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코라손 아키노

덤프버전 :




코라손 아키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1200px-Encyclopædia_Britannica.svg.png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선정 세계의 여성들
[ 펼치기 · 접기 ]

※ 2019년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은 세계사에 이름을 남긴 여성들을 선정했다.
긍정적 영향을 미친 여성들뿐 아니라 '세계사에 족적을 남긴 여성들'을 뽑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인물들 혹은 논란 있는 인물들도 있다.
성인들
성모 마리아예수의 테레사마더 테레사
지도자들
앙겔라 메르켈베나지르 부토예카테리나 2세캐시 프리먼서태후
클레오파트라코라손 아키노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다이애나 스펜서
지우마 호세프에디트 크레송엘레오노르 다키텐엘리너 루스벨트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2세엘런 존슨 설리프에바 페론골다 메이어그로 할렘 브룬틀란
한나 수호츠카하트셉수트인디라 간디이사벨 1세제니 시플리
줄리아 길라드칼레다 지아킴 캠벨마거릿 대처마리 앙투아네트
메리 로빈슨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미첼 바첼레트미셸 오바마박근혜
잔 다르크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쑹메이링탄수 칠레르테오도라
바이라 비케프레이베르가빅토리아 여왕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비올레타 차모로측천무후
잉락 친나왓
발견자들
에이다 러브레이스어밀리아 에어하트바버라 매클린톡캐롤라인 허셜도러시 호지킨
엘리자베스 블랙웰플로렌스 나이팅게일히파티아제인 구달캐서린 존슨
리제 마이트너마거릿 미드마리아 미첼마리 퀴리마리암 미르자하니
레이첼 카슨로잘린드 프랭클린사카자위아발렌티나 테레시코바
예술가들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코코 샤넬도로시아 랭프리다 칼로카라 워커
메리 카사트쿠사마 야요이자하 하디드
사회운동가들
앨리스 워커앤절라 데이비스앤 로이페아얀 히르시 알리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엘프리데 옐리네크그레타 툰베리제인 폰다주디 시카고리마 보위
나오미 클라인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수잔 팔루디타우왁쿨 카르만와리스 디리
말랄라 유사프자이마거릿 생어마리아 몬테소리해리엇 터브먼캐롤리 슈니먼
로자 파크스시린 에바디왕가리 마타이에멀린 팽크허스트글로리아 스타이넘
작가들
에밀리 디킨슨제인 오스틴사포버지니아 울프마거릿 애트우드
가브리엘라 미스트랄헬렌 켈러J. K. 롤링메리 울스턴크래프트무라사키 시키부
시몬 드 보부아르안네 프랑크토니 모리슨
운동선수들
베이브 디드릭슨빌리 진 킹파니 블랑커스쿤재키 조이너커시미아 햄
나디아 코마네치세레나 윌리엄스
퍼포머들
비욘세엘라 피츠제럴드캐서린 헵번마돈나메릴 스트립
미리엄 마케바오프라 윈프리사라 베르나르움 쿨숨
정치인들
에이미 클로버샤바바라 조던캐롤 모즐리 브라운엘리자베스 워런프랜시스 퍼킨스
제럴딘 페라로해티 캐러웨이힐러리 클린턴저넷 랭킨매들린 올브라이트
낸시 펠로시넬리 테일로 로스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셜리 치점빅토리아 우드훌
참정권주의자들
앨리스 폴앨리스 스톤 블랙웰캐리 채프먼 카트크리스타벨 팽크허스트도리아 샤픽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프랜시스 하퍼프랜시스 윌러드해리엇 스탠턴 블래치헤르타 아일톤
후다 샤아라위아이다 벨 웰스제인 애덤스줄리아 워드 하우케이트 셰퍼드
루크레티아 모트루시 번스루시 스톤메리 처치 테렐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메이 라이트 슈밀리센트 포셋소저너 트루스수잔 B. 앤서니버지니아 루이자 마이너
출처



--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올해의 인물 (198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1980's
||


--

필리핀 공화국 제11대 대통령
마리아 코라손 수물롱 코후앙코아키노
Maria Corazon Sumulong Cojuangco-Aquino
KGCR
파일:Corazon-Aquino.jpg
출생1933년 1월 25일
필리핀 군도 도민정청 타를라크주
사망2009년 8월 1일 (향년 76세)
메트로 마닐라 마카티
학력마운트 세인트 빈센트 대학 (수학 / B.A.)
파이스턴 대학교 (법학 / J.D.)
정당

직업사회운동가, 정치인
가족배우자 베니그노 아키노
아들 베니그노 아키노 3세
딸 크리스 아키노[1]
신체162cm
종교가톨릭
재임기간1986년 2월 25일1992년 6월 30일
서명파일:코라손 아키노 서명.png

파일:코라손 아키노 공식 초상화.jpg
공식 초상화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필리핀의 제11대 대통령. 임기는 1986 ~ 1992년. 마르코스 독재 종식 후 첫 민선대통령이다.

아시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며, 베니그노 니노이 아키노의 부인이자 베니그노 노이노이 아키노의 어머니.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정권의 몰락을 가져온 인물이다. 현지인과 중국인이 혼혈된 상글레이 집안혈통이다.

본래 사탕수수 농장을 소유한 유복한 가정의 딸로 태어나 미국 유학까지 마치고 정치인 남편을 맞았다. 그러나 1983년 남편인 베니그노 아키노가 귀국길 공항에서 암살을 당한 후, 코라손 아키노는 반정부 지도자로 변신한다. 그리고 민중의 지지를 바탕으로 대통령직까지 올랐다. 이러한 전적 때문에 필리핀에서는 입지전적인 인물로도 평가받는다.


2. 생애[편집]


1933년 필리핀의 명문 정치가문[2]에서 태어나 유복하게 자란 아키노는 미국 뉴욕의 마운트 세인트 빈센트 대학에서 수학과 프랑스어를 전공했다. 대학 졸업 후 로스쿨에 진학하려했지만, 집안의 반대로 계획을 접고 귀국하였고, 귀국 후에는 필리핀의 정치인이었던 베니그노 '니노이' 아키노와 결혼해 딸 넷과 아들 하나를 낳았다.

평범한 주부였던 아키노는 1983년 야당 지도자였던 남편 베니그노 아키노가 미국에서 귀국하여 필리핀 국제공항에서 암살당하자 남편의 뒤를 이어 정치에 뛰어들게된다. 아키노는 1986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독재정부를 무너뜨린 이른바 피플 파워 무혈 봉기를 이끌며 당시 군부의 도움을 받아 집권에 성공한다.

'코리'라는 애칭으로 불린 아키노는 당시 남편의 암살이 마르코스 독재정부의 명령에 의해 이뤄진 것이라고 주장하며 대통령 선거에 도전했다. 특히 마르코스가 부정선거를 저질렀다고 주장하면서 100만명에 가까운 군중을 모아 필리핀 전역의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었고, 결국 마르코스 독재정권을 무너뜨리는데도 성공한다. 그 결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와 그의 아내 이멜다 마르코스하와이로 망명해야 했다.

아키노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망명한 후 6년간 대통령으로 재임하게 되는데, 1986년 2월 25일 집권한 아키노는 피플 파워 혁명을 상징하는 노란색 옷을 입고 단상에 올라서서 이렇게 연설한 바 있다. “나라의 주인은 국민입니다. 앞으로도 부디 정부와 관리들의 행동을 잘 감시해주세요.” 그녀의 연설에 민중들은 대통령의 이름을 외치며 환호했다.

이러한 필리핀의 민주화는 한국과 남미 등을 비롯한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아키노 본인은 비폭력 시위의 세계적인 선구자가 되었고, 이에 따라 당시에는 '현대의 잔 다르크'로 불리기도 했다. 다만 아키노는 대통령 재임 당시 수차례나 군부의 쿠데타 기도에 시달리면서 아슬아슬한 임기를 보내야 했다. 실제로 1987년에 대통령궁이 반대파의 박격포 공격을 받기도 하는 등의 직접적인 위협도 받았는데, 다행히 이후 대통령이 되기도 하는 피델 라모스 장군의 도움으로 군부의 쿠데타 기도를 막을 수 있었다.

아키노는 필리핀의 민주화에 기여하여 반정부 인사들을 대거 사면시키고 상하 양원제 의회와 독립적인 대법원 등 정부 견제 정치기관을 계엄령 이전 상태로 복원시켜 민주적인 정치가 이루어지도록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자유 선거제를 부활시키고 독재정권의 재발을 막기 위해 헌법을 개정하여 대통령의 임기를 6년 단임제로 제한했을뿐만 아니라 지방분권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등 민주화에 크게 기여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키노는 자신을 지지하는 빅텐트격인 민주 계층의 이해관계 사이에서 이런저런 갈등을 조정하느라 엇갈린 행보를 반복할 수 밖에 없었고 이를 온전히 수습할 정치력에도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필리핀 가톨릭 교회를 포함한 정치, 경제적 기득권 세력에 휘둘렸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물론 재임 당시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아키노가 필리핀에서 이루어낸 민주화의 공은 엄청난 것이어서 1986년 타임지 선정 올해의 인물이 되기도 했다.

1992년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뒤에는 복지재단을 설립해 여러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2001년에는 에스트라다 전 대통령의 하야를 이끈 시위에 참여했으며, 이후 한때 정치적 동지였던 글로리아 아로요 현 대통령이 부정선거와 부패 혐의를 받자 그의 사임을 요구하는 집회에도 적극 참여하는 등 여러 정치활동에도 적극적이었다. 그렇게 퇴임 후에도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던 아키노는 2009년에 별세했다.


3. 기타[편집]


한국과의 인연도 있다. 김대중 대통령은 1980년대 초반 미국 하버드대에 체류하던 당시 아키노의 남편인 베니그노 아키노 상원의원과 알게 된 이후 아키노 의원과 꽤나 친한 사이였다고 하며 이때의 인연으로 김대중은 1988년 평화민주당 총재 자격으로 필리핀을 방문한 바 있다. 아키노도 1994년 생애 처음으로 김대중이 세운 아시아태평양평화재단 참석차 한국을 방문했고 1998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취임식 때도 참석했다. 또한 평화민주당의 상징색인 노란색도 아키노의 상징색이 같은 노랑이라 그런 것이다.

2009년 8월 1일 아키노가 사망하자 김대중 전 대통령 측에서 조의를 표했다. 같은 해 8월 18일에 김대중 전 대통령도 별세했다.

1986년 당시 피플파워와 아키노의 성공이 한국에 미칠 영향을 우려한 전두환 정권은 이 소식을 자세히 다루지 않도록 보도지침을 내리기도 했다.

2010년부터 새로 발행되는 필리핀 500페소 지폐에 남편과 함께 등장하게 되었다. 마침 그녀의 아들인 베니그노 아키노 3세가 대통령에 취임한 해이기도 하다.

현재 MBC 뉴스 아카이브 자료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오래전의 자료인 1987년 2월 3일 뉴스데스크에 아키노 대통령이 추진한 헌법 개헌과 관련한 소식이 나온다. # 단, KBS 9시 뉴스는 검색결과상 동월 25일부터 조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6:17:45에 나무위키 코라손 아키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배우, TV 쇼 진행자, 프로듀서로 일하고 있다.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의 '인탄 공주' 역할을 맡은 바 있다.[2] 증조부가 중국 푸젠성 출신으로 조부에서부터 의원을 역임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