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바라키현 제1구

덤프버전 :


기타칸토 지방 국회의원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 중의원 의원 ]

이바라키 1구이바라키 2구이바라키 3구이바라키 4구이바라키 5구
후쿠시마 노부유키누카가 후쿠시로하나시 야스히로가지야마 히로시아사노 사토시
이바라키 6구이바라키 7구도치기 1구도치기 2구도치기 3구
구니미쓰 아야노나가오카 게이코후나다 하지메후쿠다 아키오야나 가즈오
도치기 4구도치기 5구군마 1구군마 2구군마 3구
사토 쓰토무모테기 도시미쓰나카소네 야스타카이노 도시로사사가와 히로요시
군마 4구군마 5구사이타마 1구사이타마 2구사이타마 3구
후쿠다 다쓰오오부치 유코무라이 히데키신도 요시타카기카와다 히토시
사이타마 4구사이타마 5구사이타마 6구사이타마 7구사이타마 8구
호사카 야스시에다노 유키오오시마 아쓰시나카노 히데유키시바야마 마사히코
사이타마 9구사이타마 10구사이타마 11구사이타마 12구사이타마 13구
오쓰카 다쿠야마구치 스스무고이즈미 류지모리타 도시카즈쓰치야 시나코
사이타마 14구사이타마 15구사이타마 16구
미쓰바야시 히로미다나카 료세이공석1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오미 아사코후지오카 다카오노나카 아쓰시이시이 게이이치마키하라 히데키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무라 기시로사와다 료다도코로 요시노리고미야마 야스코시오카와 데쓰야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이시카와 아키마사고시미즈 게이이치이가라시 기요시사카모토 유노스케나카네 가즈유키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
다카하시 히데아키스즈키 요시히로아오야마 야마토후쿠시게 다카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이바라키현 제1구
茨城県第1区
||
파일:shuinsen_Ibaraki1.svg
선거인 수426,105명 (2022)
상위 도도부현이바라키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무소속

후쿠시마 노부유키




1. 개요[편집]


이바라키현미토시, 카시마시, 치쿠세이시, 사쿠라가와시, 히가시이바라키군 시로사토마치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무소속 후쿠시마 노부유키.


2. 상세[편집]


2022년 선거구 조정 이전까지는 현의 중심 지역인 미토시에서부터 현의 서부 지역에 있는 시모츠마시까지 관할하는 선거구인지라, 선거구 모양이 동서로 길쭉하게 늘어져 있는 모양이었다. 게다가 선거구의 양끝에 위치한 미토시와 시모츠마시 두 지역은 서로 지리적, 사회적으로 다른 생활권인 지역이다. 게리맨더링이 이뤄진 선거구였다. 그나마 2022년 선거구를 재조정하면서 시모츠마시가 제외되는 바람에 선거구의 동서 길이가 줄어들었고, 하나의 시를 두 선거구로 나누는 경계 분할도 해소되었다.

보통 현의 중의원 선거구들 중 제1구는 현청 소재지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짜여져 도시 비중이 높음에도, 자민당에게 유리한 선거구를 만들기 위해 농촌 지역을 제1구에 집어넣는등 게리맨더링이 이뤄졌다는 비판도 있다. 다만 이바라키현이 인구는 일본에서 열 손가락에 들지만 유독 인구가 골고루 퍼져있고 중심 도시가 없어 불가피했다는 의견도 있다. 현청소재지이자 최대 인구 도시인 미토시도 현 인구의 10분의 1이 안되며, 미토시만으로 단독 선거구를 구성할 수 없다.

중대선거구 시절 내각관방장관, 농림수산대신 등을 지낸 자민당 아카기 무네노리의 기반이었고, 이후 손자인 아카기 노리히코가 기반을 물려받아 의원을 지냈다. 하지만 2007년 각종 비리가 터져 불명예스럽게 농림수산대신에서 2개월만에 물러났고, 2009년 자민당의 참패 와중에 민주당 후쿠시마 노부유키 후보에게 패배하고, 이른 나이에 정계에서 은퇴했다.

이후 자민당에서는 이바라키현의회 의원을 역임한 소속 다도코로 요시노리가 출마해 당선되었다. 하지만 2021년 제49회 중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출마한 후쿠시마 노부유키 후보에게 패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바라키현 제1구
미토시, 시모다테시, 시모츠마시, 카사마시,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 니시이바라키군 일부, 마카베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카기 노리히코114,796표1위


52.71%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쓰카다 노부미쓰63,069표2위


28.96%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도키자키 유지24,730표3위


11.3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세키도 히데코15,185표4위


6.97%낙선
유효표 수217,780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바라키현 제1구
미토시, 시모다테시, 시모츠마시, 카사마시,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 니시이바라키군 일부, 마카베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카기 노리히코132,229표1위


58.9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사토 유미53,184표2위


23.72%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다카자와 쇼이치18,573표3위


8.2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야 다케오17,246표4위


7.69%낙선
파일:덕주회.png군지 다카오2,968표5위

자유연합

1.32%낙선
유효표 수224,200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바라키현 제1구
미토시, 시모다테시, 시모츠마시, 카사마시,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 니시이바라키군 일부, 마카베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카기 노리히코128,349표1위


58.71%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쿠시마 노부유키77,420표2위


35.4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고지마 오사무12,845표3위


5.88%낙선
유효표 수218,614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바라키현 제1구
미토시, 시모다테시, 시모츠마시, 카사마시,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 니시이바라키군 일부, 마카베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카기 노리히코144,499표1위


58.27%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쿠시마 노부유키86,999표2위


35.0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야 다케오16,476표3위
6.64%낙선
유효표 수247,974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바라키현 제1구
미토시, 시모다테시, 시모츠마시, 카사마시,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 니시이바라키군 일부, 마카베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쿠시마 노부유키151,165표1위
57.1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카기 노리히코92,528표2위
34.9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야 다케오15,776표3위
5.96%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가나자와 고지5,267표4위
1.99%낙선
유효표 수264,736표투표율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바라키현 제1구
미토시, 시모다테시, 시모츠마시, 카사마시,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 니시이바라키군 일부, 마카베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도코로 요시노리103,463표1위
[1]45.3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쿠시마 노부유키66,076표2위
[2]28.96%낙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에비자와 유키29,611표3위
[3]12.98%낙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무토 유코15,971표4위
7.0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야 다케오13,065표5위
5.73%낙선
유효표 수228,186표투표율
선거인 수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바라키현 제1구
미토시 일부, 치쿠세이시, 시모츠마시 일부, 카사마시 일부,
사쿠라가와시, 히타치오미야시 일부,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도코로 요시노리105,536표1위
[4]49.1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쿠시마 노부유키77,179표2위
35.94%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우치 구미코32,048표3위
14.92%낙선
유효표 수214,763표투표율
54.64%
선거인 수405,377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바라키현 제1구
미토시 일부, 치쿠세이시, 시모츠마시 일부, 카사마시 일부,
사쿠라가와시, 히타치오미야시 일부,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도코로 요시노리100,875표1위
[5]48.43%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후쿠시마 노부유키82,835표2위
39.7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우치 쿠미코22,034표3위
10.58%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가와베 겐이치2,564표4위
행복실현당
1.23%낙선
유효표 수208,308표투표율
51.78%
선거인 수410,084인

지난 선거에서 당선된 자민당 다도코로 요시노리 후보와 지역구에서는 패배했으나 석패율 제도를 통해 당선된 희망의 당 후쿠시마 노부유키 후보의 재대결이 펼쳐졌다.

후쿠시마 노부유키는 지역구에서 다시 패하면서도 석패율을 73.13%에서 (다도코로 49.14% vs 후쿠시마 35.94%) 82.12%로 높이며 (다도코로 48.43% vs 후쿠시마 39.77%) 선전했다. 하지만 타 지역구 희망의 당 후보 득표율 변화 때문에 비례 순위가 4위에서 5위로 밀리며 이번에는 석패율 제도를 통해 부활에 실패, 낙선했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바라키현 제1구
미토시 일부, 치쿠세이시, 시모츠마시 일부, 카사마시 일부,
사쿠라가와시, 히타치오미야시 일부,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후쿠시마 노부유키105,072표1위
52.0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도코로 요시노리96,791표2위
[6]47.95%비례당선
유효표 수201,863표투표율
51.29%
선거인 수402,090인

현역 자민당 다도코로 요시노리 의원과 무소속 후쿠시마 노부유키 전 의원의 재대결이 치러진다. 이번 선거가 두 후보 사이의 4번째 맞대결이며, 지난 3번의 대결에서는 다도코로 의원이 모두 이겼다.

후쿠시마 전 의원은 희망의 당이 사실상 해산되자 어떤 야당에도 합류를 거부하고 무소속으로 남았다. 후쿠시마 이외에 경쟁력 있는 야권후보가 없어서인지 입헌민주당등 야당들이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 심지어 후쿠시마가 비교적 보수 성향이 강한 야당 의원임에도 불구하고 공산당마저도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 결국 자연스럽게 야권 무소속 후보로 단일화되는 몇 안되는 선거구가 되었다.

다도코로 의원이 지난 선거에서 과반득표를 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민당과 야당의 1대1 대결이 최종 성사된 이번 총선에서는 박빙 승부가 펼쳐질거라는 전망이 많다.

선거 결과 무소속 후쿠시마 후보가 4.2%차로 신승했다. 전체적으로 자민당이 대승하고 입헌민주당이 참패했지만, 무소속으로 출마한 후쿠시마는 좌경화한 입헌민주당에 대해 비판적인 비자민당 성향의 유권자 표까지 끌어모아서 승리를 거두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모츠마시 북부를 7구, 히타치오미야시 남서부를 4구에 넘겨주고 2구에 있던 미토시 서남부와 카사마시 동남부를 넘겨받으며 경계 분할을 해소했다.

별일이 없다면 무소속 후쿠시마 노부유키 의원의 4선 도전이 예상되며, 자유민주당에서도 다도코리 요시노리 의원이 후쿠시마와 의원과 재대결하며 5선에 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양자 구도였던 저번 선거와 달리 다른 후보들도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일본 유신회에서는 국회의원 비서등을 지냈고 지난 선거에서 4구에 출마했다 낙선한 무토 유코 후보의 출마가 예상된다. 일본공산당에서도 이번에는 단일화 대신 독자 후보를 낼 계획인데, 28세의 정치신인인 다카하시 세이이치로 후보가 공천을 받았다.

후쿠시마 의원 입장에서는 조금 난처해진게, 유신회 후보에게 비자민계 중도보수표를 일부 뺏기게 되고, 좌파진영 표도 공산당 후보에게 일부 뺏기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 대신 선거구 조정에 따라 미토시가 온전히 이 선거구에 포함되면서 조금 유리해졌다는 분석도 있다.

[1] 추천[2] 추천[3]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