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민주한국당

덤프버전 :

신민당민주한국당신한민주당
(개별 합류)
통일민주당
(개별 합류)
해산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주한국당
공식명칭민주한국당 (民主韓國黨, Democratic Korea Party)
약칭민한당 (民韓黨)
창당일1981년 1월 1일
해산일1988년 4월 26일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해산)
선행조직
ta-hash-start=w-6a12f449790ed7be96d77aa4c7d9c1c1[[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정당 성격구색정당 (관제야당)
이념고전적 자유주의
보수자유주의
국민자유주의
반공주의
민족주의
해산 전 총재유치송
의석 수
2석 / 299석 (해산 직전)
중앙당사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37 (여의도동)
당 색
적색 (#ED2939)
당기파일:민주한국당 당기.svg
1. 개요
2. 상세
3. 역대 당직자
4. 총재
5. 원내총무
6. 역대 선거결과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1981년 창당하여 1988년까지 존재한 관제야당. 약칭은 민한당이다. 신군부에 의해 정치규제를 당하지 않은 신민당 출신 정치인들이 참여하였으며 유치송총재를 맡았다.

2. 상세[편집]


제5공화국 시절에는 여당인 민주정의당2중대라는 조롱을 당했으며 실제로도 국군보안사령부국가안전기획부가 창당자금을 제공하고 공천자 명단, 당직 임명까지 관여한 관제야당이다.
파일:민주한국당 창당식.png
▲ 민주한국당 창당식 모습
유치송이 바지 총재이고 신상우 사무총장이 실세로 알려졌으나 그 역시 안기부의 허수아비였다. 이러다 보니 민주한심당이라는 멸칭도 존재했다. 하지만 전두환 정부의 탄압으로 양김이 정계에 나서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렇게라도 야당을 지키겠다는 심정으로 뛰어든 인물들도 있었다. 민주정의당에 가담한 구 신민당 의원들에 비하면 이들의 처지는 변명의 여지가 있으나 결국 실질적 이미지는 힘없는 어용 야당이나 비시 프랑스 격이었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81석을 얻어 제1야당이 되었지만, 1985년 신한민주당이 창당되고 치러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지역구 26명과 전국구 9명으로 35명이 당선되는 데 그치며 제2야당으로 전락하였다. 특히 서울특별시 같은 대도시 지역에서 3위로 낙선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 타격이 컸다. 이후 소속 의원들의 탈당[1][2]이 뒤를 이어 신한민주당이 148석의 민정당과 맞서는 103석의 거대 야당이 되는 반면 민한당은 3석[3]의 군소 야당으로 전락했다. 그리하여 그 해 3월 유치송은 민주한국당 총재직을 사퇴하고 조윤형[4]이 잠시 총재가 되어 신민당과 합당을 추진하였으나 선명야당을 표방한 신민당이 2중대 소리 듣던 민한당을 받아줄 리가 만무했다. 결국 조윤형을 비롯한 일부 인사들은 탈당하여 신민당에 입당했고, 그 해 9월 유치송이 다시 총재가 되었다.

1987년 6월 민주 항쟁 이후 치러진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총재 유치송을 비롯해 한 명의 당선자도 내지 못하여 정당등록이 취소되었다.[5] 이후 남은 인사들은 통일민주당에 합류하였다.

중앙당사는 창당 초기 서울특별시 종로구 공평동 5-1 공평빌딩[6]에 터를 잡다가, 1981년 5월 1일부터 영등포구 여의도동 13-31 기계회관으로 옮겼다.


3. 역대 당직자[편집]



4. 총재[편집]





5. 원내총무[편집]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원내총무




6. 역대 선거결과[편집]


연도선거명후보득표율득표 / 전체표결과
1981년제12대 대통령 선거유치송7.7%404표 / 5270표[7]낙선
연도선거명득표율득표수 / 전체표의석수
1981년제11대 국회의원 선거[8]21.6%3,495,829표 / 16,207,325표81석/276석
1985년제12대 국회의원 선거19.7%3,931,300표 / 19,974,477표35석/276석
1988년제13대 국회의원 선거0.2%32,799표 / 19,642,040표0석/299석


7. 관련 문서[편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주당계 정당의 계파 역사
[ 펼치기 · 접기 ]

민주당 창당 ~ 장면 제2기 내각
신파 (민주당)구파 (구파동지회)
장면 제2기 내각 ~ 장면 제3기 내각
소장파노장파합작파신민당통일당
장면 제3기 내각 ~ 장면 제4기 내각
신풍회노장파정안회신민당통일당
장면 제4기 내각 ~ 5.16 군사정변
신풍회중도파노장파정안회신민당통일당
5.16 군사정변 ~ 민정당 창당
정치 활동 금지
민정당 창당 ~ 1차 진산 파동
민주당민정당자민당국민의당
1차 진산 파동 ~ 신민당 창당
민주계 유진산계 신한당
신민당 창당 ~ 2차 진산 파동
신파계구파계유진산계국민당민중당
2차 진산 파동 ~ 10.26 사건
신파계구파계이철승계민주통일당
10.26 사건 ~ 5.17 내란
동교동계상도동계 이철승계민주통일당
5.17 내란 ~ 11대 총선
정치 활동 금지
11대 총선 ~ 12대 총선
민한당
12대 총선 ~ 이민우 구상
동교동계상도동계 이철승계 민한당
이민우 구상 ~ 13대 대선
동교동계상도동계 신민당 민한당
13대 대선 ~ 3당 합당
동교동계상도동계
3당 합당 ~ 14대 총선
한겨레신민당 꼬마민주계박찬종계
14대 총선 ~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동교동계 잔류파새한국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 15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
15대 대선 ~ 16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이인제계
16대 대선 ~ 열린우리당 창당
친노동교동 신파동교동 구파후단협이인제계
열린우리당 창당 ~ 17대 총선
친노민주
17대 총선 ~ 4회 지선
민평련친노비노민주
4회 지선 ~ 17대 대선
민평련친노정동영계민주김한길계
17대 대선 ~ 18대 총선
민평련친노정동영계민주손학규계김한길계창조
18대 총선 ~ 국민참여당 창당
민평련정동영계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창조
국민참여당 창당 ~ 민주통합당 창당
정동영계참여계민평련친노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창조
민주통합당 창당 ~ 19대 총선
정동영계혁통계민평련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창조
19대 총선 ~ 18대 대선
정동영계민평련친문정세균계박지원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
18대 대선 ~ 14년 재보선
민평련친문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친안
14년 재보선 ~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김민석계민평련친문정세균계천정배계구민주계친안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 20대 총선
김민석계친문정세균계구민주계친안
20대 총선 ~ 국민의당 분당
박원순계친문안희정계평화 친안
국민의당 분당 ~ 민생당 창당
친명친문비문평화대안손학규계
민생당 창당 ~ 21대 총선
민주민생
21대 총선 ~ 20대 대선
열린친명친문이낙연계민생
20대 대선 ~ 현재
친명친문비명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민주 · 민생 · 국민의힘 · 극우정당)
계파 역사 (진보정당 · 민주당계 · 보수정당)




1981.4.11. ~ 1985.5.12.
[ 임기 종료 당시 ]

여당
149석
관제야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59석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svg
32석
파일:한국국민당(1981년) 로고.svg
24석
파일:신정사회당 선거벽보 글씨.png
1석
무소속
6석
재적
271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1985.5.13. ~ 1988.5.29.
[ 임기 개시 당시 ]




[1] 민주정의당, 신한민주당, 한국국민당.[2] 김일윤, 황대봉 등 한국국민당 출신 의원들은 국민당으로 복당.[3] 지역구 유치송, 전국구 손태곤, 신동준.[4] 조병옥의 아들이자 조순형의 형이다.[5] 2014년 헌법재판소가 득표율 미만 정당 해산 규정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다.[6] 현 공평도시유적전시관 터.[7] 당시 대통령 선거는 자격 있는 선거인단이 투표를 하는 간선제였다.[8] 중선거구제+비례대표제, 1인 1투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