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영삼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영삼(동명이인) 문서

김영삼(동명이인)번 문단을
김영삼(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영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남 통영군 을)
제2대
이채오

제3대
김영삼


선거구 개편
진석중[A]
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남 부산시 서구 갑)
제4대
이상룡

제5대
김영삼


선거구 개편
김영삼[B]
파일:국회휘장(8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서구)
선거구 개편
김영삼
김동욱[C]

제6-8대
김영삼


선거구 통합
김영삼
박찬종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서구·동구)
선거구 개편
김영삼
김승목[D]

제9-10대
김영삼
[E]
박찬종

선거구 개편
왕상은[F]
안건일[F]
곽정출[B]
서석재[B]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서구)
선거구 분리
곽정출[G]
서석재[G]

제13대
김영삼


제14대
곽정출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김영삼
金泳三 | Kim Young-sam


파일:Kim_Young-sam_presidential_portrait.jpg

출생
1929년 1월 14일[1]
경상남도 통영군 장목면 외포리 1383-3
(現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옥포대첩로 743-1)
사망
2015년 11월 22일 (향년 86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사저
서울특별시 동작구 매봉로2가길 11 (상도동)[2]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김영삼대통령묘소
재임기간
제14대 대통령
1993년 2월 25일 ~ 1998년 2월 24일
서명
파일:김영삼 서명.svg
[3]

[ 펼치기 · 접기 ]
본관
김녕 김씨[1]
부모
아버지 김홍조, 어머니 박부련[2]
형제자매
여동생 김호금, 김호아, 김호임, 김두선, 김두아
배우자
손명순
자녀
아들 김은철, 김현철
딸 김혜영, 김혜정, 김혜숙
학력
장목보통학교 외포간이학교 (4학년 수료)[3]
장목심상소학교 (졸업)
통영중학교[4] (전학)
경남공립중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철학 / 학사)
병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 전역 (학도병) (국방부 본청 정훈국 정훈장교)[5]
종교
개신교 (예장합동)[6]
신체
168cm, 63kg, AB형
의원 선수
9
의원 대수
3, 5(민), 6, 7, 8, 9, 10, 13, 14
약칭
YS

거산(巨山)[7]



파일:김영삼대통령초상화.png

공식 초상화

1. 개요
2. 약력
9. 묘소
10. 가족 관계
11. 대중매체에서
12. 수상 내역
13. 선거 이력
14. 소속 정당
1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취임 선서
대한민국의 제14대 대통령.


2. 약력[편집]


  • 1938.3. 장목공립보통학교[4] 외포간이학교 4학년 수료
  • 1938.4. 장목공립심상소학교 5학년 편입
  • 1940.3. 장목공립보통학교 졸업
  • 1941. 통영공립중학교 퇴학[5]
  • 1947.8. 경남중학교[6] 졸업
  • 1950.5.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 장택상 후보 선거운동원
  • 1951.2. 국방부 정훈국 대북방송 담당원
  • 1951. 장택상 국회부의장 비서관
  • 1951.9. 서울대학교 철학 학사
  • 1952.5. 국무총리실 인사비서관 (장택상 국무총리)
  • 1954.4. 제3대 민의원의원 선거 후보 (자유당, 경남 23[7])
  • 1954.5. 제3대 민의원의원 (초선)
  • 1955.4. 민주당 창당발기위원[8]
  • 1958.4. 제4대 민의원의원 선거 후보 (민주당, 경남 2[9], 낙선)
  • 1960.6. 제5대 민의원의원 선거 후보 (민주당, 경남 2)
  • 1960.7. 제5대 민의원의원 (재선)
  • 1961.2. 신민당 원내부총무
  • 1963.5. 민정당 대변인
  • 1963.10. 제6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민정당, 부산 3)
  • 1963.12. 제6대 국회의원 (3선)
  • 1965.6. 민중당 원내총무
  • 1967.5. 제7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신민당, 부산 3)
  • 1967.7. 제7대 국회의원 (4선)
  • 1969.5. 신민당 원내총무
  • 1970.7. 제7대 대통령 선거 신민당 경선 후보 (낙선)
  • 1971.4. 제8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신민당, 부산 3)
  • 1971.7. 제8대 국회의원 (5선)
  • 1973.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신민당, 부산 2[10])
  • 1973.3. 제9대 국회의원 (6선)
  • 1976.5. 신민당 총재 경선 후보 (낙선)
  • 1978.11.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신민당, 부산 2)
  • 1979.3. 제10대 국회의원 (7선)
  • 1979.5. 신민당 총재
  • 1983. 민주화추진협의회 발기인
  • 1985.1. 신한민주당 창당발기인
  • 1987.5. 통일민주당 창당발기인
  • 1987.5. 통일민주당 총재
  • 1987.5.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고문
  • 1987.11. 제13대 대통령 선거 후보 (통일민주당, 낙선)
  • 1988.3.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통일민주당, 부산 서구)
  • 1988.5. 제13대 국회의원 (8선)
  • 1990.5. 민주자유당 대표최고위원[11]
  • 199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민주자유당, 전국구 1번)
  • 1992.5. 제14대 대통령 선거 후보 (민주자유당)
  • 1992.5. 민주자유당 대표최고위원 연임
  • 1992.5. 제14대 국회의원 (9선, 역대 최다선)
  • 1992.8. 민주자유당 총재
  • 1993.2.25.~1998.2.24. 제14대 대한민국 대통령
  • 1993.2. 무궁화대훈장 수훈
  • 1993.12. 해리먼 민주주의상 수상
  • 1994. 일본 와세다대학 법학 명예박사
  • 1995.2. 민주자유당 총재 연임
  • 1995.10. 미국 유엔협회 세계지도자상 수상
  • 1995.12. 마틴 루터 킹센터 비폭력평화상 수상
  • 1995.12. 신한국당 총재
  • 1997.9. 신한국당 명예총재[12]
  • 1999.6. 백범기념관 건립위원회 고문
  • 2002.4. 일본 와세다대학 특명 교수
  • 2003.9. 자유북한방송 방송위원회 명예위원장
  • 2006.6. 원광대학교 정치학 명예박사
  • 2008.5. 한국티볼협회 총재
  • 2009.5.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 장의위원회 고문
  • 2011.1. 제3회 대한민국 법률대상 입법부문 수상
  • 2011.7. 범국민 안보공감 캠페인 명예위원장


3. 일생[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김영삼/일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학교 졸업 후 국회부의장국무총리를 역임한 정치인 장택상비서로 일하다가,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자유당 소속으로 출마해 국회의원에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하였다. 국회의원 당선 당시 만 26세 5개월로, 현재까지도 역대 최연소 국회의원으로 기록되고 있다.[13]

자유당에서 정치를 시작했으나, 1954년 당시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의 장기집권을 위한 사사오입 개헌이 통과되자 이에 반발하여 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이후 제3공화국~제5공화국 치하에선 군사정권에 맞선 대표적인 야당 지도자 중 한명으로 같은 당 동지였던 김대중 등과 함께 민주화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1987년 6.29 선언으로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진 후 치러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 후보와 끝내 단일화에 실패하면서 갈라서게 되었다.

이후 1990년 3당 합당으로 노태우, 김종필 등과 단일화를 하면서 오늘날 한국 보수정당 뿌리의 한축을 이루게 되었다. 그리고 1992년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김대중 후보를 꺾고 대통령당선되었다. 김영삼이 이끌었던 정부를 문민정부라고 칭하는데, 이는 지난 30여년 동안 이어져온 군인 출신 대통령이 아닌 '민간인 출신 대통령에 의한 정부'라는 뜻이다.[14]

퇴임 후 상도동 자택에서 여생을 보내다가, 2002년 4월 명예법학박사 학위를 받은 모교 와세다대학에서 특명교수로 취임하는 등 연구에 매진 후 2015년 11월 22일 혈액감염 의심 증세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 패혈증과 급성 심부전증으로 사망했다. 사후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

3.1. 문민정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문민정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문민정부/평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사상과 신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김영삼/사상과 신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김영삼/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여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김영삼/여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어록[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김영삼/어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묘소[편집]


파일:KakaoTalk_20211225_174625590.png
김영삼 전 대통령 묘소.
사후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으며 묘소는 역대 대통령 중에서는 가장 마지막으로 서울현충원 내에 조성되었다.


10. 가족 관계[편집]


  • 조부: 김동옥
  • 아버지: 김홍조 (1911년 ~ 2008년)
  • 어머니: 박부련 (1907년 ~ 1960년)[15]
    • 여동생: 김호금 (1932년 ~ )
      • 매제: 김상기 (1925년 ~ 2003년)
    • 여동생: 김호아 (1934년 ~ )
      • 매제: 김영모
    • 여동생: 김호임 (1936년 ~ )
      • 매제: 김상한 (1934년 ~ )
    • 여동생: 김두선 (1938년 ~ )
      • 매제: 최영욱 (1933년 ~ )
    • 여동생: 김두아 (1940년 ~ )
      • 매제: 김창원 (1936년 ~ )

  • 배우자: 손명순 (1929년 ~ )
    • 장녀: 김혜영 (1952년 ~ )[16]
      • 사위: 이창해 (1948년 ~ )
    • 차녀: 김혜정 (1954년 ~ )
      • 사위: 송영석 (1950년 ~ )
    • 장남: 김은철 (1956년 ~ )
      • 며느리: 황경미 (1958년 ~ )
    • 차남: 김현철 (1959년 ~ )
      • 며느리: 김정현[17] (1960년 ~ )
    • 3녀: 김혜숙 (1961년~ )
      • 사위: 이병로 (1959년 ~ )



11. 대중매체에서[편집]


한국 현대사에 거대한 족적을 남긴 인물인데다가 민주화 개막 이후 첫 민간인 대통령이다보니 대중매체에서의 등장도 비교적 잦은 편이었다. 다만 대부분의 작품이 제1공화국이나 군사정권이 배경이라서 야당 정치인으로 등장한다.

파일:KimYS.jpg
파일:KimYS-Y.jpg
파일:KimYS-5.jpg
길용우가 연기
야인시대 정명준이 연기
김용건이 연기

  • 제2공화국(MBC, 1989) - 길용우
  • 제3공화국(MBC, 1993) - 길용우
  • 무풍지대(KBS, 1989) - 이인철[18]
  • 코리아게이트(SBS, 1995) - 이영하
  • 제4공화국(MBC, 1995) - 임동진[19]
  • 화려한 휴가(MBC, 1996) - 신구[20]
  • 삼김시대(SBS, 1998) - 길용우
  • 야인시대(SBS, 2002) - 정명준[21]
  • 영웅시대(MBC, 2004) - 정명준
  • 제5공화국(MBC, 2005) - 김용건
  • 격동 50년(MBC 라디오) - 성우 탁재인, 이상훈
  • 그 사람 노무현 (팟캐스트) - 성우 오인성
  • 나의 독재자 - 전국환 작중 실제 김일성이 죽기전 회담 예행연습을 하기위해 등장하며 실제 YS처럼 큰소리도 치는 모습을 보인다.
  • 국가부도의 날(영화) - 이호재[22]
  • 킹메이커 - 유재명[23]
  • 둘리의 배낭여행[24] - 제1편 미국 편에서 이름이 잠깐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서울특별시김포국제공항에서 뉴욕존 F. 케네디 국제공항으로 비행하는 여객기조카와 함께 탑승한 고길동이, 성난 승무원 한 명[25]과 승객들이 던진 물품들을 두 손으로 막을 때인데,[26] 잘 보면 '영' 자는 돌돌 만 인쇄물 두 장에 가려진 상태로 표기되었음을[27] 확인할 수 있다.


12. 수상 내역[편집]


  • 1993년 해리먼 민주주의상
  • 1994년 비폭력평화상
  • 1995년 UN협회 세계지도자상
  • 1995년 마틴 루터 킹센터 비폭력평화상
  • 1996년 제1회 루스벨트 국제장애인상
  • 2011년 제3회 대한민국법률대상 입법부문


13.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23[28]

[[자유당|
]]

20,770 (44.77%)
당선 (1위)
초선[29]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2[30]


18,862 (42.98%)
낙선 (2위)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29,754 (66.87%)
당선 (1위)
재선[31]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3[B]

[[민정당|
]]

39,946 (41.65%)
3선
196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61,957 (59.23%)
4선
1971
제8대 국회의원 선거
74,589 (63.17%)
5선[32]
1973
제9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2[H]
83,661 (40.39%)
6선[33]
1978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37,826 (53.77%)
7선[34]
1987
제13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6,337,581 (28.03%)
낙선 (2위)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72,599 (66.48%)
당선 (1위)
8선[35]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7,923,718 (38.49%)
당선 (1번)
9선[36]
제14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9,977,332 (41.96%)
당선 (1위)
[37]

역대 선거 벽보[38]

[ 펼치기 · 접기 ]
파일:ECM0120060001_0101S-1.png

파일:ECM0120060004_0094S-1.png

7대 총선 (부산 3)[B]
8대 총선 (부산 3)[B]

파일:ECM0120060012_0059S-1.png


파일:ECM0120060032_0109S-1.png

9대 총선 (부산 2)[H]
10대 총선 (부산 2)[H]

파일:ECM0120060283_0003S-1.png


파일:ECM0120060065_0011S-1.png

13대 대선
13대 총선 (부산 서구)

파일:filewastooigsoIcaptured.png

14대 대선


  • 만 26세 5개월로 역대 최연소 의원이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선거 이력이 긴 것은 라이벌 DJ도 마찬가지지만, 선거 이력의 절반이 낙선인 김대중과 달리 낙선 전력이 딱 2번 뿐이다. 박준규, 김종필과 함께 9선 의원이란 어마어마한 기록도 가지고 있는데, 사실 나머지 두 사람이 김영삼이 대통령이 된 이후에도 정계 활동을 10여년 정도 더 한걸 감안하면[39] 대단하긴 하다.


14.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자유당|
]]

1954
정계 입문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54 - 1955
탈당[40]


1955 - 1960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60
탈당[41]

[[신민당(1960년)|
]]

1960 - 1961
창당

1961 - 1963
정당 해산[42]

1963 - 1965
입당

1965 - 1967
합당[43]

1967 - 1969
합당[44]

1969
자진 정당 해산

1969 - 1980
정당 재등록

1980 - 1986
정당 해산

1986 - 1987
입당

1987
탈당[45]

1987 - 1990
창당

1990 - 1995
합당[46]

1995 - 1997
당명 변경

1997 - 2015
탈당[47]
정계 은퇴
사망


15. 둘러보기[편집]
































[1] 실제 생년월일이다. 음력 1928년 12월 4일. 호적상 생년월일은 1927년 12월 20일이다. 첫 출마당시 양력 생일이 나이제한에 걸리자 김영삼이 국회의원 출마를 위해 호적상의 나이를 바꾸려 했는데 이때 담당 공무원이 한살차이는 호적을 고칠 수 없다고 반대하여 1927년생으로 고치게 되었다.#또한 과거 네이버 프로필에서도 출생년도가 1927년 12월 20일생으로 기록되어 있었고 현재는 실제 생년월일로 변경되어있다.[2] 1969년부터 살았던 생전 거주지로 아버지가 사준 마지막 집이라고 한다. (상도동계의 뜻이 바로 이 집이다.)[3] 사실 김영삼의 경우는 한글 서명보다 한자 서명이 압도적으로 유명하다. 그 이유는 바로 영삼시계 때문이었다.[4] 현 장목초등학교.[5] 1988년 명예 졸업.[6]경남고등학교. 문재인 전 대통령의 모교이기도 하다.[7]거제시, 통영시 일대.[8] 1954.11. 사사오입 개헌에 반대하여 자유당 탈당.[9]부산광역시 서구 일대.[10] 현 부산광역시 서구, 동구 일대.[11] 당시 총재노태우 전 대통령.[12] 1997.11. 명예총재직 사퇴, 신한국당 탈당. 2주 차이로 한나라당에 따라가지 않았다.[13] 대한민국 정계에서 김종필, 박준규와 함께 단 3명뿐인 9선 국회의원이다.[14] 실제 집권 기간 하나회 숙청도 하였으나 1996년 연세대 사태도 엄정하게 처리하였다.[15] 박부련 사후 김홍조는 새 아내를 2번 들였다. 최남순(1925년 ~ 1971년)과 이수남 (1924년 ~ 2012년).[16] 배우 이덕화와는 초등학교 6학년 때 같은 반이었던 친구이다.[17] 김웅세 전 롯데물산/호텔롯데 월드사업부 대표의 장녀이다.[18] 이후 같은 작가가 쓴 야인시대에서는 이기붕 역할로 출연한다. 사실 여기 있는 김영삼을 연기한 배우들 중 외모만으로는 가장 김영삼과 닮았다. 엄밀히는 김영삼의 아들 김현철을 더 닮았지만, 김영삼 부자는 노태우 부자만큼이나 붕어빵 부자로 유명하기 때문에 김영삼보다 김현철을 더 닮았다고 한들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19] 공교롭게도 이후 제5공화국에서는 김대중 역을 맡았다. 김대중 역할이 임팩트가 더 센 탓에 묻힌감이 있다. 원래는 길용우를 캐스팅하려고 했으나, 길용우 본인이 사양하면서 제작진이 임동진을 삼고초려해 캐스팅했다고 한다. 관련 뉴스[20] 극 중 배역명은 대통령으로 나오나, 김영삼 이라는거는 확실치는 않지만, 당시 방영시기가 문민정부이고, 인물소개를 보면, 김영삼 일생 및 경력이 거의 비슷하다.[21] CJ ENM 4기 성우로, 성우 외에도 각종 촬영물에 단역으로 종종 활동했으며 정치 초년병 시절의 젊은 김영삼 역할을 맡아 특유의 말투까지 훌륭하게 재현해냈다.[22] 얼굴이 안 나오는 캐릭터로 딱 한 장면만, 그나마 얼굴이 나오는 부분도 초점이 흐리게 처리된다. 엔딩 크레딧에서는 YS로 표기.[23] 김영삼을 모티브로 한 김영호라는 가명으로 등장한다.[24] 1995년에 기획·제작된 영어 교육용 애니메이션[25] 다른 한 명은 이륙 전에 승객들에게 저녁 인사(Hello. Good evening.)를 하고 더 등장하지 않는다.[26] 창문 쪽에 앉은 이상한 승객 한 명이 승객들에게 제공하는 사탕을 모두 먹어버리고, 희동이에게 초콜릿을 주려던 승무원의 궁둥이를 잘못 건드리는 바람에 이 사단이 난 것이다.[27] 한 장에는 '김' 자만, 다른 한 장에는 '삼'자만 큼지막하게 적혀 있다.[28] 통영군 을.[29] 역대 최연소 국회의원. (만 26세 5개월)
1955년 자유당 탈당, 민주당 입당. (사사오입 개헌 반대)
[30] 부산시 서구 갑.[31] 1961.5.16. 자격정지. (5.16 군사정변)[B] 서구[32] 1972.10.17. 자격박탈. (10월 유신)[H] 서구, 동구[33] 민주공화당 박찬종 후보와 동반 당선.[34] 민주공화당 박찬종 후보와 동반 당선.
1979.10.4. 제명. (김영삼 제명 파동)
[35] 1990년 민주자유당 합류. (3당 합당)[36] 최다 국회의원 당선. (9선)
1992.10.13. 의원직 사퇴. (14대 대선 출마)
[37] 1997.11.7. 신한국당 탈당.[38] 제 3, 4, 5, 6대 국회의원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는다. 심지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정보도서관에서 김영삼으로 검색했을 시 7대 이전의 것도 확인할 수 없다. 이는 김대중도 마찬가지.[39] 특히 김종필은 10선 의원이 되려고 부단히 용을 썼지만 결국 실패했다.[40] 사사오입 개헌에 대한 반발로 자유당 탈당.[41]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42] 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정당 해산.[43] 민주당과 신설 합당.[44] 신한당과 신설 합당.[45]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46] 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47] 11월 7일 탈당했다. 2주 차이로 한나라당에 따라가지 않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