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르헨티나 대통령

덤프버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Standard_of_the_President_of_Argentina.svg.png
아르헨티나 공화국 대통령
[ 펼치기 · 접기 ]

리오데라플라타 연합주
초대제2대
베르나르디노 리바다비아비센테 로페스 이 플라네스
아르헨티나 연방
제3대제4대제5대
후스토 호세 데 우르키사산티아고 데르키후안 에스테반 페데르네라
아르헨티나 공화국
제6대제7대제8대제9대
바르톨로메 미트레도밍고 파우스티노 사르미엔토나콜라스 아배야네다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제10대제11대제12대제13대
미겔 앙헬 후아레스 셀만카를로스 페예그리니루이스 사엔스 페냐호세 에바리스토 우리부루
제14대제15대제16대제17대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마누엘 킨타나호세 피게로아 알코르타로케 사엔스 페냐
제18대제19대제20대제21대
빅토리노 데 라 플라사이폴리토 이리고옌마르셀로 토르콰토 데 알베아르이폴리토 이리고옌
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호세 펠릭스 우리부루아구스틴 페드로 후스토로베르토 마르셀리노 오르티스라몬 카스티요
제26대제27대제28대제29대
아르투로 라우손페드로 파블로 라미레스에델리오 훌리안 파렐후안 페론
제30대제31대제32대제33대
에두아르도 로나르디페드로 에우헤니오 아람부루아르투로 프론디시호세 마리아 기도
제34대제35대제36대제37대
아르투로 움베르토 일리아후안 카를로스 옹가니아로베르토 마르셀로 레빙그스톤알레한드로 아구스틴 라누세
제38대제39대제40대제41대
엑토르 호세 캄포라후안 페론이사벨 페론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제42대제43대제44대제45대
로베르토 에두아르도 비올라레오폴도 갈티에리레이날도 비그노네라울 알폰신
제46대제47대제48대제49대
카를로스 메넴페르난도 데 라 루아네스토르 카를로스 키르치네르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
제50대제51대제52대
마우리시오 마크리알베르토 페르난데스하비에르 밀레이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역사역사 전반 · 포클랜드 전쟁아르헨티나 연합국
정치·치안·사법정치 전반 · 아르헨티나 대통령 · 행정구역
외교외교 전반 · 아르헨티나 공화국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TIAR
경제경제 전반 · 아르헨티나 페소 · G20 · 아우스트랄
국방아르헨티나군 · 아르헨티나 해군
교통미니스트로 피스타리니 국제공항 · 부에노스아이레스 지하철 · 철도 환경
문화문화 전반 · 탱고 · 가우초 · 요리 · 축구 국가대표팀 · 포도주 · 스페인어 · 야간어
인물호세 데 산 마르틴 · 마누엘 벨그라노 · 에바 페론 · 후안 페론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 체 게바라 · 마리오 켐페스 · 디에고 마라도나 ·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 리오넬 메시
지리부에노스아이레스 · 파타고니아 · 팜파스 · 티에라델푸에고
민족아르헨티나인(스페인계 아르헨티나인 ·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 · 독일계 아르헨티나인 · 폴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아일랜드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 크로아티아계 아르헨티나인 · 그리스계 아르헨티나인 · 헝가리계 아르헨티나인 · 포르투갈계 아르헨티나인 · 슬로베니아계 아르헨티나인 · 오스트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스위스계 아르헨티나인 · 아랍계 아르헨티나인 · 아르헨티나 유대인 · 일본계 아르헨티나인 · 한국계 아르헨티나인 · 네덜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덴마크계 아르헨티나인) 아르헨티나계 미국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Standard_of_the_President_of_Argentina.svg.png
아르헨티나 공화국 대통령
Presidente de la Nación Argentina
파일:알베르토 페르난데스 - 아르헨티나.png
현직알베르토 페르난데스 / 제47대
취임일2019년 12월 10일
정당
정의주의자당
관저올리보스 관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Standard_of_the_President_of_Argentina.svg.png
아르헨티나 대통령기
1. 개요
2. 명단
2.1. 1854년 이전
2.2. 1854년 이후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아르헨티나대통령으로,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이다. 아르헨티나는 1816년 이래 삼권분립의 원칙 아래 대통령제를 채택한 국가로, 대통령임기는 중임이 가능한 4년이다.

대통령 피선자격은 아르헨티나 국적을 보유해야 하며, 대통령 유고시에는 부통령이 그 직을 승계하고, 부통령도 유고시에는 연방 의회에서 임시 대통령을 선출한다.


2. 명단[편집]



2.1. 1854년 이전[편집]


  • 이 때는 비공식대통령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1826년 이후이다. 이전에도 "주 총독"등의 이름으로 리오 데 라플라타 연합주에서도 지도자가 있었으나 이 문단에서는 1826년 제헌의회에서 선출된 초대 베르나르디노 리바디비아 대통령 이후~1854년 이전만을 정리하였다. 아르헨티나 연합국의 국가원수인 부에노스 아이레스 주총독을 포함한다.
순서이름재임기간소속정당특이사항
1베르나르디노 리바다비아
(Bernardino Rivadavia)
1826~1827통일주의자1826년 제헌의회 선출
2비센테 로페스 이 플라네스
(Vicente Lopez y Planes)
1827.7~1827.8통일주의자1826년 제헌의회 선출 대통령 대리,임시 대통령,아르헨티나 국가 작사
*1마누엘 도레고
(Manuel Dorrego)
1827~1828연방주의자*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2후안 라바예
(Juan Lavalle)
1828~1829통일주의자
*3후안 호세 비아몬테
(Juan José Viamonte)
1829.8~1829.12연방주의자
*4,5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
(Juan Manuel de Rosas)
1829~1831,1831~1832연방주의자1829~1831,1831~1832, 그리고 1835년부터 1852년까지 약 21년간 아르헨티나를 통치하였다.
*6후안 라몬 곤살레스 발카르세
(Juan Ramón González Balcarce)
1832~1833연방주의자
*7후안 호세 비아몬테
(Juan José Viamonte)
1833~1834연방주의자
*8마누엘 비센테 마사
(Manuel Vicente Maza)
1834~1835연방주의자
*9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
(Juan Manuel de Rosas)
1835~1852연방주의자
*10비센테 로페스 이 플라네스
(Vicente López y Planes)
1852.2~1852.7통일주의자1827년 당시 임시 대통령을 역임했던 그 사람이다.
*11, 3후스토 호세 데 우르키사
(Justo José de Urquiza)
1852.5~1852.9,1852.9~1854.3,1854.3~1860.3연방주의자마지막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이자 선거로 당선 및 파본 전투 이후 현행 국명이 된 아르헨티나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다.


2.2. 1854년 이후[편집]


순서이름재임기간소속정당특이사항
3후스토 호세 데 우르키사
(Justo Jose de Urquiza)
1854~1860연방주의자마지막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이자 선거로 당선 및 파본 전투 이후 현행 국명이 된 아르헨티나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다.
4산티아고 데르키
(Santiago Derqui)
1860~1861연방주의자사퇴
5후안 에스테반 페데르네라
(Juan Esteban Pedernera)
1861무소속사퇴
6바르톨로메 미트레
(Bartolome Mitre)
1861~1868자유당처음으로 전국 단위 선거에서 당선됨
7도밍고 사르미엔토
(Domingo Sarmiento)
1868~1874자유당
8니콜라스 아베야네다
(Nicolas Avellaneda)
1874~1880국민자치당
9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Julio Argentino Roca)
1874~1886국민자치당첫 번째 임기
10미겔 후아레스 셀만
(Miguel Juarez Celman)
1886~1890국민자치당사퇴
11카를로스 페예그리니
(Carlos Pellegrini)
1890~1892국민자치당
12루이스 사엔스 페냐
(Luis Saenz Peña)
1892~1895국민자치당첫 번째 임기, 사퇴
13호세 에바리스토 우리부루
(Jose Evaristo Uriburu)
1895~1898국민자치당
14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Julio Argentino Roca)
1898~1904국민자치당두 번째 임기
15마누엘 킨타나
(Manuel Quintana)
1904~1906국민자치당사퇴
16호세 피게로아 알코르타
(Jose Figueroa Alcorta)
1906~1910국민자치당
17로케 사엔스 페냐
(Roque Saenz Pena)
1910~1914국민자치당두 번째 임기, 임기 중 사망
18빅토리노 데 라 플라자
(Victorino de La Plaza)
1914~1916국민자치당
19이폴리토 이리고옌
(Ypolito Yrigoyen)
1916~1922급진시민연합첫 번째 임기, 최초로 보통선거에 의해 당선
20마르셀로 알베아르
(Marcelo Alvear)
1922~1928급진시민연합
21이폴리토 이리고옌
(Ypolito Yrigoyen)
1928~1930급진시민연합두 번째 임기, 쿠데타로 쫓겨남
22호세 펠릭스 우리부루
(Jose Felix Uriburu)
1930~1932군부쿠데타로 집권
23아구스틴 페드로 후스토
(Agustin Pedro Justo)
1932~1938콩코르단시아
24로베르토 마리아 오르티스
(Roberto Maria Ortis)
1938~1942콩코르단시아임기 중 사망
25라몬 카스티요
(Ramon Castillo)
1942~1943콩코르단시아쿠데타로 쫓겨남
26아르투로 라우손
(Arturo Rawson)
1943군부쿠데타로 집권, 이후 쿠데타로 쫓겨남
27페드로 파블로 라미레스
(Pedro Pablo Ramirez)
1943~1944군부쿠데타로 집권
28에델미로 훌리안 파렐
(Edelmiro Julian Farrell)
1944~1946군부
29후안 페론
(Juan Domingo Peron)
1946~1955노동당→정의주의자당1, 2번째 임기, 쿠데타로 쫓겨남
30에두아르도 로나르디
(Eduardo Lonardi)
1955군부쿠데타로 집권
31페드로 에우헤니오 아람부루
(Pedro Eugenio Aramburu)
1955~1958군부
32아르투로 프론디시
(Arturo Frondizi)
1958~1962급진시민연합쿠데타로 쫓겨남
33호세 마리아 기도
(Jose Maria Guido)
1962~1963급진시민연합
34아르투로 움베르토 일리아
(Arturo Umberto Illia]
1963~1966급진시민연합쿠데타로 쫓겨남
35후안 카를로스 옹가니아
(Juan Carlos Ongania)
1966~1970군부쿠데타로 집권
36로베르토 레빙스톤
(Roberto Levingston)
1970~1971군부
37알레한드로 라누세
(Alejandro Lanusse)
1971~1973군부
38엑토르 호세 캄포라
(Hector Jose Campora)
1973정의주의자당사퇴
39라울 알베르토 라스티리
(Raul Alberto Lastiri)
1973정의주의자당
40후안 페론
(Juan Domingo Peron)
1973~1974정의주의자당임기 중 사망
41이사벨 페론
(Isabel Peron)
1974~1976정의주의자당세계 최초의 여성대통령이자 영부인 출신 대통령, 후안 페론의 아내, 쿠데타로 쫓겨남
42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Jorge Rafael Videla)
1976~1981군부쿠데타로 집권
43로베르토 에두아르도 비올라
(Roberto Eduardo Viola)
1981군부
44레오폴도 갈티에리
(Leopoldo Galtieri)
1981~1982군부포클랜드 전쟁 발발
45레이날도 비그노네
(Reynaldo Bignone)
1982~1983군부
46라울 알폰신
(Raul Alfonsin)
1983~1989급진시민연합
47카를로스 메넴
(Carlos Menem)
1989~1999정의주의자당시리아계 아르헨티나인
48페르난도 데 라 루아
(Fernando de La Rua)
1999~2001급진시민연합사퇴
49아돌포 로드리게스 사아
(Adolfo Rodrigez Saa)
2001정의주의자당사퇴
50에두아르도 두알데
(Eduardo Duhalde)
2002~2003정의주의자당사퇴
51네스토르 키르치네르
(Nestor Kirchner)
2003~2007승리를 위한 전선, 정의주의자당(PFV)[1]
52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
(Cristina Fernandez de Kirchner)
2007~2015승리를 위한 전선, 정의주의자당(PFV)두 번째 여성대통령, 네스토르 키르치네르의 아내
53마우리시오 마크리
(Mauricio Macri)
2015~2019공화주의제안당12년 만의 정권 교체
54알베르토 페르난데스
(Alberto Fernandez)
2019~2023모두의 전선, 정의주의자당
55하비에르 밀레이
(Javier Milei)
2023~자유전선, 자유당

3. 둘러보기[편집]



[ 아시아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은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겸직하여 사실상 군주에 가깝다.
*** 이란의 국가원수는 라흐바르이며, 대통령이 아니다.
**** 현직 장성급 장교들이 국회의원을 겸직하는 정당이라 사실상 미얀마군 소속에 가깝다.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무소속
민주진보당
국민의힘
람 찬드라 파우델 (초선)차이잉원 (재선)윤석열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무소속
인민민족회의
조제 하무스오르타 (재선)나지브 미카티 (권한대행)모하메드 무이주 (초선)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몽골 인민당
통합단결발전당
아와미 연맹
오흐나깅 후렐수흐민 슈웨 (권한대행)샤하부딘 추푸 (초선)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통일국민당
바트당
무소속
라닐 위크레메싱게 (초선)바샤르 알아사드 (4선)타르만 샨무가라트남 (초선)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무소속
국민전체회의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3선)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라샤드 알알리미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전투적 성직자회
이스라엘 노동당
압둘 라티프 라시드 (초선)에브라힘 라이시 (초선)이츠하크 헤르초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인도 인민당
민주항쟁당
무소속
드라우파디 무르무 (초선)조코 위도도 (재선)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재선)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메켄칠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사디르 자파로프 (초선)에모말리 라흐몬 (5선)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초선)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정의 파키스탄 운동
파타
필리핀 연방당
아리프 알비 (초선)마흐무드 압바스 (초선)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유럽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산마리노의 국가원수는 대통령이 아닌 두 명의 집정관이다.
*** 오스트리아와 포르투갈은 헌법상 이원집정부제이나 사실상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무소속
느하스
독일 사회민주당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초선)가글로이트 알란 (초선)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재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초선)블라디미르 푸틴 (4선)클라우스 요하니스 (재선)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지금 유럽!
무소속
기타나스 나우세다 (초선)야코브 밀라토비치 (초선)마이아 산두 (초선)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노동당
무소속
사회민주당

독립사회민주연대

민주전선
조지 벨라 (초선)알렉산드르 루카셴코 (6선)데니스 베치로비치 (초선)
젤카 츠비야노비치 (초선)
젤코 콤시치 (4선)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무소속
무소속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초선)에르신 타타르 (초선)루멘 라데프 (재선)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내일-자유운동
세르비아 진보당
스위스 사회민주당
필리포 타마니니 (재선)
가에타노 트로이나 (초선)
알렉산다르 부치치 (재선)알랭 베르세 (재선)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주자나 차푸토바 (초선)나타샤 피르츠 무사르 (초선)바하근 하차투랸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무소속
무소속
신아제르바이잔당
그뷔드니 소를라시위스 요한네손 (재선)마이클 D. 히긴스 (재선)일함 알리예프 (4선)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바이람 베가이 (초선)아슬란 브자니아 (초선)알라르 카리스 (초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재선)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초선)세르조 마타렐라 (재선)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초선)페트르 파벨 (초선)비오사 오스마니 (초선)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무소속
무소속
정의개발당
조란 밀라노비치 (초선)니코스 흐리스토둘리디스 (초선)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3선)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사회민주당
무소속
바딤 크라스노셀스키 (재선)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재선)안제이 두다 (재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
무소속
청년민주동맹
에마뉘엘 마크롱 (재선)사울리 니니스퇴 (재선)노바크 커털린 (초선)
[ 아메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인민진보당
바모스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이르판 알리 (초선)알레한드로 잠마테이다니엘 오르테가 (5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현대혁명당
무소속
국가재건운동
루이스 아비나데르 (초선)실바니 버튼 (초선)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민주당
무소속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조 바이든 (초선)샌드라 메이슨 (초선)니콜라스 마두로 (재선)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사회주의 운동
노동자당
진보개혁당
루이스 아르세 (초선)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3선)찬 산토키 (초선)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자유당
무소속
국민민주행동
하비에르 밀레이 (초선)아리엘 앙리 (권한대행)다니엘 노보아 (초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무소속
해방재건당
국민당
클라우디아 로드리게스 데 게바라 (대행)시오마라 카스트로 (초선)루이스 라카예 포우 (초선)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사회융합당
사회민주진보당
인간적인 콜롬비아
가브리엘 보리치 (초선)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초선)구스타보 페트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무소속
민주혁명당
콜로라도당
크리스틴 캉갈루 (초선)라우렌티노 코르티소 (초선)산티아고 페냐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디나 볼루아르테
[ 아프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현재 군사정권이거나 혹은 사실상 해당 국가의 군 소속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가봉 국기.svg 가봉**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신애국당
가봉군
국가인민당
나나 아쿠포아도 (재선)브리스 클로테르 올리기 응게마(권한대행)아다마 배로 (재선)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기니군
마뎀 G15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마마디 둠부야 (권한대행)우마루 시소쿠 엠바루하게 게인고브 (재선)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진보회의
수단 인민해방운동
아프리카 국민회의
볼라 티누부 (초선)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초선)시릴 라마포사 (초선)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니제르군
민주변혁회의
르완다 애국 전선
압두라하마네 치아니 (권한대행)조지 웨아 (초선)폴 카가메 (3선)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무소속
젊은 말라가시 청년들
말라위 의회당
모하메드 알 멘피 (대통령위원회 의장)안드리 라조엘리나 (3선)라자루스 차퀘라 (초선)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말리군
투쟁 사회주의운동
공정당
아시미 고이타 (권한대행)프리티비라즈싱 루푼 (초선)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초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파일:베냉 국기.svg 베냉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모잠비크 해방전선
무소속
보츠와나 민주당
필리프 뉴시 (재선)파트리스 탈롱 (재선)모크위치 마시시 (초선)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부르키나파소군
폴리사리오 전선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 (초선)이브라힘 트라오레 (권한대행)브라힘 갈리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독립민주행동당
공화국 동맹
세이셸민주동맹
카를루스 빌라 노바 (초선)마키 살 (재선)와벨 람칼라완 (초선)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평화개발연합당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수단군
하산 셰흐 마하무드 (재선)무세 비히 압디 (초선)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주권위원회 의장)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시에라리온 인민당
민족해방전선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줄리어스 마다 바이오 (3선)압델마지드 테분 (초선)주앙 로렌수 (재선)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민주정의인민전선
무소속
민족저항운동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초선)살러워르크 저우데 (초선)요웨리 무세베니 (6선)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무소속
국가개발통일당
민주당
압델 파타 엘 시시 (재선)해케인드 히칠리마 (초선)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7선)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연합마음운동
진보인민연합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 (재선)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5선)에머슨 음낭가과 (재선)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차드군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권한대행)폴 비야 (7선)조제 마리아 네베스 (초선)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통합민주연대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공화주의자의 집회
윌리엄 루토 (초선)아잘리 아소우마니 (4선)알라산 와타라 (3선)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콩고 노동당
민주사회진보연합
탄자니아 혁명당
드니 사수 응게소 (7선)펠릭스 치세케디 (초선)사미아 술루후 하산 (초선)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공화국을 위한 연합
무소속
포르 냐싱베 (4선)카이스 사이에드 (초선)
재위 중인 군주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재임 중인 총리 및 수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7:21:44에 나무위키 아르헨티나 대통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는 우파페론주의자와 좌파페론주의자, 중도파 페론주의자들이 같은 정의주의자당내에서 한솥밥을 먹었지만 경제위기로(아이러니하게도 정의주의자당 소속인 카를로스 메넴이 그 원흉이었는데도) 급진시민연합이 몰락하는 과정에서 그 자리를 정의주의자당이 차지했지만 그 동안 한솥밥을 먹던 페론주의자들이 2003년 대통령 선거를 기점으로 분화되어 여러개의 정당으로 쪼개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