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븐즈로드

덤프버전 :



유희왕 러시 듀얼테마 일람
[ㅅ]
[ㅇ]
[ㅎ]
[ 각주 ]
● 기준은 러시 듀얼 카드 테마 분류에 포함되는 테마 중 공통 효과 시리즈 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테마입니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입니다.


세븐즈로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오티스
덱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관련 테마
푸른 눈 · 붉은 눈 · 데몬 · 블랙 매지션 · 로드 · 세븐즈로드 · 로드 매직 · 다크니스
서브 에이스에이스 몬스터
-푸른 눈 덱
푸른 눈의 백룡

붉은 눈 덱
붉은 눈의 흑룡

데몬 덱
데몬 소환

블랙 매지션 덱
블랙 매지션

세븐즈로드 & 다크니스 덱
세븐즈로드 매지션
에이스 진화체최종 몬스터
세븐즈로드 & 다크니스 덱
매지션 오브 다크세븐즈
-



메인 덱 세븐즈로드 몬스터
## 구분선
[[세븐즈로드 위즈|]][[세븐즈로드 메이지|]][[세븐즈로드 인챈터|]][[세븐즈로드 소서러|]][[세븐즈로드 워록|]][[세븐즈로드 위치|]][[세븐즈로드 매지션|]]
[ 세븐즈로드 매지션 소재 퓨전 몬스터 ]

## 구분선
[[마스터 오브 세븐즈로드|

"세븐즈로드 위치"
파일:마스터 오브 세븐즈로드 일러스트.jpg
마스터 오브 세븐즈로드
]][[마도 기사-세븐즈 파라딘|

"로드스타의 검사"
파일:마도 기사-세븐즈 파라딘 일러스트.png
마도 기사-세븐즈 파라딘
]][[마도 용기사-세븐즈기아스|

"연격룡 드라기아스"
파일:마도 용기사-세븐즈기아스 일러스트.png
마도 용기사-세븐즈기아스
]][[매지션 오브 다크세븐즈|

"다크니스 제로로그"
파일:매지션 오브 다크세븐즈 일러스트.png
매지션 오브 다크세븐즈
]][[마도 기사-세븐즈 채리어트|

"마장수 기어파르드"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마도 기사-세븐즈 채리어트
]]



세븐즈로드
한국판 명칭세븐즈로드
일본판 명칭セブンスロード
영어판 명칭Sevens Road (미발매)
속성종족관련 카테고리
어둠마법사족효과, 퓨전

1. 개요
2. 설명
3. 메인 덱 효과 몬스터
4. 퓨전 몬스터
5. 함정 카드
5.1. 세븐즈로드 프로텍션
6. 관련 카드
7. 미발매 카드
7.1. 세븐즈로드 부스트
7.2. 세븐즈로드 프레젠스
7.3. 세븐즈로드 포스



1. 개요[편집]


유희왕 러시 듀얼의 테마. 유희왕 SEVENS의 주인공 오도 유가가 사용하는 로드의 하위 테마이다.


2. 설명[편집]


파일:1806_20231117043013_img_1_EnEhi3jQiWrXndAl0WbAEd5b3h5CQQSU3U0ZNZqtvXGZyG8odYohzi6sDzuRFAk7.jpg
설정화[1]

레벨 7 이상의 어둠 속성 마법사족, 그 중에서도 유가의 메인 에이스인 세븐즈로드 매지션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테마. 효과 자체는 공격력 증감에 치중되어 있어, 타점 면에서 드래곤족한테 밀리는 마법사족의 단점을 보완해준다.

딱히 발동 조건에서부터 세븐즈로드 매지션만을 지정하진 않기 때문에, 블랙 매지션과 같은 다른 레벨 7 이상 어둠 속성 마법사족과 함께 쓰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로드 매직과 달리 이 테마는 세븐즈로드 매지션이 있을 경우 추가 효과가 붙으므로 100% 활용하기 위해선 세븐즈로드 매지션이 반드시 필요하다.

설정상 세븐즈로드 시리즈는 고하 코퍼레이션의 개발부였던 오티스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카드군으로, 소유자를 왕의 옥좌로 인도하는 로드(길)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카드 자체가 굉장히 희귀한 것인지 작중 이 테마를 소지한 듀얼리스트는 오도 유가와 오티스뿐이다. 오티스는 이를 왕의 자질이라고 표현했다.

60화에서는 구루구루가 찾아낸 세븐즈의 서[2]라는 책을 통해 세븐즈로드의 기원으로 추정되는 떡밥이 나왔다. 책의 내용은 한 젊은 마술사가 혼란에 빠진 세계를 구하기 위해 어느 노인의 인도를 따라 '세븐의 힘'을 가진 '세븐즈'를 찾는다는 내용. 그리고 '세븐즈로드'는 모든 세븐즈가 모였을 때 비로소 열리는 평온으로 이어지는 길, 그 이정표라고 나와 있었다. 그런데 책은 중간 부분이 뭉텅이로 찢겨나간 상태였고, 결말에서는 어째서인지 7명 중 여섯이 전멸하고 처음 나온 젊은 마술사 혼자만 살아남은 그림으로 끝나 있었다.

86화에서는 추가로 해당 책이 한 권이 아니라 전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를 고하 유진이 앞장서서 회수했고, 88화에서는 모든 회수분이 모여 찢겨나간 부분의 내용이 판명되었다.

세븐즈들은 어둠에서 나와, 대지를 개척하고, 바닷물을 헤치고, 화염을 뚫고, 하늘을 바람에 떨리게 하며, 별빛을 실마리 삼아[3] 최후에 혼란의 근원이 있다는 달에 도달했다. 하지만 젊은 마술사를 제외한 6명의 마술사들은 혼란의 근원과 싸우다 쓰러졌고, 마지막으로 남은 마술사는 자신들이 싸우고 있는 혼란의 근원이 다름아닌 자신들을 인도한 노인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노인은 한 번 혼란해진 세상은 파괴할 수밖에 없다며, 너희들이 열어젖힌 6속성의 길에 더해 마지막으로 이 달을 파괴함으로써 세븐즈로드를 완성시키라고 고한다. 이에 결국 젊은 마술사는 눈물을 흘리며 달을 파괴했다. 이것이 소실되었던 책의 내용이었다. 91화에서 오티스는 이 책으로부터 영감을 받았음을 인정하고, 책을 따라 새로운 미래를 위해 듀얼을 한 번 소멸시키기로 결심했다 밝혔다. 이 때문에 SEVENS 작중에 등장하는 메인 덱 세븐즈로드 몬스터는 7장이 끝이었던 것.[4]

최종전에서는 오티스도 푸른 불꽃을 뿜는 세븐즈로드 시리즈를 사용한다. 이 중 위치와 매지션은 일러스트까지 푸른 불꽃으로 변했다.

방영 종료 후에는 특전으로 강한 소년 세븐즈로드가 등장하면서 카드 풀이 늘어났다.

시크릿 에이스 팩에서 매지션과 위치, 워록이 수록된 것을 보면 공식에서는 단순히 유가가 쓰는 테마가 아니라 유가의 에이스 테마로 보고 있는 듯하다.[5]


3. 메인 덱 효과 몬스터[편집]



3.1. 레벨 7 강한 소년 세븐즈로드[편집]




3.2. 레벨 7 세븐즈로드 매지션[편집]




3.3. 레벨 6 세븐즈로드 위치[편집]




3.4. 레벨 5 세븐즈로드 워록[편집]




3.5. 레벨 4 세븐즈로드 소서러[편집]




3.6. 레벨 3 세븐즈로드 인챈터[편집]




3.7. 레벨 2 세븐즈로드 메이지[편집]




3.8. 레벨 1 세븐즈로드 위즈[편집]




4. 퓨전 몬스터[편집]



4.1. 마스터 오브 세븐즈로드[편집]




5. 함정 카드[편집]



5.1. 세븐즈로드 프로텍션[편집]


파일:セブンスロード・プロテクション.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세븐즈로드 프로텍션,
일어판명칭=セブンスロード・プロテクション,
영어판명칭=Sevens Road Protecti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마법사족 / 어둠 속성)는 이 턴에\, 상대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자신 묘지에 "세븐즈로드 매지션"이 있을 경우\, 상대가 일반 소환한 그 몬스터를 앞면 수비 표시로 할 수 있다.)]

유희왕 SEVENS 85화에서 오도 유가키리시마 로아와의 듀얼 중 사용.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メガロードパックRD/MRP1-JP021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6. 관련 카드[편집]




6.1. 마도 기사-세븐즈 파라딘[편집]


세븐즈로드 매지션과 로드스타의 검사를 소재로 하는 퓨전 몬스터.


6.2. 마도 용기사-세븐즈 기아스[편집]


세븐즈로드 매지션과 연격룡 드라기아스를 소재로 하는 퓨전 몬스터.


6.3. 매지션 오브 다크세븐즈[편집]


세븐즈로드 매지션과 다크니스 제로로그를 소재로 하는 퓨전 몬스터.


6.4. 트랜잠로드 라이나크[편집]


세븐즈로드 매지션과 트랜잠 라이나크를 소재로 하는 퓨전 몬스터.


6.5. 마도 기사-세븐즈 채리어트[편집]


세븐즈로드 매지션과 마장수 기어파르드를 소재로 하는 퓨전 몬스터.


6.6. 로드 매직 [편집]


세븐즈로드 매지션이 그려지 있는 마법 카드들이며, 세븐즈로드 매지션이 있으면 발동할 수 있다.


7. 미발매 카드[편집]



7.1. 세븐즈로드 부스트[편집]


파일:SevensRoadBoost-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세븐즈로드 부스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セブンスロード・ブースト,
영어판명칭=Sevens Road Boos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 1장을 고른다. 이 턴\, 그 몬스터는 상대의 함정 카드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그 공격력은 [자신 묘지의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의 수] × 200 올린다.)]


7.2. 세븐즈로드 프레젠스[편집]


파일:300px-SevensRoadPresence-JP-Anime-GR.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세븐즈로드 프레젠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セブンスロード・プレゼンス,
영어판명칭=Sevens Road Presenc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6 이하)가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의 "세븐즈로드 매지션"이 있을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주인의 패로 되돌릴 수 있다.)]


7.3. 세븐즈로드 포스[편집]


파일:300px-SevensRoadForce-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세븐즈로드 포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セブンスロード・フォース,
영어판명칭=Sevens Road Forc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 자신 묘지에 몬스터(레벨 7)가 10장 이상인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세븐즈로드 매지션"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패로 되돌린다.)]

작중에선 유가가 루크와의 2차전에서 사용한 카드. 극악의 발동 조건과 맥시멈 몬스터조차도 치워버리는 강력한 효과가 특징.

유가는 이 카드를 사용하기 위해 덱에 레벨 7 몬스터를 11장이나 투입했으며, 때문에 첫 패부터 레벨 7이 잔뜩 나오는 등 덱 밸런스에 문제가 생길 정도였다. 결국 연격룡 드라기아스의 직접 공격에 발동해서 역전극을 이루어내나 싶었지만, 드래곤 인카운트로 다시 튀어나온 드라기아스에 의해 패배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3:49:02에 나무위키 세븐즈로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컨셉 아트의 인물은 왼쪽에서부터 각각 세븐즈로드 매지션, 세븐즈로드 위치.[2] 표지에는 SEVENS라고만 적혀 있다.[3] 유희왕의 6속성을 의미하는 내용.[4] 퓨전 소환은 새로운 종족을 만드는 등 실질적으로 카드 창조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니 마스터 오브 세븐즈로드는 이 이야기에서 예외가 된다.[5] 유가가 세븐즈로드만 고집하는게 아니라 속성과 테마를 가리지 않는 잡덱이다보니 그런 것. 그래도 세븐즈로드는 결정타를 날릴 때뿐만 아니라 여러 상황에서 자주 활용하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