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자)아이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아이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이들(동음이의어) 문서
아이들(동음이의어)번 문단을
아이들(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여자)아이들 로고 화이트.svg



[ 전 멤버 ]

[ 한국 음반 ]
파일:I am.jpg
파일:한(一).jpg
파일:I made.jpg
파일:Uh-Oh.jpg

미니 1집

2018. 05. 02.

디지털 싱글

2018. 08. 14.

미니 2집

2019. 02. 26.

디지털 싱글

2019. 06. 26.
파일:I trust.jpg
파일:i'M THE TREND.jpg
파일:DUMDi DUMDi.jpg
파일:I burn.jpg

미니 3집

2020. 04. 06.

디지털 싱글

2020. 07. 07.

싱글 1집

2020. 08. 03.

미니 4집

2021. 01. 11.
파일:화(火花).jpg
파일:I NEVER DIE.jpg
파일:I love.jpg
파일:I feel.jpg

디지털 싱글

2021. 01. 27.

정규 1집

2022. 03. 14.

미니 5집

2022. 10. 17.

미니 6집

2023. 05. 15.
[ 해외 음반 ]
일본 음반
파일:latata_japan_jacket.jpg
파일:gidleohmygodC.jpg

미니 1집

2019. 07. 31.

미니 2집

2020. 08. 26.
미국 음반
파일:latata_jp_jacket_typeB.jpg
파일:I do.jpg
파일:heat gidle.jpg

디지털 싱글

2020. 05. 15.

디지털 싱글

2023. 07. 14.

스페셜 EP 1집

2023. 10. 06.
[ 참여 음반 ]
파일:cubeone.jpg
파일:KDA_AbumCover1.jpg
파일:아이들달려.jpg
파일:그녀의 사생활 OST Part 1.jpg

UNITED CUBE

2018. 06. 17.

K/DA

2018. 11. 04.

런닝맨: 풀룰루의 역습 OST

2018. 11. 19.

그녀의 사생활 OST

2019. 04. 11.
파일:191025퀸덤파이널컴백싱글.jpg
파일:THEBADDEST.jpg
파일:MORE ALBUM.jpg
파일:ALLOUT.jpg

컴백전쟁: 퀸덤

2019. 04. 11.

ALL OUT 선공개

2020. 08. 29.

ALL OUT 선공개

2020. 08. 29.

K/DA

2020. 11. 06.
파일:Last Dance cover image.jpg

UNIVERSE

2021. 04. 29.


(여자)아이들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컴백전쟁: 퀸덤 로고.png

[ 노래 목록 ]

[ 1차 경연: 히트곡 경연 ]

트랙아티스트곡명작사작곡편곡링크
01마마무데칼코마니김도훈(RBW), 솔라,
문별, 화사
김도훈(RBW)밍키(RBW)#
02박봄YOU AND ITEDDYMozaix, face to face
03오마이걸비밀정원서지음Steven Lee, Mayo Wakisaka, Sean AlexanderSteven Lee
04(여자)아이들LATATA소연소연, 빅싼초쥰, 소연
05러블리즈Ah-Choo서지음1PieceVoradory
06AOA짧은 치마용감한 형제, 차쿤용감한 형제, 코끼리왕국, 차쿤용감한 형제, 코끼리왕국, 이정민, 서지은

[ 2차 경연: 커버곡 경연 ]

트랙아티스트곡명작사작곡편곡링크
01마마무AOA - Good Luck한성호, 장연정, InnoMator, 문별, 화사Matthew Tishier,
Aaron Benward,
Felicia Barton
김도훈(RBW)
이후상(RBW)
#
02AOA마마무 - 너나 해김도훈(RBW),
박우상(RBW), 지민
김도훈(RBW), 박우상(RBW)박수석, 서지은
03박봄(여자)아이들 - 한(一)소연, 치타소연, 빅싼초빅싼초, Goodvbes
04오마이걸러블리즈 - Destiny
(나의 지구)
전간디, 미미1PieceDJ KAESAMA &
M.any.P & Indy,
이정철
05(여자)아이들2NE1 - FireTEDDYTEDDY쥰, 소연
06러블리즈브라운아이드걸스 - Sixth Sense김이나이민수BLSSD

[ 3차 경연: 팬도라의 상자 ]

트랙아티스트곡명작사작곡편곡링크
01(여자)아이들싫다고 말해 (Nightmare Version)소연소연소연, 쥰#
02마마무I Miss You김도훈, 황유빈, 문별김도훈김도훈, 이후상
03AOA질투 나요 Baby
+T4SA+Puss
블랙아이드필승블랙아이드필승박수석
Sam Lewis서지은
04오마이걸Twilight서지음, 미미Command Freaks, Onestar (MonoTree)DJ KAESAMA @ M.any.P & Indy, Command Freaks, Krysta Youngs
05러블리즈Cameo (Musical Ver.)심은지, 변방의 킥소리최팽, 빈트(VINT)
06박봄눈, 코, 입TEDDY, 태양TEDDY, DEE.P, Rebecca JohnsonDALGUI

[ FINAL 경연 ]

트랙아티스트곡명작사작곡편곡링크
01AOASorry한성호, 지민, christopherSebastian Thott, Didrk Thott, Brooke WilliamsSebastian Thott, 박수석, 서지은#
02러블리즈MoonlightFUXXY, VINCENZO, Any Masingga, Anna TimgrenVINCENZO, Any Masingga
03박봄되돌릴 수 없는 돌아갈 수 없는
돌아갈 곳 없는
용감한형제, 차쿤Mozaix, 용감한형제, 차쿤Mozaix, Alawn
04오마이걸게릴라 (Guerilla)서지음, 미미STEVEN LEE, Joe Lawrence, Caroline GustavssonSTEVEN LEE, Joe Lawrence
05(여자)아이들LION소연소연, 빅싼초빅싼초, 소연
06마마무우린 결국 다시 만날 운명이었지 (Destiny)김도훈, 박우상김도훈, 박우상김도훈, 박우상




파일:CJENM_Visionary.jpg역대 CJ ENM 선정
비저너리
||







{{{#F1A5C1 6th Mini Album
파일:I feel 로고.svg}}}
파일:downloadfile_20230524223344.jpg
미연 · 슈화
민니 · 소연 · 우기

파일:(여자)아이들 로고 화이트.svg(여자)아이들
(G)I-DLE
||
데뷔일2018년 5월 2일
(데뷔일로부터 2233일, 6주년)
데뷔 음반
EP 1집
I am

장르
댄스, , 힙합, , 메탈, EDM
리더
소연
소속사
큐브엔터테인먼트
유통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카카오엔터테인먼트
파일:일본 국기.svg

유니버설 뮤직 재팬
파일:미국 국기.svg

88rising
팬덤
네버랜드
[[네버랜드((여자)아이들)#"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no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gray;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1900, #7e00bf); font-size: .85em; color: #fff;"
네버랜드}}}]][[네버랜드((여자)아이들)#s-"display: inline; display: 문단=no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gray;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1900, #7e00bf); font-size: .85em; color: #fff;"
네버랜드}}}]]
공식 색
NEON RED (#e11900)

CHIC VIOLET (#7e00bf)
응원봉
네버봉 ver.2
공식
사이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큐브엔터테인먼트 심볼.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gidle_jp_logo.png
링크

1. 개요
2. 멤버
3. 특징
3.1. 그룹명
3.2. 콘셉트
3.3. 비주얼
3.4. 실력
3.5. 자체 프로듀싱
4. 음반
5. 뮤직비디오
6. 활동
7. 수상
8. 팬덤
9. 여담
10. 논란 및 사건 사고



1. 개요[편집]


(하나, 둘) 아이~! 안녕하세요 아이들입니다!


(하나, 둘) 아이~! 지금까지 아이들이었습니다!

2018년 5월 2일에 데뷔한 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의 5인조 다국적 걸그룹.[1]

인사 문구에서도 알 수 있듯 (여자)는 거의 생략되는 편이다. 공식 표기는 "(여자)아이들"이지만 부를 때는 "아이들"로 불리고 있다.

2. 멤버[편집]


파일:(여자)아이들 로고 화이트.svg
파일:I_feel_미연1.jpg
파일:i_feel_민니3.jpg
파일:I_feel_소연2.jpg
파일:I_feel_우기1.jpg
파일:I_feel_슈화2.jpg
미연민니소연우기슈화
1997. 01. 31. (27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메인보컬
1997. 10. 23. (26세)


파일:태국 국기.svg



메인보컬
1998. 08. 26. (25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리더
메인래퍼
1999. 09. 23. (24세)


파일:중국 국기.svg



메인댄서[2]
서브보컬
2000. 01. 06. (24세)


파일:대만 국기.svg



서브보컬

2.1. 멤버 간 케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여자)아이들/멤버 간 케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전 멤버[편집]



이름생년월일포지션국적탈퇴일
수진1998. 03. 09. (26세)메인댄서, 서브보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08. 14.


3. 특징[편집]


2018년 5월 2일 미니앨범 <I am>으로 데뷔하였으며, 포미닛, CLC의 직계 후배격인 걸그룹으로[3] 큐브엔터테인먼트에서 CLC 이후 3년 만에 내놓은 걸그룹이다.

데뷔 초부터 흔치 않은 컨셉으로 인기몰이를 하며 데뷔 후 활동 20일 만에 음악 방송 1위, 음원 차트 상위권, 신인상 7관왕을 차지할 만큼 괴물 신인이었고, 라이엇게임즈의 이벤트성 그룹 K/DA 콜라보 활동 등을 통해 탄탄한 해외 팬덤을 가지고 있다. 또한 퀸덤에서 보여준 막내 걸그룹답지 않은 존재감과 무대 퍼포먼스, 뛰어난 실력을 기점으로 국내 팬덤 규모 또한 크게 성장하게 되면서 대세 걸그룹 중 한 팀으로 자리잡았다.[4]

2022년, 5인조로 재편 이후 TOMBOY, Nxde, 퀸카로 3연속 흥행에 성공하며 계속해서 성장세를 누리고 있다.

3.1. 그룹명[편집]


그룹명인 (여자)아이들은 각각의 개인을 '아이(I)'로 놓고 여기에 한국어로 복수를 의미하는 복수 표시 접미사 '-들'을 붙여 '다섯명의 개성이 모인 팀'이라는 뜻이다.[5]

데뷔조 시절 다른 팀명 후보가 2개 있었다. 하나는 '퍼플로즈'[6] 이고, 다른 하나는 '애니컬러'로, 당시 멤버별 예명으로 미연은 초록악어 (또는 초록참치), 민니는 분홍생쥐, 소연은 노란 물고기, 우기는 파란 하늘, 슈화는 하얀 나비였다. 아이돌등판에서 밝히길 이보다 더 촌스러운 팀명이 있었다고 하며, 민니는 그 팀명을 듣고 펑펑 울었다고 한다.

그러다 그룹 데뷔 전 소연의 솔로 싱글 '아이들 쏭'을 의식한 큐브엔터테인먼트 이사가 팀명으로 아이들을 제의했다고 한다. 하지만 '(여자)'가 붙은 이유는 본인들도 모른다고 리더 소연이 라디오 스타에서 밝힌 바가 있다. 기존에 (남자)아이들이 있었나?하고 의문을 가지기도 했었다고 밝혔다. 이에 팬들은 서치용[7]으로 붙이는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또 다른 유력한 썰로는 90년대 문화 대통령 서태지와 '아이들'을 의식한 바라고 한다. 남성으로만 이뤄진(양현석, 이주노) 90년대의 아이들과 대비되어 여성으로만 이뤄진 (여자)아이들이 탄생한 거라고.

팀의 애칭은 기들로, 영문 철자인 GIDLE을 한국식 발음으로 읽은 것이다.

아이돌등판 - GIDLE NEVER DIE!!! 이제 아이들에서 (여자)는 빼줘에서 '(여자) 아이들'이 아닌 '아이들'로 불러달라고 언급한 바가 있다.

3.2. 콘셉트[편집]


리더이자 프로듀서인 소연을 바탕으로 독창적이고 개성있는 음악성을 가졌다. 가장 큰 특징은 앨범마다 뚜렷한 컨셉과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있고, 이것을 곡, 나아가서는 앨범 전체에 잘 녹여내어 표현해낸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그룹이 여러 컨셉을 시도하되, 기본적인 메인테마를 정해두고 가지를 뻗어나가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과는 다르게 활동을 할 때마다 하나의 새로운 줄기를 세워버리는 아이들의 행보는 상당히 이례적인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앨범의 전 곡을 멤버들이 작사 작곡하는 자체 제작 시스템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Oh my god'은 천사와 악마의 이미지의 교차, '덤디덤디'는 뜨거운 여름날의 축제분위기, '화(火花)'는 서정적인 동양미를 표현을 하는 등 뿌리 자체가 다른 여러가지 컨셉을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접근해봄으로서 음악적 스펙트럼을 끊임없이 확장하는 것이 특징.

정규 1집부터는 본격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테마를 앨범에 뚜렷하게 나타내었고, 그 결과 "너가 나를 tomboy(말괄량이, 남자처럼 행동하는 여자)라고 욕한다면 차라리 내가 자처해서 tomboy가 되겠다."라는 메시지를 담은 'TOMBOY', "내가 아닌 모습으로 사랑을 받을바에는 나의 모습으로 미움을 받겠다."라는 메시지를 담은 'Nxde'등의 곡이 탄생하게 되었다.

또한 앨범에 메시지 하나만을 담아내는 것이 아닌, 메시지를 바탕으로 설정한 컨셉과 테마를 뮤직비디오와 앨범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개성있는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점이 가장 잘 드러난 예시가 바로 미니 5집의 타이틀곡 'Nxde'이다. "내가 아닌 모습으로 사랑을 받을 바에는 나의 모습으로 미움을 받겠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누드'라는 단어의 어감이 주는 선입견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바탕으로 누드는 야하다는 편견을 비판함과 동시에 물랑루즈와 전시회 등을 배경으로 한 뮤직비디오의 스토리로 확장시키는 등 음악성과 독창성을 동시에 잡는 것에 성공했다.

또한 타이틀곡의 대부분이 사랑타령과는 거리가 멀다. 필모그래피들을 보면 'Uh-Oh' 이후 부터는 사랑을 주제로한 타이틀곡이 없다. 다만 가사에 사랑 따위 필요없다는 식의 언급은 종종 되고 있다.

3.3. 비주얼[편집]



3.4. 실력[편집]


실력 좋기로 유명한 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답게 멤버들의 역량이 모두 뛰어난 편이다. 첫 데뷔 앨범을 제외한 발매 앨범의 전 수록곡을 멤버들이 작사, 작곡하고 있으며, 멤버들의 콘셉 소화력 또한 뛰어나 데뷔 후 라틴풍, 탱고풍, 힙합, R&B, 메탈 등 다양한 컨셉들을 (여자)아이들만의 느낌으로 잘 소화해낸다. 오죽하면 팬들이 (여자)아이들이 장르라는 말을 했을 정도.

- 보컬 -
걸그룹 메인보컬에 요구되는 음색, 성량, 테크닉, 음역대, 라이브 안정성 등 모든 것들이 수준급이며, 청량한 미성으로 곡의 중심을 잡아주고 음악의 퀄리티를 올려주는 보컬리스트이자, 가장 라이브가 안정적인 멤버이며, 가성과 진성을 오가며 무리 없이 시원시원한 고음을 보여준다. [11]
파워풀한 음색의 미연과 달리 몽환적이고 독특한 음색으로 곡을 살려주는 감성 보컬이자, 곡을 처음부터 끝까지 리드해주는 역할을 맡고 있다. 외국인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발음이 매우 정확하고[12] 음역대도 넓어서 소화하기 힘든 저음역대에서부터 가장 힘든 고음파트까지 가뿐히 소화하며 멤버들과의 고음 대결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멤버들 가운데 가장 낮고 차분하며 허스키한 음색의 소유자로 발음도 민니와 같이 정확한 편이다. 낮은 음역대를 안정적이게 자유자재로 소화할 뿐만 아니라 고음도 곧잘 소화해낸다. 'A page'라는 솔로 앨범도 냈었다. 이런 허스키한 음색을 이용해 랩을 할 때도 돋보이며, 이 때문에 가끔 사람들이 서브래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
데뷔 초에는 다소 어눌한 한국어 발음과 부족한 실력 때문에 파트가 적었지만 좋아지는 발음과 발전되는 보컬 및 댄스 라이브의 안정성으로 파트 분량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임팩트 있는, 즉 하이라이트를 자주 부른다. 또한 음역대가 상당히 높으며 수록곡과 타이틀곡에서 고음을 많이 담당한다. [13]

- 랩 -
동세대의 걸그룹 래퍼 중에서도 최상위권이라고 평가받는 굴지의 아이돌 래퍼로 언프리티 랩스타에서도 큰 호평을 받았으며, 수준급의 딕션과 라임 센스를 겸비했다. 보컬 역량도 좋은 편이라 일부 곡에서는 서브보컬 급의 파트를 맡기도 한다.


3.5. 자체 프로듀싱[편집]


현 시점 (여자)아이들의 가장 독보적인 특징이자 색깔. (여자)아이들은 앨범의 모든 곡을 멤버들이 작사, 작곡해 채워오고 있으며 [14], 앨범 컨셉 및 제목, 스토리텔링을 비롯해 컴백 계획, 뮤직비디오 및 컨셉포토, 멤버들의 비주얼과 심지어 굿즈에 이르기까지 권한을 행사하고 있는 팀의 총괄 프로듀서 소연이 리더로 있는 팀이다. 멤버들의 작곡 비중과 퀄리티는 여자아이돌로서는 전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수준이며, 멤버가 총괄 프로듀서로 팀의 모든 방향에 결정적 영향력을 행사해 성공시킨 사례는 역대 한국 아이돌 전체로 시야를 넓혀도 G-DRAGON 정도밖에 없을 만큼 매우 드문 사례로 꼽힌다.

재밌는 점은 이러한 시스템이 처음부터 계획된 일은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데뷔 준비 당시 (여자)아이들은 혼란했던 소속사의 상황[15]탓에 프로듀싱이 엉망이었다. [16] 소속사가 상식 밖의 컨셉과 그룹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곡들만 가져오자, 연습생 시절부터 작곡을 할 줄 알았던 소연이 내가 한 번 써볼까 싶어 곡을 썼다. 그리고 이 곡이 타이틀 곡을 결정하는 블라인드 테스트에서 이겨 버렸고, 그 데뷔곡이 바로 LATATA였다.소연이 말하는 라타타 작곡 과정 그룹의 운명을 건 데뷔 타이틀 곡을 맡게 된 소연은 당시 19세에 불과한 연습생이었으며 LATATA조차도 회사 내부에서 상당한 호불호가 갈렸다고 한다.[17] 이런 상황에 멤버들끼리 "데뷔가 끝이 아니니 3년간 꾸준히만 해보자", "목표인 차트인 못해도 실망하지 말자"라며 큰 기대 없이 데뷔했으나, LATATA는 멜론 실시간차트 11위, 주간차트 15위, 데뷔 20일 만에 음방 1위라는 기적에 가까운 대박을 터트렸다.

이렇듯 결과가 좋자 소연은 계속해서 그룹 방향 설정과 작곡을 이어 나갈 수 있었고, 후속곡들도 준수한 성적을 내자 회사 내에서도 신뢰를 받기 시작했다[18]. 그리고 이러한 소연의 행보는 다른 멤버들에게도 영향을 줬다. 데뷔 앨범 'I AM'은 타이틀곡 1곡만 소연의 작곡이었지만, 2번째 미니앨범 'I Made'부터는 연습생 때 작곡을 배웠던 민니도 수록곡을 넣기 시작했고 앨범 전곡을 소연과 민니의 자체 제작 곡으로 채워 넣었다. 이후 여기에 자극을 받은 우기까지 작사 작곡 공부를 시작하면서 (여자)아이들은 총 3명의 멤버가 곡을 만들어내는 그룹이 됐다. 또, 사실상 총괄 감독의 역할을 하는 소연이 상급자가 아닌 멤버로 함께 활동하는 만큼 그룹 활동이나 컨셉에 멤버 전원이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현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실제로 소연은 앨범 구상 과정에서 반드시 멤버들의 의견을 묻고 반영하며, 때로는 멤버들의 투표를 받기도 하는 등 적극적으로 소통한다.

이미 언급됐듯 (여자)아이들의 대표적인 작곡가이자 총괄 프로듀서, 아이들의 모든 타이틀곡 및 상당수의 수록곡을 전부 작사/작곡했다. 데뷔 20일 만에 음악 방송 1위로 이끌어준 곡 LATATA를 19살의 나이에 거의 단독으로 작사/작곡/프로듀싱한 것을 시작으로 전반적인 컨셉과 의상 선정에도 관여하기 시작하며 아이들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절대적인 공헌을 했다. 이후에도 한(一), Senorita, Uh-Oh, Oh my god, 덤디덤디, 화(火花), TOMBOY 등 자가복제가 아닌 매번 다르면서도 독보적인 컨셉의 곡을 작사/작곡/편곡하며 천재적인 재능을 입증해냈다. 또한 소연이 쓴 곡을 무조건 타이틀곡으로 쓰는 것이 아닌, 수준급 작곡가들의 외주제작 곡들과 블라인드 경쟁을 통해 선정된 곡이라는 점에서 더욱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듣자마자 민니가 쓴 곡임을 알아챌 수 있을 정도로 유니크하고 개성 넘치는 곡을 많이 작사/작곡한다. 두 번째 미니앨범에 수록된 곡 <Blow Your Mind>를 시작으로, 일본 앨범에 자작곡 For YouTung-Tung (Empty)을 수록하였는데 팬들뿐만 아니라 멤버들도 한국어 버전 수록을 기대할 정도로 반응이 좋았다.[19] 또한 4번째 미니앨범 I burn에서는 작곡 기량이 절정에 달해 민니가 작곡한 수록곡인 MOON, DAHLIA가 해당 앨범에서, 나아가서는 (여자)아이들의 모든 수록곡들 중에서 최고로 꼽히기도 한다. 이후 첫번째 정규앨범인 I NEVER DIE에서도 수록곡인 ALREADYESCAPE을, 5번째 미니앨범인 I love에서 수록곡인 Change조각품을 작사, 작곡 하였다. 통상적인 아이돌의 곡들과 다르게 독특하면서 동시에 중독성 있는 곡을 쓰는데 탁월한 재능을 갖고 있으며, (여자)아이들이 수록곡도 믿고 들을 수 있는 그룹으로 자리잡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데뷔 후 소연민니의 모습을 보고 곡 제작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래서 작곡을 배운 기간은 소연과 민니에 비하면 짧지만 2020년 민니와 함께 i'M THE TREND를 작곡하며 재능을 보여줬다. 런웨이 1편과 3편에서 작사 또한 곧잘 하는 모습을 보여주더니, 4번째 미니앨범 I burn에서는 수록곡 LOST를 작사/작곡하면서 본격적으로 앨범에 본인이 제작한 노래를 수록하기 시작했다. 이후 본인의 솔로 데뷔곡 Giant 또한 작사/작곡에 참여했고, 첫번째 정규앨범 I NEVER DIE에서 수록곡인 POLAROIDLIAR를 작사, 작곡했다. 5번째 미니앨범인 I love에서도 수록곡인 ResetDARK (X-file)을 작곡 하는 등 이제는 완전히 작곡가로 자리 잡은 모습이다.[20] 거칠고 날 것의 느낌의 곡과 감성적인 곡을 두로 쓰는 편이며, 작곡 경험이 쌓여감에 따라 갈수록 기량이 올라가고 있다는 평을 받는다.

4. 음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여자)아이들/음반 목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여자)아이들 로고 화이트.svg
{{{+1 'Discography'}}}
발매일앨범 아트음반 종류음반명타이틀 곡비고
2018년
5월 2일
파일:Iam.jpg
미니 1집I amLATATA[21]
8월 14일
파일:idlehann.jpg
디지털 싱글한(一)한(一)
2019년
2월 26일
파일:gidleimade.jpg
미니 2집I madeSenorita
6월 26일
파일:idleuhoh.jpg
디지털 싱글Uh-OhUh-Oh
2020년
4월 6일
파일:gidletirust.jpg
미니 3집I trustOh my god
7월 7일
파일:gidlei'MTHETREND.jpg
디지털 싱글i'M THE TREND[22]
8월 3일
파일:20200803_DUMDiDUMDi_Official_cover.jpg
싱글 1집DUMDi DUMDiDUMDi DUMDi
2021년
1월 11일
파일:화(HWAA).jpg
미니 4집I burn화(火花)
1월 27일
파일:화(火花).jpg
디지털 싱글화(火花)[23]
2022년
3월 14일
파일:i_never_die_albumcover.jpg
정규 1집I NEVER DIETOMBOY[24]
10월 17일
파일:I love.jpg
미니 5집I loveNxde
2023년
5월 15일
파일:I feel.jpg
미니 6집I feel퀸카 (Queencard)


5. 뮤직비디오[편집]


파일:(여자)아이들 로고 화이트.svg
(여자)아이들 뮤직비디오 Youtube 조회수[25]
(2023년 8월 25일 00시 00분 기준)

(여자)아이들 실시간 뮤직비디오 조회수 추이
곡명타 채널 조회수 공식 계정
조회수
합산 조회수 게시일앨범 종류앨범 제목
LATATA
1theK

184,445,283
30,965,843215,411,1262018년 5월 2일미니 1집I am
한(一)
1theK

35,697,956
144,528,183180,226,1392018년 8월 14일디지털 싱글한(一)
Blow Your
Mind
M2

4,815,596
4,815,5962019년 2월 19일미니 2집I made
Senorita
1theK

59,376,305
72,785,479132,161,7842019년 2월 26일미니 2집I made
Help Me
StoneMusicEntertainment

28,271,975
28,271,9752019년 4월 11일드라마 OST그녀의
사생활
OST Part 1
Uh-Oh
1theK

26,464,476
71,436,83797,901,3132019년 6월 26일디지털 싱글Uh-Oh
LION128,020,274128,020,2742019년 11월 3일FINAL
컴백 싱글
퀸덤 FINAL
컴백 싱글
Oh my god205,062,506205,062,5062020년 4월 6일미니 3집I trust
i'M THE
TREND
6,315,7316,315,7312020년 7월 7일디지털 싱글i'M THE
TREND
DUMDi
DUMDi
91,411,73091,411,7302020년 8월 3일싱글 1집DUMDi
DUMDi
화(火花)120,156,088120,156,0882021년 1월 11일미니 4집I burn
Giant12,484,19512,484,1952021년 5월 13일우기
디지털 싱글
A Page
Bonnie
& Clyde
19,155,48819,155,4882021년 5월 21일우기
디지털 싱글
A Page
삠삠18,582,51218,582,5122021년 7월 5일소연 미니 1집Windy
Last Dance
UNIVERSE_OFFICIAL

1,444,573
1,444,5732021년 12월 5일디지털 싱글[26]Last Dance
TOMBOY263,523,672263,523,6722022년 3월 14일정규 1집I NEVER DIE
Drive18,283,39718,283,3972022년 4월 27일미연 미니 1집MY
Nxde241,874,384241,874,3842022년 10월 17일미니 5집I love
Allergy83,495,35583,495,3552023년 5월 10일미니 6집I feel
퀸카 (Queencard211,049,897211,049,8972023년 5월 15일미니 6집I feel
I DO
88rising

17,203,805
17,203,8052023년 7월 14일디지털 싱글I DO

6. 활동[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여자)아이들/활동#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 V LIV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여자)아이들/V LIVE#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YouTub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여자)아이들/유튜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음악 방송 직캠[편집]






6.4. 공연 및 행사[편집]






7. 수상[편집]





8. 팬덤[편집]





8.1. 응원법[편집]





9. 여담[편집]








파일:아이들단체싸인.jpg







































10.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1] 한국 2명, 태국인 1명, 중국인 1명, 대만인 1명이다. 데뷔 당시에는 6인조였으나, 2021년 8월 14일 수진이 탈퇴하면서 5인조로 재편되었다.[2] 데뷔 당시 포지션은 리드댄서였으나 서수진의 탈퇴 후에는 메인댄서가 되었다.[3] 다만 멤버들의 평균 연령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며, 연령대가 겹치는 멤버들도 여럿 있다. 심지어 CLC의 막내 권은빈과 (여자)아이들의 막내 슈화는 생년월일이 같다.[4] 걸그룹 중 4번째로 초동 10만 장 돌파, 아이튠즈 61개국 1위, 인스타 팔로워 수 여자 아이돌 6위, 2018년에 받은 다수의 신인상, K-POP 걸그룹 최초 中포보스와 인터뷰, 중국 최대 음원 사이트 QQ뮤직 K팝 차트에서 2주 연속 1위 등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5] 소연이 라디오스타에 나와 말한 바에 따르면 원래 소속사에서 영단어 idle(게으른, 나태한)의 의미로 붙이려던 걸 소연이 새 의미를 만들어 제안한 것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팀 로고 컨셉도 전소연이 제안했다.[6] 전소연이 공모전에 제출했던 그룹명으로, 현 아이들의 상징색이 된 것으로 보인다. 보라색, 빨간색이 상징색이기 때문.[7] 태양의 경우처럼 원래 있는 명사로 팀명을 짓게 되면 그룹의 유명세와 별개로 검색 결과에서 밀려나는 경우가 많아 검색에 용이하도록 검색 시에만 붙는 이름.[8] 주로 미연은 정석미인, 민니는 몽환적인 미인, 소연은 걸크러시 퀸, 우기는 귀여운 미인, 슈화는 청순(혹은 시크)한 미인으로 평가된다.[9] 소연 157cm, 슈화·미연 161cm, 우기 163cm, 민니 167cm[10] 미연을 제외한 모든 멤버들이 삼백안 속성을 가지고 있긴 하나, 이 둘이 가장 선명하게 드러난다.[11] 앵콜 무대에서 올라간 키를 다시 원키로 잡아주는 모습. 상당히 큰 성량과 청량한 미성 덕분에 MR제거에서도 저음부터 고음 가릴 것 없이 흔들림이 없는 댄스 라이브를 선보였다.[12] 소연이 녹음할 때 민니한테 발음 지적을 한 적이 없다고 직접 말했을 정도.[13] 대표적인 성장형 아이돌이라는 평가가 있다. 어눌한 한국어 발음이 오히려 신비롭고 몽환적이게 들리는 효과를 불러오곤 한다. 다만 주관적인 의견에 따라 보컬의 평가가 다소 갈리는 멤버이다.[14] 가장 최근 앨범인 I feel을 예로 들면 퀸카와 Allergy는 소연이 작사, 작곡, 편곡했고 Lucid와 Paradise는 민니가 작곡하고 민니와 소연이 공동 작사했다. All night과 어린 어른은 우기 작곡에 우기와 소연이 공동 작사한 곡으로 앨범에 수록된 6곡 모두가 멤버들에 의해 자체 수급됐다.[15] 당시 큐브 엔터는 설립자 홍승성이 루게릭 병에 걸리며 내전에 가까운 혼란을 겪었다. 자세한 것은 큐브엔터테인먼트/역사 문서 참조.[16] 그룹명은 애니컬러에, 멤버들 예명은 초록악어, 분홍생쥐, 하얀나비, 푸른하늘, 노란물고기로 지으려고 시도했었다. 민니는 이걸 듣고 울었다고 한다. 결국 그룹명은 전소연의 데뷔 전 자작곡 '아이들 쏭'에서 따왔으며, 그룹 상징색은 전소연이 제안했던 그룹명 '퍼플로즈'에서 보라색과 빨간색을 가져왔고, 그룹명의 의미와 로고 초안까지 전소연이 제작해 회사에 제출했다.인터뷰[17] 오직 멤버들만 일관되게 좋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자신이 작곡해온 곡들이 항상 호불호가 갈리고 아웃사이더로 분류됐던 소연은 이런 반응이 너무 고마운 한편 자신이 작곡한 데뷔곡이 실패해 멤버들의 미래까지 망칠까봐 데뷔 전날까지 걱정했다고 한다.2:30부터[18] 자연스럽게 점차 권한의 영역과 힘이 커져갔다. 더 많은 곡을 수록하고, 앨범 전체의 스토리라인을 기획하고 거기에 맞는 곡들을 수록하도록 기획했으며, 무대 구성, 심지어는 뮤직비디오, 의상 등의 영역에도 영향력을 행사하는 등. 소속사 큐브도 데뷔 4년차인 2021년에는 아예 '전소연 팀'을 꾸려 전소연이 함께 일할 직원들을 직접 선택하게 했고, 2022년부터는 공식적으로 소연에게 총괄 프로듀서 직함을 줘버렸다.[19] 이 반응을 아는지 온라인 팬미팅에서 For You의 한국어 버전을 부르기도 하였다.[20] Reset은 우기가 처음에 My sun이라는 제목으로 작사하였지만 소연이 앨범 분위기에 맞춰 Reset이라는 제목으로 다시 작사하여 앨범에 수록되었다.[21] 데뷔 앨범[22] 활동은 하지 않았다.[23] 6인조 마지막 음반[24] 첫 5인조 체제 및 첫 정규앨범[25] (여자)아이들 공식 계정과 1theK 계정 모두에 업로드 하는 바람에 조회수가 나뉘고 있다. 다만, 음악방송에서는 합산 조회수가 순위에 반영되기 때문에 큰 걸림돌은 아니다. <Oh my god>부터는 공식 계정에만 올라오는 것으로 보인다.[26] UNIVERSE(플랫폼)에서 발매[27] 포미닛, CLC 다음 순서로 데뷔했다.[28] 순서대로 포미닛, 비스트, 비투비, CLC, 펜타곤 다음이다.[29] 특이하게도 모든 멤버가 N(직관형)이며, 소연을 제외한 4명이 F(감정형)이다.[30] <DON'T TOUCH ME> 커버 무대에서 소연이 '면김욱슈 빼고 전부 Don't touch me'라는 가사를 통해 언급했다.#사실은 김이 아니라 낌이라고 소연이 언급했다.[31](조미연), 민니, 연, 송이(송우기), [32] 아이들이라는 그룹 이름이 먼저 지어진 것은 아니다. 소연이 자작곡의 제목을 <아이들 쏭>으로 지었는데 이를 본 회사 이사님이 아이들이라는 그룹 이름을 추천했다고 한다. 이후 이 이름이 사내 공모전에서 뽑힌 듯하다. 그룹명 탄생 일화[33] 2018년 5월 25일 정오의 희망곡에서 언급했다.[34] 여담으로 민니같은 나라 사람인 블랙핑크 리사와 친분이 있다.[35] 다만 대부분의 YG 연습생들이 고등학교를 다니지 않고 검정고시로 메웠는데, 미연도 YG에 있었을 적에 비슷한 케이스로 검정고시를 치른 모양이다.[36] 디지털 싱글 컴백 이후에는 여자아이들로 인정.[37] 원래 큐브 채널에 올라왔으나 2020년 1월부터는 아이들 채널에 올라오고 있다.[38] I-TALK 과 비슷하게 소확행이라는 영상도 있다. 링크[39] (여자)아이들과 함께 퀸덤에 출연한 박봄은 자신이 속했던 2NE1의 데뷔곡인 Fire를 커버하는 (여자)아이들을 보고 같은 2NE1의 멤버였던 다라에게 녹화해서 보여주고 싶다 말하기도 했다.[40] 괜찮은 의상들도 많았지만 2주차 음악 방송들의 의상이 비판 대상이 되었다.[41] 미연은 빠른 생일이긴 하고 십이지로 따질 땐 여자친구의 예린과 같이 쥐띠이지만 빠른 생일을 적용하지 않아 민니, 후술한 유주와 같이 97년생들과도 친구로 지낸다. 우기와 슈화는 토끼띠.[42] 아이들은 데뷔곡으로 음악방송 1위를 거머쥔 몇 없는 걸그룹 중 한 그룹이며, 여자친구는 2015년 상반기에 데뷔한 걸그룹들 중 가장 짧은 시간에 정산을 완료했을 정도로 성장세가 가팔랐다.[43] 아이들은 팬덤명이고, 여자친구는 수록곡의 제목.[44] 참고로 유주는 큐브 연습생 출신이긴 하나, 아이들 멤버와의 접점은 없다. 유주가 큐브 연습생으로 있던 시기는 2011년에서 2012년 사이로, 비투비서은광이 IDOL RADIO에서 같이 연습생이었다고 얘기했다.[45] 소연은 프로듀스 101언프리티 랩스타 3, 강승윤은 슈퍼스타K2WIN.[46] 소연은 막내 라인이었다가 중간이 되었고, 강승윤은 그룹의 막내이지만 리더이다.[47] 수진, 남태현. 둘 다 팀에서 어느정도 인기를 얻던 인기멤버였으며 메인으로 담당하던 포지션에서 독보적이라는 인식이 있었다.[48] TOMBOY, REALLY REALLY.[49] 다만 WINNER의 경우, REALLY REALLY 이전까지 최대 히트곡이었던 데뷔곡은 아예 다른 사람이 쓴데다, 탈퇴 멤버가 프로듀싱에 종종 참여했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두 번째 앨범의 경우 수록곡 하나를 제외하고는 모두 남태현이 메인 프로듀싱을 했을 정도. 하지만 아이들의 경우 데뷔부터 지금까지 변함없이 소연이 전반적인 프로듀싱을 담당하고 있다.[50] V앱에서 본인이 직접 밝히길 랩으로 큐브에 들어왔다고 말함. 자세한 내용은 소연 카테고리 참고.[51] 프로듀스 101에서 4차 평가인 데뷔평가곡 녹음중 작곡가가 랩퍼가 보컬도 잘한다고 극찬했으며, 본래 파트가 보컬이다.[52] 소연은 과거 스트릿 댄서로 활동한 적이 있다.[53] 태국어, 영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54] 외국인 멤버들 중에 한국어를 제일 잘한다고 멤버들이 평했다.[55] 단 중국어, 일본어는 유창한 회화를 할 정도는 아니고 어느 정도의 대화만 가능한 수준.[56] 중국의 現 주석으로 있는 시진핑이 동문이며, 지역랭킹은 5위, 전국랭킹 78위인 명문학교다.[57] 졸업만은 하라는 부모님의 말에 데뷔 전 중국을 오가며 시험에 응시해 졸업장을 받았다고 한다.[58] 해당 대회는 <아이돌 멍멍 선수권대회>라는 이름으로 방송되었다.[59] 직속 선배인 CLC는 지상파 1위 기록이 없고 CLC 이전에 먼 선배 그룹인 포미닛은 음악중심, 인기가요에서 1위를 한 적은 있으나 뮤직뱅크에서는 1위를 한 적이 없었다.[60] 솔로 활동때까지는 또렷하게 발음하던 소연마저 그룹 데뷔 이후 멤버들의 영향인지 발음과 말투가 그들과 같아져버렸다.[61] 오죽하면 팬들이 큐브 망하면 원더케이가 아이들 데려가라고 할 정도.[62] 민니, 소연, 우기, 슈화.[63] 페이스리프트 모델. 런웨이 야구의 길 편 오프닝에서 우기가 4세대 카니발을 타고 오는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64] 슈화는 A형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본인이 아직 정확한 혈액형을 모른다고 밝혔다.[65] 탈퇴한 멤버 수진O형이다[66] 데뷔 당시에는 한국인 3명, 외국인 3명으로 비율이 반반이었었다. LE SSERAFIM과 5인조라는 점, 한국인과 외국인의 비율, 전 멤버의 논란으로 인한 탈퇴로 외국인이 더 많아졌다는 점, 멤버 변화 이전에 6인조였다는 점까지 여러모로 똑같다. SECRET NUMBER는 반대로 데뷔 당시에는 외국인 멤버가 더 많았지만 한국인 멤버들이 합류하여 현재는 한국인이 더 많다.[67] 민니가 콘서트 마지막 소감 중 언급[68] 조미, 니차 따라락, 전소, 쑹치, 슈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