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ZB-53

덤프버전 :

1. ZB-50
2. ZB-53 (Vz.37)
3. BESA
4. 미디어 등장
5. 둘러보기

Zbrojovka Brno

1. ZB-50[편집]


ZB-50
파일:external/world.guns.ru/1320580061.jpg
종류중기관총
원산지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펼치기 · 접기】
이력
역사1932년
개발년도1932년
생산Zbrojovka Brno
생산년도1932년
사용국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기종
파생형ZB-53
세부사항
탄약7.92×57mm 마우저
급탄탄띠 급탄[1]
작동방식반동 작동식
[1] 225발로 추정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Vz.24로 운용중인 기존의 슈바르츠로제 기관총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군 시험에서 탈락되었다. 결국 1932년에 제한적으로 생산되어 아르헨티나 등 일부 남미 국가에서 소량만 구입하였다.

손잡이가 안전장치와 장전손잡이를 겸하는 독특한 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아래쪽으로 접어두면 손잡이를 앞으로 밀어서 장전하려고 해도 노리쇠가 후퇴, 전진하지 않아 약실에 탄이 들어가지 않는다. 총열교체 과정도 Vz.26/30에 비해 간소화되었다.

또한 양각대 및 삼각대를 사용해 경기관총 및 중기관총으로 운용하려는 다목적 기관총과 유사한 컨셉이 있는 등 여러가지 새로운 시도가 있었다.

이후 좀 더 개량해서 신뢰성을 높인 가스 작동식의 ZB-53가 등장하였다.


2. ZB-53 (Vz.37)[편집]


ZB-53
Těžký kulomet vz. 37
파일:external/www.imfdb.org/ZB-53.jpg
종류중기관총
원산지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펼치기 · 접기】
이력
역사1935년~1960년대
개발바츨라브 홀레크
개발년도1930년
생산체코 조병창
생산년도1935년~1950년대
사용국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비아프라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쿠바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사용된 전쟁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중동전쟁
베트남 전쟁
기종
원형ZB-50
파생형Besa
세부사항
탄약7.92×57mm 마우저
급탄225발짜리 탄띠
작동방식가스 작동식
총열길이736mm
전장1,105mm
중량21kg
발사속도500~800RPM
탄속최소 765m/s 이상으로 추정[A]
유효사거리2,000m[A]
최대사거리4,700m[A]
[A] A B C 총열길이가 627mm인 MG34와 동일한 스펙이다.

사격 영상
ZB-50이 등장하긴 하였으나 모종의 이유로 군 시험에서 탈락되면서 아르헨티나 등 일부 남미 국가에서 소량만 구입되는 실적이 전부였다. 이것을 좀 더 개량하여 나온 것이 ZB-53이다. 경기관총으로서 운용을 배제하여 개머리판이 제거되었고, 작동방식이 반동식에서 가스 작동식으로 변경되거나 발사 속도가 빨라지는 등 차이점이 있다.

보병 지원용에서부터 LT vz. 35, LT vz. 38전차나 AH-IV같은 탱켓에 탑재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독일에 넘어가서는 MG37(t)라는 제식명이 부여되기도 하였다.

조정간으로 발사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데, 문제는 이로 인해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환경에 민감해졌다.


3. BESA[편집]


BESA
Besa Machine Gun
파일:external/www.imfdb.org/BESA.jpg
종류중기관총
원산지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영국 국기.svg

【펼치기 · 접기】
이력
역사1939년~1966년
개발바츨라브 홀레크
개발년도1936년
생산BSA
생산년도1939년~1960년대
생산수39,332정
사용국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사용된 전쟁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중동전쟁
6.25 전쟁
제2차 중동전쟁
레바논 내전
기종
원형ZB-53
세부사항
탄약7.92×57mm 마우저
급탄225발짜리 탄띠
작동방식가스 작동식
총열길이736mm
전장1,105mm
중량21kg
발사속도450~550RPM (저속)
750~850RPM (고속)
탄속최소 765m/s 이상으로 추정[A]
유효사거리2,000m[A]
최대사거리4,700m[A]
[A] A B C 총열길이가 627mm인 MG34와 동일한 스펙이다.

사격 영상
ZB-53을 영국군이 라이센스 생산한 버전으로 원판과는 달리 전차공축기관총으로만 사용되었다. 또 적군의 탄약을 노획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영국군이 운용한 몇 안되는 화기이다.

당시 영국은 차량 탑재용 기관총으로 빅커스 기관총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수랭식이라 무게도 많이 나가고 차량 내에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했다.

비슷한 사례인 브렌 경기관총과는 달리 외형에 약간의 변경이 가해진 것을 제외하고는 탄약을 영국군 화기에 널리 쓰이는 .303 브리티쉬 탄이 아닌 7.92mm를 그대로 사용하는 등 변화가 거의 없었다. 탄종이 달라지는 문제는 전차에만 사용하기 때문에 별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봤고 실제로도 큰 문제는 없었다.

2차 대전 내내 사용되다가 센추리온 전차가 양산될 즈음 M1919 브라우닝 기관총을 공축 기관총으로 채택하면서 일선에서 물러나게 된다.[1]

이외에도 영국군은 경전차와 장갑차의 주포용으로 ZB-53을 15mm로 확대한 ZB Vz.60 중기관총 역시 15mm BESA라는 명칭으로 전쟁 초반에 널리 사용했으나, 화력 부족 문제가 불거지자 2파운더 등으로 곧 대체했다.


4. 미디어 등장[편집]


대부분의 2차 세계대전 게임에서 영국군 차량들이 BESA를 사용한다.

이라크 내전의 모술 전투 당시 이라크 니네베 경찰특공대 대원을 다룬 넷플릭스 영화 모술에서 ZB-53이 이라크 경찰특공대의 험비에 탑재되어 등장한다. 극도로 열약한 상황의 이라크 군경 상태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

스틸 디비전 시리즈 : 루마니아 보병사단이 ZB-53 중기관총을 대량으로 사용한다. 소련맥심 기관총보다 성능이 좋아서 소련군에겐 골치아프다. 그 외 영국군 차량들은 BESA를 탑재하고 있다.

5. 둘러보기[편집]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나치 독일군 보병장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Gew71V, Gew88/05V, Gew98, Kar98b, Kar98k, VG1V, VG2V, VG3V, VG4V, VG5V
반자동소총G41, G43, MP507V
자동소총FG42, MKb42, MP43, StG44
산탄총컴비네이션 건M30
기관단총MP18, MP28, M712, MP35, EMP35, MP38, MP40, MP41, EMP44V, MP3008V
권총M1883, C96, M1907V, P08, M1915, PPK, M1934, 38H, P38, HSc, VolkspistoleV, Astra 400, Astra 600/43
지원화기기관총경기관총MG08/15, MG15nAV, MG13, VMG27, MG30, MG35/36
중기관총MG08, MG34, MG42, MG81
대전차화기대전차 소총M1918V, PzB 38/39, PzB M.SS.41, S-18
대전차 로켓Faustpatrone 30, Panzerfaust 30, Panzerfaust 60, Panzerfaust 100, Panzerfaust 150, RPzB 43, RPzB 54, RPzB 54/1
기타StP, H3, H3.5
화염방사기FmW 35, FmW 41/42
박격포8cm GrW34/42, 5cm leGrW36, 12cm GrW42, 10cm NbW35/40
맨패즈Fliegerfaust
유탄M24, N39, M43, M39, GrB 39, Gewehrgranatengerät
노획무기오스트리아P12(ö), G29/40(ö), Gew95(ö), MP34(ö), MG07/12(ö), 8.14cm GrW33(ö)
헝가리Gew98/40(u), P37(u)
체코슬로바키아Gew95(t) Gew24(t), Gew33(t), Gew33/40(t),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ZH-29, ZK-383, P24(t), P27(t), P39(t), MG26(t) ,MG30(t), MG37(t), 8cm GrW36(t), 8.14cm GrW278(t)
폴란드Gew29(p), Gew298(p), Gew98(p), Gew299(p), Kar493(p), Kar497(p), Wz.38M, R612(p), P35(p), P645(p), MG28(p), MG154/1(p), MG154/2(p), MG30(p), MG249(p), MG238(p), MG257(p), MG248(p), PzB770(p), 4.6cm GrW36(p), 8.14cm GrW31(p)
노르웨이Gew211(n), Gew213(n), Kar411(n), Kar412(n), Kar413(n), Kar414(n), R610(n), P657(n), MG102(n), MG103(n), MG201(n), MG240(n), MG245/1(n), MG245/2(n)
덴마크Gew311(d), Kar506(d),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6(d), P644(d), MP741(d), MP746(d), MG158(d), MG159(d), MG258(d), 8.14cm GrW275(d)
벨기에Gew220(b), Kar420(b),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0(b), P621(b), P622(b), P626(b), P641(b), P640(b), MP740(b), MG125(b), MG126(b), MG127(b), MG220(b), MG221(b), MG222(b), 5cm GrW201(b)
네덜란드Gew211(h), Gew212(h), Kar411(h), Kar412(h), Kar413(h), Kar414(h), P626(h), P641(h), MG100(h), MG241(h), MG242(h), MG243(h), MG244(h), MG231(h), PzB785(h), 8.14cm GrW278(h), 8.14cm GrW279(h), 8.14cm GrW286(h)
프랑스Gew361(f), Kar561(f), Gew301(f), Gew303(f), Gew241(f), Gew302(f), Gew304(f), Gew305(f), Kar551(f), Kar552(f), Kar553(f), Gew242(f), Gew310(f), P623(f), P624(f), P625(f), MAB D, P647(f), P642(f), R654(f), R637(f), R634(f), R635(f), MP722(f), MP740(f), MP761(f), MG105(f), MG106(f), MG115(f), MG116(f), MG331(f), MG331(f), MG156(f), MG157(f), MG256(f), MG257(f), MG271(f), 5cm GrW203(f), 6cm GrW225(f), 8.14cm GrW278(f)
영국Gew248(e), Gew280(e), Gew281(e), Gew281/2(e), Gew283(e), Gew283/2(e), Gew282(e), Gew282/3(e), R646(e), R655(e), MP748(e), MP749(e), MP750(e), MP751(e), MP752(e), MP760(e), MP760/2(e), MP761(e), MG135(e), MG136(e), MG137(e), MG138(e), MG230(e), MG341(e), PzB782(e), PzB789(e), 5cm GrW202(e)
유고슬라비아Gew293(j), Gew291/3(j), Kar492(j), Gew214(j), Kar416(j), Gew252(j), Gew309(j), Gew288(j), Gew295(j), Gew307(j), Gew298(j), Gew290(j), Gew291(j), Gew291/2(j), Kar491(j), Kar491/2(j), Kar491/3(j), Kar491/4(j), Gew361(j), Gew308(j), Kar561(j), Gew301(j), Gew292(j), Gew294(j), Gew306(j), Kar505(j), Gew302(j), Gew304(j), Kar502(j), Kar503(j), Gew301(j), P641(j), MP760(j), MG145(j), MG147(j) MG156(j), MG146/1(j), MG148(j), MG246(j), MG200(j), MG247(j), MG248(j), MG256(j), MG257(j), 7.58cm GrW229(j), 8.14cm GrW270(j)
그리스Gew307(g), Kar561(g), Gew215(g), Kar417(g), Kar417/2(g), Gew301(g), Gew305(g), Gew502(g), Gew306(g), Kar505(g), Gew302(g), Gew285(g), R612(g), R613(g), MG136(g), MG104(g), MG152(g), MG202(g), MG156(g), MG256(g)
소련Gew252(r), Gew253(r), Gew254(r), Gew256(r), Kar453(r), Kar454(r), Gew255(r), Gew257(r), Gew258(r), Gew259(r), Gew259/2(r), Gew260(r), R612(r), P615(r), MP715(r), MP716(r), MP717(r), MP41(r), MP718(r), MP719(r), MG120(r), MG121(r), MG320(r), MG216(r), MG218(r), MG268(r), PzB783(r), PzB784(r), HG336(r), 3,7cm SpGrW161(r), 5cm GrW200(r), 5cm GrW205(r), 8.2cm GrW274(r), 12cm GrW378(r), 12cm GrW379(r)
미국Gew249(a), Gew250(a), Gew251(a), Gew455(a), P660(a), R661(a), R662(a), MP760(a), MP760/2(a), MP761(a), MP762(a), MP763(a), MG123(a), MG124(a), MG219(a), MG321(a), MG269(a), PzB788(a), 6cm MW219(a) NbW263(a)
이탈리아Gew208(i), Gew209(i), Gew210(i), Gew214(i), Gew231(i), Gew240(i), Kar408(i), Kar409(i), Kar410(i), Kar416(i), Kar430(i), Gew306(i), Kar505(i), P670(i), P671(i), R680(i), MP738(i), MP739(i), MG099(i), MG200(i), MG255(i), MG259(i), MG261(i), MG350(i), PzB785(i), PzB770(i), 4.5cm GrW176(i), 8.1cm GrW276(i)
※ 윗첨자V : 국민돌격대가 사용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무기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22:48:50에 나무위키 ZB-5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6.25 전쟁에서 탄환 문제가 부각되자 적극적으로 달기 시작했다. 그 결과로 센추리온 MK.V부터는 정식으로 브라우닝 기관총을 전차장 기관총으로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