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에브라힘 라이시

덤프버전 :



이란 이슬람 공화국 제13대 대통령
에브라힘 라이시
ابراهیم رئیسی | Ebrahim Raisi
파일:에브라힘 라이시.jpg
본명세예드 에브라힘 라이솔사다티
سید ابراهیم رئیس‌الساداتی
Sayyid Ebrahim Raisolsadati
출생1960년 12월 14일 (63세)
이란 제국 라자비호라산주 마슈하드
재임기간제13대 대통령
2021년 8월 3일 ~ 현직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자밀레 알라몰호다[1]
자녀2명
학력샤히드 모타하리 대학
콤 신학대학
종교이슬람교(시아파)
신체170cm
소속 파벌
원칙파

소속 정당
전투적 성직자회

[1] 이슬람 성직자인 아마드 알라몰호다의 딸이다.

1. 개요
2. 생애
2.1. 법조인 경력
2.2. 정치 경력
2.3. 대통령 취임 후
3. 논란
3.1. 인권 탄압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이란법조인이자 정치인으로, 제13대 이란 대통령이다. 본명은 에브라힘 라이솔사다티지만 흔히 에브라힘 라이시로 알려져 있다.

현재 알리 하메네이 사후 차기 라흐바르가 될 유력한 인물이다.

2. 생애[편집]


마슈하드성직자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5세 때 아버지를 여의었다. 이맘 레자 사원이맘이자 마슈하드의 금요기도 이맘인 아흐마드 알라몰호다의 사위이기도 하다.


2.1. 법조인 경력[편집]


1980년 카라지에서 검사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후에는 하마단에서도 검사로 활동했다. 서로 무려 300km 이상 떨어져 있지만, 용케도 멀리를 왔다갔다 하면서 무리 없이 활동했다. 이쯤 되면 체력은 꽤 대단한 듯. 1985년 수도 테헤란검찰청 차장으로 임명되었다.

1994년부터 2004년까지 10년 간 종합검사실장을 지내다가, 이후 대법원 차장으로 임명되어 10년 간 재직했다. 그 후에는 2년 간 검찰총장을 역임했으며, 2019년부터 대통령이 되기 전 까지 대법원장직을 맡고 있는 중이었으며. 2021년 8월 3일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물러났다.

법조계를 잠시 떠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공익신탁 아스탄 쿠드스 라자비의 관리인 및 대표를 지내기도 했다.


2.2. 정치 경력[편집]


과거 이슬람공화당 소속이었으나, 이 당은 1987년 해산되었다. 현재는 전투적 성직자회 소속. 2006년 남호라산 주 전문가 회의 의원으로 당선되어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이 또한 2021년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물러날 예정.

2017년 대선에 이슬람혁명군인민전선 후보로 출마했으나, 38.3%의 득표율로 하산 로하니 대통령에 밀려 낙선했다. 알리 하메네이가 내심 지지하던 후보였고, 모함마드 바게르 갈리바프 전 테헤란 시장이 라이시를 지지하며 사퇴했는데도 큰 표차로 낙선한 것. 다만 여론조사에서 일찌감치 로하니에게 뒤지고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낙선은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그 후 2021년 대선에 다시 출마했다. 사실상 범여권 및 중도파[1]가 일찌감치 압돌나세르 헴마티중앙은행 총재로 단일화한 반면, 보수파들은 여러 후보가 난립한 상황이라, 로하니의 낮은 인기에도 불구하고 행여나 보수파의 분열로 중도파 헴마티가 당선되는 것이 아니냐는 보수파 일각의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우려 자체를 할 필요가 없이 라이시가 약 62%에 가까운 득표율로 초압승했으며, 그나마 대항마로 출마한 모흐센 레자이도 라이시와 마찬가지로 보수파였는데다가, 11.79%로 크게 낙선했다. 무려 50%에 가까운 격차로 초압승한 셈이다. 정작 중도파 및 범여권 단일 후보로 출마한 헴마티는 10%도 안 되는 8.38%의 득표율로 광탈했다.[2]

이로서 보수파의 부활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기는 했지만, 애초에 후보 등록 과정에서 개혁파 후보들은 다 탈락시키는 등 이란 당국의 답정너 행태로 젊은층을 중심으로 투표 보이콧 운동까지 일어났다. 실제로 2017년 대선보다 투표율 자체가 크게 떨어져 (73.33% → 48.78%)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였으며, 그나마도 표 중 14%인 417만표가 무효표였다.[3] 반라이시 성향 유권자들은 투표를 보이콧하거나 무효표를 찍었으니 당연히 라이시가 초압승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이란의 대통령은 그럴싸한 타이틀과는 달리 별다른 실권이 없다. 실권을 쥐고 있는 자는 바로 최고지도자 알리 하메네이다. 다만 라이시가 하메네이의 신임을 받는 것으로 보아서 큰 무리는 없을듯하다.

2023년 현재 하메네이가 80을 넘긴 고령이라 후계자를 물색해야 하는데, 어지간한 역대 대통령들이 재선까지 한 것으로 보아 라이시도 이변이 있지 않는 한 2025년 재선은 확실하며, 이 시점에서 하메네이는 86세가 된다. 이런 점으로 보아 라이시는 사실상 하메네이의 후계자로 이미 내정되었다고 봐도 무관하지 않다. 사실 하메네이의 신임을 받고 있다는 점, 보수파들로부터 인기가 높다는 점에서 2019년 전후로 후계자 후보군에 오른 상황이었다. 호메이니 사후 대통령이었던 하메네이가 라흐바르를 계승한 점에서 하메네이 사후까지 라이시가 대통령이라면 하메네이처럼 라흐바르를 계승할 가능성은 있다.


2.3. 대통령 취임 후[편집]


2021년 8월 3일, 하산 로하니의 뒤를 이어 대통령에 취임했다.

미국의 제재 대상에 포함된 국영기관 세타드(Setad)의 수장 모하마드 모크베르를 신임 부통령에 임명했다#

2022년 2월 21일에는 카타르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국왕과 회담을 갖고 JCPOA(이란 핵합의)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2022년 9월부터 2023년 초까지 이어지고 있는 반체제 시위로 인해 정치적 위기에 몰렸다.

2023년 1월 17일,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속적인 서방의 고강도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에 “이란과 러시아가 제재에 맞서 싸울 수 있는 협력기구를 설립하고 함께 맞설 군대도 동원해야 한다”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3. 논란[편집]



3.1. 인권 탄압[편집]


테헤란 검찰청에서 활동하던 1988년 기소위원회 위원 4명 중 하나였는데, 이 위원회는 정치범 및 반대파 처형으로 서구권 언론 및 재야로부터 "살인위원회"라는 낙인이 찍힌 바 있다. 이 때 처형된 인사들은 대게 인민전사기구민중당(Tudeh) 등 공산주의자들이었다. 호메이니, 하메네이 같은 이란 혁명을 일으켜 집권한 이들은 반공 성향이기에 당연한 결과였다. 미국과 서방 진영을 반대하기 때문에 친소, 친공산주의로 오해할 수 있지만 이란 신정 정부는 단순 반미, 반서방이기만 할 뿐, 엄연히 자본주의 시스템을 따르고 있다. 애초에 공산주의는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라는 슬로건인데, 이슬람 시아파를 대놓고 국교로 삼고 있고 그걸 명분으로 집권한 게 현 신정 정부이므로 당연히 공산주의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국제사면위원회의 지탄을 받았으며, 미국 해외자산통제국의 제재 대상에도 올랐다. 아무리 반미국가의 페이크 수장인 이란 대통령이라지만 대놓고 미국의 제재를 받는 인물이 대통령이 된 것은 처음이다.


4. 둘러보기[편집]



[ 아시아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은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겸직하여 사실상 군주에 가깝다.
*** 이란의 국가원수는 라흐바르이며, 대통령이 아니다.
**** 현직 장성급 장교들이 국회의원을 겸직하는 정당이라 사실상 미얀마군 소속에 가깝다.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무소속
민주진보당
국민의힘
람 찬드라 파우델 (초선)차이잉원 (재선)윤석열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무소속
인민민족회의
조제 하무스오르타 (재선)나지브 미카티 (권한대행)모하메드 무이주 (초선)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몽골 인민당
통합단결발전당
아와미 연맹
오흐나깅 후렐수흐민 슈웨 (권한대행)샤하부딘 추푸 (초선)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통일국민당
바트당
무소속
라닐 위크레메싱게 (초선)바샤르 알아사드 (4선)타르만 샨무가라트남 (초선)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무소속
국민전체회의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3선)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라샤드 알알리미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전투적 성직자회
이스라엘 노동당
압둘 라티프 라시드 (초선)에브라힘 라이시 (초선)이츠하크 헤르초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인도 인민당
민주항쟁당
무소속
드라우파디 무르무 (초선)조코 위도도 (재선)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재선)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메켄칠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사디르 자파로프 (초선)에모말리 라흐몬 (5선)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초선)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정의 파키스탄 운동
파타
필리핀 연방당
아리프 알비 (초선)마흐무드 압바스 (초선)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유럽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산마리노의 국가원수는 대통령이 아닌 두 명의 집정관이다.
*** 오스트리아와 포르투갈은 헌법상 이원집정부제이나 사실상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무소속
느하스
독일 사회민주당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초선)가글로이트 알란 (초선)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재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초선)블라디미르 푸틴 (4선)클라우스 요하니스 (재선)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지금 유럽!
무소속
기타나스 나우세다 (초선)야코브 밀라토비치 (초선)마이아 산두 (초선)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노동당
무소속
사회민주당

독립사회민주연대

민주전선
조지 벨라 (초선)알렉산드르 루카셴코 (6선)데니스 베치로비치 (초선)
젤카 츠비야노비치 (초선)
젤코 콤시치 (4선)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무소속
무소속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초선)에르신 타타르 (초선)루멘 라데프 (재선)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내일-자유운동
세르비아 진보당
스위스 사회민주당
필리포 타마니니 (재선)
가에타노 트로이나 (초선)
알렉산다르 부치치 (재선)알랭 베르세 (재선)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주자나 차푸토바 (초선)나타샤 피르츠 무사르 (초선)바하근 하차투랸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무소속
무소속
신아제르바이잔당
그뷔드니 소를라시위스 요한네손 (재선)마이클 D. 히긴스 (재선)일함 알리예프 (4선)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바이람 베가이 (초선)아슬란 브자니아 (초선)알라르 카리스 (초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재선)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초선)세르조 마타렐라 (재선)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초선)페트르 파벨 (초선)비오사 오스마니 (초선)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무소속
무소속
정의개발당
조란 밀라노비치 (초선)니코스 흐리스토둘리디스 (초선)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3선)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사회민주당
무소속
바딤 크라스노셀스키 (재선)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재선)안제이 두다 (재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
무소속
청년민주동맹
에마뉘엘 마크롱 (재선)사울리 니니스퇴 (재선)노바크 커털린 (초선)
[ 아메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인민진보당
바모스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이르판 알리 (초선)알레한드로 잠마테이다니엘 오르테가 (5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현대혁명당
무소속
국가재건운동
루이스 아비나데르 (초선)실바니 버튼 (초선)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민주당
무소속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조 바이든 (초선)샌드라 메이슨 (초선)니콜라스 마두로 (재선)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사회주의 운동
노동자당
진보개혁당
루이스 아르세 (초선)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3선)찬 산토키 (초선)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자유당
무소속
국민민주행동
하비에르 밀레이 (초선)아리엘 앙리 (권한대행)다니엘 노보아 (초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무소속
해방재건당
국민당
클라우디아 로드리게스 데 게바라 (대행)시오마라 카스트로 (초선)루이스 라카예 포우 (초선)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사회융합당
사회민주진보당
인간적인 콜롬비아
가브리엘 보리치 (초선)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초선)구스타보 페트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무소속
민주혁명당
콜로라도당
크리스틴 캉갈루 (초선)라우렌티노 코르티소 (초선)산티아고 페냐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디나 볼루아르테
[ 아프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현재 군사정권이거나 혹은 사실상 해당 국가의 군 소속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가봉 국기.svg 가봉**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신애국당
가봉군
국가인민당
나나 아쿠포아도 (재선)브리스 클로테르 올리기 응게마(권한대행)아다마 배로 (재선)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기니군
마뎀 G15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마마디 둠부야 (권한대행)우마루 시소쿠 엠바루하게 게인고브 (재선)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진보회의
수단 인민해방운동
아프리카 국민회의
볼라 티누부 (초선)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초선)시릴 라마포사 (초선)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니제르군
민주변혁회의
르완다 애국 전선
압두라하마네 치아니 (권한대행)조지 웨아 (초선)폴 카가메 (3선)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무소속
젊은 말라가시 청년들
말라위 의회당
모하메드 알 멘피 (대통령위원회 의장)안드리 라조엘리나 (3선)라자루스 차퀘라 (초선)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말리군
투쟁 사회주의운동
공정당
아시미 고이타 (권한대행)프리티비라즈싱 루푼 (초선)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초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파일:베냉 국기.svg 베냉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모잠비크 해방전선
무소속
보츠와나 민주당
필리프 뉴시 (재선)파트리스 탈롱 (재선)모크위치 마시시 (초선)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부르키나파소군
폴리사리오 전선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 (초선)이브라힘 트라오레 (권한대행)브라힘 갈리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독립민주행동당
공화국 동맹
세이셸민주동맹
카를루스 빌라 노바 (초선)마키 살 (재선)와벨 람칼라완 (초선)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평화개발연합당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수단군
하산 셰흐 마하무드 (재선)무세 비히 압디 (초선)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주권위원회 의장)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시에라리온 인민당
민족해방전선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줄리어스 마다 바이오 (3선)압델마지드 테분 (초선)주앙 로렌수 (재선)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민주정의인민전선
무소속
민족저항운동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초선)살러워르크 저우데 (초선)요웨리 무세베니 (6선)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무소속
국가개발통일당
민주당
압델 파타 엘 시시 (재선)해케인드 히칠리마 (초선)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7선)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연합마음운동
진보인민연합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 (재선)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5선)에머슨 음낭가과 (재선)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차드군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권한대행)폴 비야 (7선)조제 마리아 네베스 (초선)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통합민주연대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공화주의자의 집회
윌리엄 루토 (초선)아잘리 아소우마니 (4선)알라산 와타라 (3선)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콩고 노동당
민주사회진보연합
탄자니아 혁명당
드니 사수 응게소 (7선)펠릭스 치세케디 (초선)사미아 술루후 하산 (초선)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공화국을 위한 연합
무소속
포르 냐싱베 (4선)카이스 사이에드 (초선)
재위 중인 군주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재임 중인 총리 및 수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4:06:55에 나무위키 에브라힘 라이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란은 대한민국처럼 분명한 정당 제도를 시행하는 나라가 아니다. 그냥 중도파와 보수파/원칙파로 구분하는 것이 특징. 이 때문에 대통령이 속한 정파가 실질적인 여당 역할을 하고 있다. 2021년 대선 시점에서는 루하니 대통령이 중도파이므로, 중도파 후보가 사실상 여당 후보라고 볼 수 있는 셈.[2] 이를 대한민국에 대입할 경우, 10%도 득표하지 못 한 후보는 선거비용을 그대로 까먹는다(...).[3] 직전 2017년 대선에서 무효표는 120만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