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산군/정치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예산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홍성군·예산군
,
,
,
,
,


||




1. 선거구 개요[편집]


파일:예산군 CI.svg 충청남도 예산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홍성군·예산군예산군 전역 + 홍성군 전역
도의원예산군1예산읍, 대술면, 신양면, 광시면
예산군2삽교읍, 대흥면, 응봉면, 덕산면, 봉산면, 고덕면, 신암면, 오가면

2. 개요[편집]


충남에서 보수 성향이 가장 강한 동네로 별명이 비영남권의 작은 대구·경북이다. 대통령 선거를 예로 들면,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가 주변 지역에서 30~40% 득표할 때, 예산군에서만 무려 71.98%[1]를 득표하였으며, 본적지였던 예산읍에서는 무려 78.8%를 득표하였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선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70.35%[2] 득표율로 비영남권에서 옹진군 다음으로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부울경조차도 예산의 박근혜 득표율을 넘는 곳이 6곳 밖에 없었을 정도였다. 보수 진영이 몰락했던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도 예외는 아니어서,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38.29%[3]를 기록해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를 10.19% 차로 앞섰다. 당시에 충청남도 읍·면·동 단위에서 홍준표 득표율 상위 10개 중 무려 4개를 예산군이 쓸어갔으며, 문재인 득표율 하위 10개 지역 중 절반이 예산군이었다. 특히 예산군 대흥면은 충청남도 전체를 통틀어 유일하게 홍준표 50% 이상, 문재인 20% 이하를 기록했다.[4][5] 한편 바른정당유승민 후보는 이곳에서 심상정 후보에도 밀려 5위에 그쳤다.

이러한 이면에는 과거 김종필이회창으로 대표되는 보수 성향의 정치계 거물들이 충청권 본진으로 낙점한 곳이 홍성/예산 지역구였다는 이유가 있었다. 특히 1990년대 말~2000년대 초 한나라당, 2000년대 말 자유선진당 총재를 지낸 거물 정치인 이회창의 본적이자 정치적 기반이 예산이었다.[6] 이 때문인지 몰라도, 때문에 이회창이 자유선진당을 창당한 이후에는 자유선진당이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즉, 지역 정당이 있을 때에는 표의 대부분이 이쪽으로 몰리는 경향이 있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보수 정당에게 몰표가 가는 경향이 있다.

예산의 보수 성향을 다른 지역과 비교하면, 가장 비슷한 곳은 서부경남이다. 20대 총선 비례대표[7], 21대 대선 득표율[8]을 봤을 때, 부울경에서 가장 보수적인 경남 평균보다도 둘의 차이가 조금 더 강한 편인데, 이는 서부경남과 비슷하다. 충청권 대부분의 지역이 대세를 따라가는 소위 '밴드웨건' 효과를 보여주지만, 이곳만큼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과거에는 김종필, 이회창 같은 거물 정치인의 텃밭이었기에 이것으로 설명이 가능했으나 그들의 은퇴한 현재로선 인물론으로 판단하기엔 무리가 있다. 예산군에 거주하는 모든 연령층에서 타 지역보다 보수 성향이 강하다는 것 정도만 어림짐작할 뿐이다.[9]

그런 예산에도 잠시 변화의 바람이 분 적이 있었는데, 바로 문재인 정부의 지지율이 고점을 찍었던 2018년 제7회 지방선거 때다. 도지사 선거 한정이긴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의 양승조 후보가 자유한국당 이인제 후보를 8.5% 차이로 제치고 승리했다. 그러나 군수, 도의원 자리는 모두 자유한국당이 차지하고 광역비례 득표율도 45.5% : 42.6%의 득표율로 강화군과 함께 비영남 지역에서 자유한국당이 1위를 하였다.

2020년 21대 총선에서는 현역 의원이었던 미래통합당 홍문표 후보가 13.5%p 차이로 넉넉하게 승리하였는데, 예산읍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10%p 이상의 차이가 났다. 비례대표 선거 역시 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열린민주당을 합산한 수치보다 20%p 가까이 앞섰다.

2022년 20대 대선에서도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이재명 후보를 15,194표 차로 이겼는데, 이는 인구가 20배 가까이 차이나는 대전광역시 전체 표차(29,110표)의 절반 이상이었다. 총 4개 면에서 이재명 후보가 30% 미만을 기록했는데, 충청남도 읍·면·동 단위에서 이재명 30% 미만인 곳은 예산을 제외하면 홍성군 결성면, 청양군 운곡면 뿐인데다 둘 모두 예산과 근접한 지역이다. 윤석열 후보가 70% 이상 기록한 곳은 충남 전체를 통틀어 남동부 3개면(대흥면, 광시면, 신양면) 뿐이었고, 예산읍도 충청남도 시청, 군청 소재지 중 유일하게 더블 스코어의 격차로 벌어졌다. 이를 봤을 때, 내포신도시가 완공되어도 예산군은 보수 진영의 굳건한 텃밭으로 군림할 가능성이 높다. 강화군 등 기존에 비슷하게 보수세가 강했던 지역들보다도 윤석열의 득표율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는데 이는 윤석열이 충청 대망론을 내세웠던 것의 영향으로 보인다.

8회 지방선거의 도지사 선거에서도 예산에서의 국민의힘(김태흠) 득표율이 그의 홈스테이트인 보령시를(62.57%) 약간의 차이로 제치고 63.03%로 충남 시군 내 1등을 찍었다. 60%를 넘은 곳은 충남 시군 중 이 두 곳뿐이다. 심지어 엄밀한 의미의 홈스테이트는 아니지만 보령과 보령시·서천군으로 같이 묶이는 서천도 60%에는 제법 못 미치는 56.49%였다.

기타 이 지역 출신 정치인으로는 박병선, 한건수, 이우재, 이종성, 오장섭, 조진형 등이 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예산군 CI.svg 역대 예산군수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자유민주연합한나라당한나라당자유선진당
권오창박종순최승우
201420182022
새누리당자유한국당국민의힘
황선봉최재구
주요 후보 득표율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충남도지사[편집]



3.1.1.2. 예산군수[편집]

예산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종순(朴種淳)15,1862위

ta-hash-start=w-8d5c2ad003c431f38dfd7c65e0f3d2eb[[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26.70%낙선
2이항복(李恒馥)7,5723위


8.98%낙선
3권오창(權五昌)33,0991위

ta-hash-start=w-79f69230354b71206fb723c571cce58b[[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58.21%당선
4이한식(李漢植)3,4654위

무소속

6.09%낙선
선거인 수78,174투표율
74.91%
투표 수58,562
무효표 수1,703


3.1.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충남도지사[편집]

예산군
예산군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후보한청수심대평
득표수10,07136,981
득표율21.40%78.59%
순위2위1위
선거인 수77,089
투표 수48,569
무효표 수1,517
투표율63.00%

3.1.2.2. 예산군수[편집]

예산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종순13,5562위
28.47%낙선
2한도원10,0163위
21.03%낙선
3권오창24,0401위
50.49%당선
선거인 수77,089투표율
63.02%
투표 수48,578
무효표 수966


3.1.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3.1. 충남도지사[편집]

예산군
예산군 일원
정당
후보박태권심대평
득표수21,35921,708
득표율49.59%50.40%
순위2위1위
선거인 수75,093
투표 수44,201
무효표 수1,132
투표율58.86%

3.1.3.2. 예산군수[편집]

예산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종순25,5561위
59.26%당선
3홍성찬17,5692위
40.73%낙선
선거인 수75,093투표율
58.86%
투표 수44,198
무효표 수1,073


3.1.4.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4.1. 충남도지사[편집]

8회 지선 예산군 개표 결과
충청남도지사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양승조김태흠(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3,796
(36.96%)
23,529
(63.03%)
- 9,733
(▼26.07)
38,765
(56.12%)
예산읍38.15%61.84%▼23.6851.34
삽교읍37.28%62.71%▼25.4346.41
대술면35.19%64.80%▼29.6163.20
신양면30.10%69.89%▼39.7964.77
광시면29.07%70.92%▼41.8463.20
대흥면27.62%72.37%▼44.7454.91
응봉면33.07%66.92%▼33.8453.62
덕산면35.15%64.84%▼29.6851.19
봉산면32.01%67.98%▼35.9755.43
고덕면34.34%65.65%▼31.3054.45
신암면36.39%63.60%▼27.2052.93
오가면32.85%67.14%▼34.2852.88
후보양승조김태흠격차
거소투표48.07%51.92%▼3.84
관외사전투표47.11%52.88%▼5.76
국회의원
선거구
양승조김태흠격차투표율
홍성·예산[11]38.93%61.06%▼22.1351.75
후보양승조김태흠격차투표율
읍 지역[A]37.96%62.03%▼24.0750.15
면 지역[B]33.04%66.95%▼33.9155.82

3.1.4.2. 예산군수[편집]

예산군수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김학민최재구(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5,414
(41.03%)
22,147
(58.96%)
- 6,733
(▼17.92)
38,764
(56.12%)
예산읍45.77%54.22%▼8.4551.36
삽교읍38.77%61.22%▼22.4546.42
대술면42.11%57.88%▼15.7663.11
신양면32.00%67.99%▼35.9964.81
광시면29.59%70.40%▼40.8063.20
대흥면32.56%67.43%▼34.8654.84
응봉면37.20%62.79%▼25.5853.62
덕산면36.32%63.67%▼27.3451.25
봉산면31.68%68.31%▼36.6355.48
고덕면35.52%64.47%▼28.9454.47
신암면40.80%59.19%▼18.3854.37
오가면35.95%64.04%▼28.0852.91
후보김학민최재구격차
거소투표45.37%54.62%▼9.25
관외사전투표48.69%51.30%▼2.60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예산군
예산군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17,4578,7736,18837,042
득표율25.05%12.58%8.88%53.15%
순위2위3위4위1위
선거인 수81,888
투표 수71,970
무효표 수2,286
투표율87.89%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예산군
예산군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23,37616,99314,0203,564
득표율39.41%28.65%23.63%6.00%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78,153
투표 수60,668
무효표 수1,358
투표율77.63%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예산군
예산군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25,33924,7747,773
득표율42.97%42.01%13.18%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77,158
투표 수60,161
무효표 수1,201
투표율77.97%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예산군
예산군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37,57212,9651,349
득표율71.98%24.83%2.58%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74,545
투표 수53,100
무효표 수903
투표율71.23%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예산군
예산군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4,3509,48775382532,227
득표율9.03%19.70%1.56%1.71%66.94%
순위3위2위5위4위1위
선거인 수72,086
투표 수48,521
무효표 수379
투표율67.31%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예산군
예산군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37,22515,394
득표율70.35%29.09%
순위1위2위
선거인 수71,974
투표 수53,169
무효표 수262
투표율73.87%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예산군
예산군 일원[예산]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3,88018,91111,2432,3192,693
득표율28.10%38.29%22.76%4.69%5.45%
순위2위1위3위5위4위
선거인 수70,494
투표 수49,668
무효표 수281
투표율70.46%

19대 대선 충남 예산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3,880
(28.10%)
18,911
(38.29%)
11,243
(22.76%)
2,319
(4.69%)
2,693
(5.45%)
-5,031
(▼10.19)
70.46%
예산읍29.01%38.23%21.47%4.93%5.88%▼9.2267.74
삽교읍24.52%42.78%23.55%3.95%4.29%▼18.2665.20
대술면22.23%43.25%24.65%4.33%4.71%▼18.6068.13
신양면22.28%42.33%27.57%2.33%4.21%▼14.7669.78
광시면21.62%46.95%24.27%2.65%3.95%▼22.6869.42
대흥면18.54%52.47%21.48%3.04%3.33%30.9969.28
응봉면24.87%42.31%24.20%4.08%3.68%▼17.2467.75
덕산면25.62%40.96%24.08%4.22%4.32%▼15.3467.34
봉산면21.65%45.33%24.90%2.84%3.99%▼20.4369.67
고덕면25.45%42.07%23.82%3.41%4.37%▼16.6268.57
신암면27.03%37.91%25.28%4.26%4.79%▼10.8869.71
오가면23.71%42.64%24.48%3.98%4.64%▼18.1666.43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26.39%29.17%28.47%8.33%2.08%0.70
관외사전투표42.79%19.30%19.55%8.64%9.28%△23.24
재외투표61.72%8.13%14.83%2.87%11.96%46.89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20대 대선 예산군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6,904
(33.24%)
32,098
(63.12%)
- 15,194
(▼29.88)
51,349
(74.34%)
예산읍33.86%62.68%▼28.8270.69
삽교읍32.40%63.79%▼31.3968.38
대술면31.63%64.66%▼33.0374.59
신양면26.57%70.62%▼44.0675.60
광시면25.76%70.82%▼45.0672.67
대흥면25.11%71.33%▼46.2274.55
응봉면30.31%65.42%▼35.1174.29
덕산면33.02%63.63%▼30.6072.71
봉산면27.46%68.51%▼41.0572.56
고덕면32.45%64.52%▼32.0773.04
신암면32.83%63.30%▼30.4776.61
오가면29.77%66.53%▼36.7773.98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33.60%59.83%▼26.23
관외사전투표43.03%52.60%▼9.58
재외투표61.33%30.66%△30.67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홍성·예산[12]37.10%59.26%▼22.1671.83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읍 지역[A]33.86%62.68%▼28.8270.69
면 지역[B]30.28%66.25%▼35.9772.85
내포신도시[E]52.23%43.18%△9.0573.08

3.3. 총선[편집]



3.3.1. 예산군[편집]



3.3.2. 홍성군·예산군[편집]


21대 총선 예산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홍성군·예산군)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김학민홍문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8,789
(42.50%)
24,796
(56.09%)
- 6,007
(▼13.59)
44,829
(63.44%)
[ 펼치기 · 접기 ]

예산읍45.69%53.14%▼7.4559.67
삽교읍39.24%59.54%▼20.3057.28
대술면43.35%54.90%▼11.5565.82
신양면34.80%63.60%▼28.8063.56
광시면32.41%65.81%▼33.4163.39
대흥면32.56%65.63%▼33.0766.27
응봉면37.09%61.51%▼24.4363.71
덕산면39.17%58.85%▼19.6861.55
봉산면37.35%60.57%▼23.2264.82
고덕면40.10%58.55%▼18.4564.42
신암면42.65%55.90%▼13.2566.04
오가면38.76%59.79%▼21.0462.30
후보김학민홍문표격차
거소·선상투표43.10%56.03%▼12.93
관외사전투표54.43%44.11%△10.32
재외투표62.50%37.50%△25.00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8,890
(45.25%)
9,584
(22.96%)
2,698
(6.46%)
1,864
(4.46%)
1,335
(3.19%)
+ 9,306
(△22.30)
44,840
(63.43%)
[ 펼치기 · 접기 ]

예산읍45.21%23.35%6.69%5.02%3.24%△21.8659.68
삽교읍46.07%22.49%6.60%5.02%2.98%△23.5857.29
대술면45.95%20.23%5.48%4.38%2.60%△25.7265.82
신양면50.49%20.44%3.87%2.52%2.52%△30.0563.60
광시면52.44%19.80%5.50%2.62%1.71%△32.6463.39
대흥면54.79%17.27%5.01%2.87%2.55%△37.5366.27
응봉면47.84%20.68%6.47%3.19%3.05%△27.1663.71
덕산면49.22%24.39%6.12%3.54%3.83%△24.8361.55
봉산면46.59%19.01%5.94%3.16%2.53%△27.5864.82
고덕면43.77%21.14%5.81%3.87%1.97%△22.6364.42
신암면40.32%21.01%5.12%4.01%2.26%△19.3166.04
오가면49.51%21.86%5.52%3.22%3.35%△27.6462.30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33.63%22.72%10.90%6.36%1.81%△10.91
관외사전투표32.82%30.72%9.88%6.76%5.60%△2.10
재외투표17.14%42.85%8.57%8.57%5.71%▼25.71






[1] 전국 평균 46.58%, 충청남도 평균 41.22%[2] 전국 평균 51.55%, 충청남도 평균 56.66%[3] 전국 평균 24.03%, 충청남도 평균 24.84%[4] 충청권 전체로 넓히면 단양군 두 곳에서 홍준표 50% 이상을 찍었으나, 문재인 20% 이하는 대흥면이 여전히 유일하다.[5] 이게 얼마나 놀라운 결과냐면, 이 당시 경북에서는 문재인 득표율이 21.73%, 홍준표 득표율이 48.62%를 기록했다. 참고로 대구는 문재인 득표율이 이와 엇비슷하고 홍준표 득표율이 3% 정도 더 낮다. 즉 일개 비영남권 읍면이 TK 평균보다 더 보수적인 셈이다.[6] 다만 본인의 출생지는 아니다. 이회창의 출생지는 황해도 서흥군.[7] 경상남도 44.6 : 29.7, 예산군 45.3 : 26.2[8] 경상남도 37.4 : 58.2, 예산군 33.2 : 63.2[9] 2022년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90.2%가 18세 이상 유권자이고, 이중 49.3%가 60세 이상 유권자인데, 이런 인구 구조는 주변 지역들도 별반 다를 것이 없다. 예산보다 그나마 진보 성향이 강한 태안군이 이와 비슷하다.[10] 97.4.11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11] 지역구 국회의원 : 홍문표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4선)[A] A B 예산읍 (인구 2만 명 이상 읍·면)[B] A B 삽교읍(제2투표소 제외), 대술면, 신양면, 광시면, 대흥면, 응봉면, 덕산면, 봉산면, 고덕면, 신암면, 오가면 (인구 2만 명 미만 읍·면)[예산] [12] 지역구 국회의원 : 홍문표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4선)[E] 홍성군 홍북읍(관내사전 + 제4~7투표소), 예산군 삽교읍(제2투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