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검은머리물떼새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 광릉 크낙새 서식지 · 진도의 진도개 · 울주 목도 상록수림 · 원성 성남리 성황림 · 제주도 김녕굴만장굴 · 보은 속리 정이품송 ·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 · 설악산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한라산 · 울릉군 성인봉 원시림 · 의령 서동리 함안층 빗방울 자국 · 크낙새 · 따오기 · 황새 · 고니 · 두루미 · 재두루미 · 팔색조 · 저어새 · 노랑부리저어새 · 느시 · 사향노루 · 산양 · 장수하늘소 · 고씨동굴 · 흑두루미 · 남양주 양지리 향나무 · 까막딱따구리 · 독수리 · 검독수리 · 참수리 · 흰꼬리수리 · 어름치 · 오계 · 무주군반딧불이 서식지 · , 황조롱이 · 회갈색올빼미 · 수리부엉이 · 부엉이 · 기러기 · 검은머리물떼새 · 원앙 · 하늘다람쥐 · 반달가슴곰 · 유라시아 수달 · 점박이물범 · 홍도(통영) · 독도 ·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 · 노랑부리백로 · 삽살개 · 성주 경산리 성밖숲 · 의성 사촌리 가로숲 ·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 · 성산 일출봉 · 문섬, 범섬 · 차귀도 · 마라도 ·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 ·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 뜸부기 · 두견 · 뿔쇠오리 · 붉은박쥐 · 남생이 · 꼬치동자개 · 무등산 주상절리 · 비단벌레 · 갓바위 · 우포늪 · 비둘기낭 폭포 · 동경이 · 화성 뿔공룡(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 골격 화석




검은머리물떼새
Oystercatcher


학명
Haematopus ostralegus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조강 Aves
하강
신악하강 Neognathae
상목
신조상목 Neoaves

도요목 Charadriiformes
아목
물떼새아목 Charadrii

검은머리물떼새과 Haematopodidae
아과
물떼새아과 Charadriinae

검은머리물떼새속 Haematopus

검은머리물떼새 H. ostralegus

1. 개요
2. 생태
3. 여담



1. 개요[편집]


도요목 검은머리물떼새과에 속하는 섭금류의 일종이다.

덴마크의 해외 속령 페로 제도국조이며, 대한민국에서는 멸종 위기종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물떼새과에는 들지 않지만 도요목 물떼새아목에는 포함되는 종이다. 몸길이는 약 45cm이다.


2. 생태[편집]


대한민국의 서해안 갯벌이나 강 하구에 서식한다. 1982년 11월 4일에 천연기념물 제326호로 등록되었다. 일부 주민은 물까치라고 한다. 하지만 진짜 물까치는 참새목 까마귀과에 속해서 분류학상으로는 무관한 종이다. 다만, 생김새가 붉은 부리와 다리, 검은 머리와 몸 때문에 물에 사는 까치 같아서 물까치라고도 부르기도 하지만, 물까치라는 새가 실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 이름으로 부르면 혼동할 수 있다.

암수는 깃털색으로는 구별이 어려우며, 수컷이 약간 더 짙을 뿐이다.

다른 기러기목이나 도요목 새들처럼 새끼는 태어나자마자 솜털이 있고 걸을 수 있는 조숙형 조류이지만, 어미 새가 직접 먹이를 준다. 새끼는 부리가 약해서 먹이를 혼자 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자라서 성체가 되어야 부리가 튼튼해져서 먹이를 잡을 수 있다.

게, 갯지렁이, 조개와 같은 갯벌에 사는 무척추동물을 먹는다. 최근 갯벌 간척 사업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줄고 있다.


3. 여담[편집]


검은머리물떼새는 3월 말에서 4월 초 사이 고창군 고창갯벌에 도래해 번식하는데, 최근 그 모습을 담으려는 사진작가들이 너무 가까이 다가가자 알을 품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물떼새류는 자갈밭이나 모래톱처럼 시야가 트인 장소에 둥지를 트는 경우가 많다 보니 이런 접근에 취약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