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블랙머니(영화)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영화의 배경이 되는 사건에 대한 내용은 론스타 게이트 문서
론스타 게이트번 문단을
론스타 게이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블랙머니 (2019)
BLACK MONEY
파일:블랙머니(2019) 포스터.jpg
장르범죄, 정치, 드라마, 느와르, 미스터리, 서스펜스, 스릴러, 수사, 하드보일드, 시대극, 법정
감독정지영
각본한현근
제작양기환, 정상민, 이종호
촬영김형석
편집김상범
음악신민
출연조진웅, 이하늬
제작사유한회사 질라라비
(주)아우라픽처스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제작 기간2019년 4월 6일 ~ 2019년 6월 29일
화면비2.39:1
개봉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11월 13일
상영 시간113분
월드 박스오피스$17,887,384
총 관객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480,145명 (최종 기준)
월드 박스오피스-
국내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4.1. 특별출연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7.1. 대한민국
8. 기타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19년 개봉하는 한국 영화. 론스타 게이트 사건을 모티브로 한 금융 사건을 추적하는 검찰 내부의 갈등을 그린 범죄물로, 2012년작 남영동1985 이후 정지영 감독이 7년여만에 내놓는 작품이다.


2. 예고편[편집]


▲ 1차 예고편

▲ 메인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고발은 의무! 수사는 직진!
할말은 하고 깔 건 깐다!


일명 서울지검 ‘막프로’! 검찰 내에서 거침없이 막 나가는 문제적 검사로
이름을 날리는 ‘양민혁’은 자신이 조사를 담당한 피의자가 자살하는 사건으로 인해
하루 아침에 벼랑 끝에 내몰린다. 억울한 누명을 벗기 위해 내막을 파헤치던 그는
피의자가 대한은행 헐값 매각사건의 중요 증인이었음을 알게 된다.

근거는 의문의 팩스 5장!
자산가치 70조 은행이 1조 7천억원에 넘어간
희대의 사건 앞에서 ‘양민혁’ 검사는 금융감독원, 대형 로펌, 해외펀드 회사가 뒤얽힌
거대한 금융 비리의 실체와 마주하게 되는데…

대한민국 최대의 금융스캔들, 사건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4. 등장인물[편집]




4.1. 특별출연[편집]



5. 줄거리[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011년, 강가에서 자가용을 주차해 놓고 누군가와 통화를 하고 있는 최 차장[1]과 차 조수석에 타 있는 박수경의 모습을 보여주며 시작된다. 차에 다시 탄 최 차장은 박수경에게 '검찰이 우리의 관계를 알아낸 것 같다'며 검찰에 한 번 더 출두해야 할 것 같다고 말한다. 이에 박수경은 '저번에 마지막이라고 하지 않았느냐'며 따지고, 최 차장은 조금만 더 고생하자며 위로한다. 이어 둘이서 차를 운전하고 돌아오던 와중, 의문의 덤프트럭이 둘이 탄 차를 뒤에서 들이받아 그 충격으로 최 차장은 그 자리에서 즉사하고, 박수경은 목 등에 부상을 입고 만다.

몰래 최 차장의 발인을 지켜본 뒤 를 운전해 어딘가로 향하는 박수경. 박수경은 동생과 통화하며 도로를 달리는데,[2] 통화를 마친 뒤 백미러를 보자 덤프트럭 한 대가 시야에 잡힌다. 최 차장이 죽고 자신만 간신히 살아남은 저번의 사고가 떠올라 패닉에 빠져 과속을 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몇 대의 차들과 추돌한 뒤 경찰의 지시에 의해 정차하나 여전히 진정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얼마 후, 박수경은 방화대교 인근 한강변에서 차 안에 연탄불을 피워놓고 자살한 상태로 발견된다.

여느 날처럼 출근한 서울지검의 양민혁 검사(조진웅 분), 출근하자마자 충격적인 뉴스를 보게 되는데, 자신이 얼마 전 심문했던 박수경이 자살했는데, 자살하기 직전 동생에게 보낸 문자에 검사가 자신을 심문하는 과정에서 성추행을 저질렀고, 이에 대한 수치심을 이기지 못해 자살했다는 내용이 담겨있던 것. 이 때문에 여론이 발칵 뒤집혔고, 양민혁은 주변 동료 검사들에게 자신은 결코 그런 적이 없다고 항변하나 전혀 통하지 않았고, 오히려 징계를 받을 위기에 처한다.


6.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89053|
기자·평론가
6 / 10
관람객
8.75 / 10
네티즌
8.42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6 / 10
관람객
8.75 / 10
네티즌
8.42 / 10
]]
평점 8.75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9.1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96%





쉽게 풀어낸 금융범죄, 단순하지만 허술하진 않다.

- 송경원(씨네21) ★★★(6/10)


여전히 예민한 정지영 감독의 시선

- 심규한(씨네플레이) ★★★(6/10)


한국사회를 향한 힘 있는 고발

- 이은선(영화 저널리스트) ★★★(6/10)


영화를 통해 날리는 돌직구 비판

- 이화정(씨네21) ★★★(6/10)


시의적절, 맹렬한 추적과 증언

- 박평식(씨네21) ★★★(6/10)


한국 사회의 검은 우물 속에 뛰어들어 정화하려는 노력

- 허남웅(씨네21) ★★★(6/10)



7. 흥행[편집]



7.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9년 45주차2019년 46주차2019년 47주차
신의 한 수: 귀수편블랙머니겨울왕국 2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34,961명34,961명미집계305,048,000원305,048,000원
1주차2019-11-13. 1일차(수)111,660명-명1위890,671,310원-원
2019-11-14. 2일차(목)122,590명1위971,465,620원
2019-11-15. 3일차(금)160,478명1위1,400,344,100원
2019-11-16. 4일차(토)314,351명1위2,790,304,740원
2019-11-17. 5일차(일)306,315명1위2,729,751,250원
2019-11-18. 6일차(월)118,356명1위956,654,860원
2019-11-19. 7일차(화)106,498명1위859,314,790원
2주차2019-11-20. 8일차(수)110,118명-명1위878,254,600원-원
2019-11-21. 9일차(목)69,730명2위566,095,920원
2019-11-22. 10일차(금)90,004명2위792,291,470원
2019-11-23. 11일차(토)141,403명2위1,250,514,140원
2019-11-24. 12일차(일)131,023명2위1,154,677,370원
2019-11-25. 13일차(월)59,515명2위477,281,520원
2019-11-26. 14일차(화)57,034명2위453,862,100원
3주차2019-11-27. 15일차(수)61,442명-명3위374,674,440원-원
2019-11-28. 16일차(목)38,837명3위303,703,740원
2019-11-29. 17일차(금)50,318명3위425,357,470원
2019-11-30. 18일차(토)94,074명3위808,147,850원
2019-12-01. 19일차(일)81,335명3위708,640,460원
2019-12-02. 20일차(월)34,702명3위272,177,800원
2019-12-03. 21일차(화)34,735명3위267,158,320원
4주차2019-12-04. 22일차(수)18,110명-명6위143,188,640원-원
2019-12-05. 23일차(목)12,783명7위100,538,720원
2019-12-06. 24일차(금)17,657명6위146,091,420원
2019-12-07. 25일차(토)28,267명6위246,715,380원
2019-12-08. 26일차(일)22,572명6위199,880,600원
2019-12-09. 27일차(월)8,906명6위70,686,780원
2019-12-10. 28일차(화)9,588명7위73,382,280원
합계누적관객수 2,447,204명, 누적매출액 20,615,557,690원[3]

투입 제작비는 71억원, 손익분기점은 177만명이다. #

개봉 첫 날인 11월 13일에 약 11만명을 동원해 1위로 출발하였고, 개봉 첫 주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개봉 5일만에 100만명을 돌파했고, 개봉 16일차에 200만명을 돌파했다.

12월 6일 기준으로 237만명을 기록했다. 248만명에서 마무리 지었다.


8. 기타[편집]









9. 둘러보기[편집]


2019년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펼치기 · 접기 ]

주차제목국가관객수매출액
1주차
(12/31~01/06)
아쿠아맨미국4,544,371명39,845,206,829원
2주차
(01/07~01/13)
말모이대한민국1,184,919명10,067,025,631원
3주차
(01/14~01/20)
2,224,568명18,817,171,743원
4주차
(01/21~01/27)
극한직업대한민국3,139,563명27,528,787,550원
5주차
(01/28~02/03)
7,294,557명62,159,629,943원
6주차
(02/04~02/10)
12,838,863명111,351,109,972원
7주차
(02/11~02/17)
14,536,241명125,395,819,566원
8주차
(02/18~02/24)
사바하대한민국1,176,175명9,995,969,613원
9주차
(02/25~03/03)
2,148,501명17,856,009,134원
10주차
(03/04~03/10)
캡틴 마블미국3,036,626명27,208,883,210원
11주차
(03/11~03/17)
4,600,122명41,156,416,209원
12주차
(03/18~03/24)
대한민국1,536,397명13,578,806,849원
13주차
(03/25~03/31)
2,669,637명22,794,215,062원
14주차
(04/01~04/07)
샤잠!미국500,650명4,410,091,671원
15주차
(04/08~04/14)
생일대한민국761,774명6,401,312,431원
16주차
(04/15~04/21)
1,066,140명8,894,947,630원
17주차
(04/22~04/28)
어벤져스: 엔드게임미국6,308,048명54,355,659,450원
18주차
(04/29~05/05)
10,952,315명95,028,901,150원
19주차
(05/06~05/12)
12,799,532명111,768,526,730원
20주차
(05/13~05/19)
악인전대한민국1,480,292명13,131,127,780원
21주차
(05/20~05/26)
2,761,916명24,346,634,130원
22주차
(05/27~06/02)
기생충대한민국3,367,064명29,187,501,218원
23주차
(06/03~06/09)
7,022,118명60,343,405,745원
24주차
(06/10~06/16)
알라딘미국5,325,767명45,417,350,029원
25주차
(06/17~06/23)
6,799,704명58,253,286,779원
26주차
(06/24~06/30)
8,271,797명70,606,442,339원
27주차
(07/01~07/07)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미국4,522,056명39,009,505,110원
28주차
(07/08~07/14)
6,685,837명57,716,573,840원
29주차
(07/15~07/21)
라이온 킹미국2,275,556명20,600,603,360원
30주차
(07/22~07/28)
3,706,693명33,232,856,780원
31주차
(07/29~08/04)
엑시트대한민국2,960,177명24,716,098,165원
32주차
(08/05~08/11)
5,778,527명48,603,792,902원
33주차
(08/12~08/18)
분노의 질주: 홉스&쇼미국2,030,128명18,241,543,485원
34주차
(08/19~08/25)
2,965,558명26,489,229,803원
35주차
(08/26~09/01)
변신대한민국1,499,360명12,846,127,862원
36주차
(09/02~09/08)
유열의 음악앨범대한민국1,117,413명9,159,970,440원
37주차
(09/09~09/15)
나쁜 녀석들: 더 무비대한민국2,680,930명23,849,081,684원
38주차
(09/16~09/22)
3,906,769명34,253,154,024원
39주차
(09/23~09/29)
장사리: 잊혀진 영웅들대한민국689,707명5,499,840,740원
40주차
(09/30~10/06)
조커미국2,199,816명19,352,854,910원
41주차
(10/07~10/13)
3,847,422명33,491,311,420원
42주차
(10/14~10/20)
4,548,651명39,508,226,580원
43주차
(10/21~10/27)
82년생 김지영대한민국1,119,908명9,701,289,220원
44주차
(10/28~11/03)
2,498,957명20,556,406,590원
45주차
(11/04~11/10)
신의 한 수: 귀수편대한민국1,070,965명9,355,600,720원
46주차
(11/11~11/17)
블랙머니대한민국1,050,321명9,087,260,020원
47주차
(11/18~11/24)
겨울왕국 2미국4,437,734명38,024,959,800원
48주차
(11/25~12/01)
8,583,474명71,678,431,960원
49주차
(12/02~12/08)
10,698,101명89,382,447,120원
50주차
(12/09~12/15)
12,078,017명100,882,962,220원
51주차
(12/16~12/22)
백두산대한민국2,459,257명21,208,507,630원
52주차
(12/23~12/29)
5,742,654명48,537,650,400원
본 자료는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의 주간 박스오피스 집계 자료를 출처로 하고 있으며, 관객수와 매출액은 주마다 갱신된 총 수를 기준으로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13:09:14에 나무위키 블랙머니(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본명은 최민규, 류승수가 연기하였다.[2] 이 때 사용하는 폰이 당시 2011년이라는 것을 반영한 것인지 아이폰 4다.[3] ~ 2019/12/10 기준[4] 영화를 홍보 할 때 론스타 게이트라고 하지 않았지만, 배경 지식이 있는 관객들이 이 사건이 모티브가 된 것이라고 말하고 이게 퍼진 것으로 보인다. 감독이나 배급사 입장에서 이렇게 홍보되면 좋은 일이다.[5] 사실 대놓고 드러내지만 않았다고 할 뿐이지 론스타 게이트와 연관되어있는 기관들의 이름을 한끗 차로만 바꿔놨으므로 사실상 이 사건을 소재로 삼은 것이 맞다고 봐도 무방할 듯하다.[6] 정지영(영화 감독) 항목에서도 볼 수 있는 것 처럼, 이전에도 할리우드 영화의 직접 배급 반대를 위해 뱀까지 푸는 테러에 가담한 적도 있을 정도로 할리우드 영화에 적대적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