스 올림피아스타디온
파일:독일 국기.svg 포츠담, 칼리브크네크트 슈타디온
2006파일:독일 국기.svg 프랑크푸르트 프라우엔4 - 0
3 - 2
파일:독일 국기.svg FFC 투르비네 포츠담파일:독일 국기.svg 포츠담, 칼리브크네크트 슈타디온
파일:독일 국기.svg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터 폴크스방크 슈타디온
2007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WFC1 - 0
0 - 0
파일:스웨덴 국기.svg 우메오 IK파일:스웨덴 국기.svg 우메오, 감리아발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보어럼우드, 미도우 파크
2008파일:독일 국기.svg 프랑크푸르트 프라우엔1 - 1
3 - 2
파일:스웨덴 국기.svg 우메오 IK파일:스웨덴 국기.svg 우메오, 감리아발렌
파일:독일 국기.svg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슈타디온
2009파일:독일 국기.svg FCR 2001 뒤스부르크6 - 0
1 - 1
파일:러시아 국기.svg 즈베즈다 2005 페름파일:러시아 국기.svg 카잔, 센트럴 스타디움
파일:독일 국기.svg 뒤스부르크, MSV 아레나
2010파일:독일 국기.svg FFC 투르비네 포츠담0 - 0
(PSO 7 - 6)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파일:스페인 국기.svg 헤타페, 에스타디오 콜리세움 알폰소 페레스
2011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2 - 0파일:독일 국기.svg FFC 투르비네 포츠담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런던, 크레이븐 코티지
2012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2 - 0파일:독일 국기.svg 프랑크푸르트 프라우엔파일:독일 국기.svg 뮌헨, 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
2013파일:독일 국기.svg 볼프스부르크 프라우엔1 - 0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런던, 스탬퍼드 브리지
2014파일:독일 국기.svg 볼프스부르크 프라우엔4 - 3파일:스웨덴 국기.svg 티레쇠 FF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리스본, 에스타디우 두 레스텔루
2015파일:독일 국기.svg 프랑크푸르트 프라우엔2 - 1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페미닌파일:독일 국기.svg 베를린,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얀 슈포르트파르크
2016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1 - 1
(PSO 4 - 3)
파일:독일 국기.svg 볼프스부르크 프라우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레지오 에밀리아, 마페이 스타디움
2017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0 - 0
(POS 7 - 6)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페미닌파일:웨일스 국기.svg 카디프, 카디프 시티 스타디움
2018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4 - 1
(A.E.T.)
파일:독일 국기.svg 볼프스부르크 프라우엔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키이우, 발레리 로바노프스키 디나모 스타디움
2019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4 - 1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페메니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트, 페렌츠바로시 스타디온
2020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3 - 1파일:독일 국기.svg 볼프스부르크 프라우엔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제네랄리 아레나
2021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페메니4 - 0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 위민파일:스웨덴 국기.svg 예테보리, 고텐부르크 스타디움
2022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3 - 1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페메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 유벤투스 스타디움
2023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페메니3 - 2파일:독일 국기.svg 볼프스부르크 프라우엔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에인트호번, PSV 스타디온


4. 우승 횟수[편집]



4.1. 클럽[편집]


클럽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파일:UEFA FRA.png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822011, 2012, 2016, 2017, 2018,
2019, 2020, 2022
2010, 2013
파일:UEFA GER.pn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프라우엔422002, 2006, 2008, 20152004, 2012
파일:UEFA SWE.png 우메오 IK232003, 20042002, 2007, 2008
파일:UEFA GER.png 1. FFC 투르비네 포츠담222005, 20102006, 2011
파일:UEFA GER.png VfL 볼프스부르크 프라우엔232013, 20142016, 2018, 2020
파일:UEFA ESP.png FC 바르셀로나 페메니222021, 20232019, 2022
파일:UEFA ENG.png 아스날 WFC102007
파일:UEFA GER.png FCR 2001 뒤스부르크102009
파일:UEFA FRA.png 파리 생제르맹 FC 페미닌022015, 2017
파일:UEFA DEN.png 포르투나 예링012003
파일:UEFA SWE.png 유르고르덴 IF 우012005
파일:UEFA RUS.png 즈베즈다 2005 페름012009
파일:UEFA SWE.png 티레쇠 FF012014
파일:UEFA ENG.png 첼시 FC 위민012021


4.2. 국가[편집]


국가우승 횟수준우승 횟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9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84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25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2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11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01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01


5. 트로피[편집]


파일:UEFA Women's Champions League Trophy.png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트로피
현재의 트로피는 2009-10 시즌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로 출범하면서 새롭게 도입했다. 높이 60cm에 무게 10kg의 트로피는 순은으로 제작했으며 나선 모양의 팔이 중앙 몸체를 감아 올라가는 역동적인 모습으로 디자인했고, 우승한 클럽의 이름은 트로피 중앙에 새겨지며 결승전에서 우승 클럽에 수여하는 진품 트로피는 평소에는 UEFA가 보관해 관리하며 우승한 팀에게는 같은 크기의 복제품 트로피와 함께 금메달을 수여하고 준우승 팀에게는 은메달을 수여한다. 대회에서 5회 우승 또는 3회 연속 우승한 클럽은 유니폼 소매에 UEFA 배지 오브 오너를 부착하는데, 현재는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이 유일하다.


6. 오피셜 스폰서[편집]


||


7. 출전한 대한민국 선수[편집]


  • 굵은 표시는 현역 선수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출전 대상자
순서이름클럽기간[1]경기득점주요 기록
1지소연첼시 FC 위민2015~2022154첫 출전
첫 득점
첫 결승 진출
준우승
2조소현아발스네스 IL2018-1920
3이금민맨체스터 시티 위민2019-2010


8. 여담[편집]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역사에서 트레블은 총 9번 발생하였는데 외국인 감독은 트레블을 달성하지 못한다는 징크스가 존재한다. 원래는 트레블 뿐만 아니라 챔스 우승 또한 외국인 감독이 달성하지 못한다는 징크스가 있었으나 이 징크스를 깬 사례가 단 한 번 존재하는데 현재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이자 2014-15 시즌에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프라우엔을 이끌고 우승한 콜린 벨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17:11:17에 나무위키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소속팀이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한 시기만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