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 정상회의

덤프버전 :




1. 개요
2. 참가국 및 정상
3. 기타



1. 개요[편집]


European Council
유럽연합 정상회의는 유럽연합의 산하기구 중 하나로 유럽연합 회원국의 국가원수 또는 정부수반들이 정기적으로 여는 정상회담을 의미한다. 회원국 각국 정상은 물론 유럽 이사회 상임의장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도 참여한다.


2. 참가국 및 정상[편집]


2024-06-11 09:09:07 기준, 배열 순서는 ㄱㄴㄷ 순[1]
출처는 사이트 참고.

국가정상이름정당비고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유럽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샤를 미셸RE개혁 운동
EU 집행위원장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EPP독일 기독교민주연합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총리[정부수반]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EPP신민주주의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총리[정부수반]마르크 뤼터RE자유민주국민당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총리[정부수반]메테 프레데릭센S&D덴마크 사회민주당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총리[정부수반]올라프 숄츠S&D독일 사회민주당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총리[정부수반]에비카 실리냐EPP단결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대통령[국가원수]클라우스 요하니스EPP국민자유당[2]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총리[정부수반]뤼크 프리당EPP기독사회인민당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대통령[국가원수]기타나스 나우세다무소속무소속[3]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총리[정부수반]로버트 아벨라S&D몰타 노동당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총리[정부수반]알렉산더르 더크로REOpen VLD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총리[정부수반]니콜라이 덴코프무소속우리는 변화를 계속한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총리[정부수반]울프 크리스테르손EPP온건당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총리[정부수반]페드로 산체스S&D스페인 사회노동당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총리[정부수반]로베르트 피초S&D방향-사회민주주의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총리[정부수반]로베르트 골로프무소속슬로베니아 자유운동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총리[정부수반]리오 버래드커EPP피너 게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총리[정부수반]카야 칼라스RE에스토니아 개혁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총리[정부수반]카를 네함머EPP오스트리아 인민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총리[정부수반]조르자 멜로니ECR이탈리아의 형제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총리[정부수반]페트르 피알라ECR시민민주당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총리[정부수반]안드레이 플렌코비치EPP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대통령[국가원수][정부수반]<#> EPP무소속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총리[정부수반]안토니우 코스타S&D포르투갈 사회당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총리[정부수반]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ECR법과 정의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대통령[국가원수]에마뉘엘 마크롱RE앙 마르슈!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총리[정부수반]페테리 오르포EPP국민연합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총리[정부수반]오르반 빅토르무소속청년민주동맹


3. 기타[편집]


공화국, 왕국인지 상관없이 대부분 국가에서 총리가 유럽연합 정상회의에 참석하나 대통령이 참석하는 국가는 총 4개국이다.[4] 회원국 중에서 키프로스만이 국가원수정부수반을 겸임한 유일한 나라이다. 유럽연합 회원국 대부분이 의원내각제 또는 이원집정부제를 채택하여 국가원수정부수반이 분리되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9:09:24에 나무위키 유럽연합 정상회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 유럽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은 상단에 고정.[정부수반]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국가원수] A B C D [2] 현재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정당을 탈당하였으나 유럽 인민당과 견해를 같이하므로 정당을 표시함.[3] 기타나스 나우세다는 정당에 입당한 적이 없다.[4] 루마니아, 리투아니아, 키프로스, 프랑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