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천시 정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부천시/정치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부천시 정
성곡동, 오정동
富川市 丁
Bucheon D
||
파일:국회선거구 부천시 정.svg
선거인 수171,941명 (2020)
상위 행정구역경기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부천시 일부
여월동, 작동, 원종동, 고강동, 오정동, 대장동, 원종동, 내동, 삼정동
신설년도1996년[1], 2020년[2]
이전 선거구부천시 오정구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서영석



1. 개요[편집]


1992년 14대 총선 때 부천시 중구 단일 선거구에서 분리된 선거구이다. 1993년 부천시가 오정구를 설치하면서 15대 총선부터 오정구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2016년 총선 이후 부천시의 일반구가 폐지됨에 따라, 21대 총선부터 부천시 정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이다.

부천시장 재선에 오정구에서 총 5선을 한 원혜영 의원의 영향력으로 18대 총선에서도 민주당이 유일하게 승리를 거둔, 그야말로 수도권에서 손꼽히게 안정적인 민주당 텃밭으로 꼽힌다.[3] 대장홍대선이 이 지역구에 뚫릴 예정이며 3기 신도시 중 하나인 대장신도시도 들어설 예정이다.

2019년 7월 행정동 통합(광역동)으로 관할 행정동이 단 2곳이 되었는데, 이게 사전투표소 설치와 관련되어 문제가 되었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전투표소는 행정동 1개당 1곳이 설치되는데, 부천시에도 예외 없이 이 원칙이 적용되면서 사전투표소가 대폭 축소된 것이다. 결과, 21대 총선에서 부천시의 사전투표율(19.71%)은 (시군구 단위로) 경기도내에서는 최저, 전국에서는 달성군에 이어 2번째로 낮았고, 본투표를 포함하더라도 부천시 을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선거구는 전국 평균 투표율을 밑돌았다. 기사 이 문제는 20대 대선에서 해소되었으며, 각 행정동마다 2~5개의 사전투표소가 마련되게 바뀌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제14대원혜영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부천시 중구 을
제15대최선영
ta-hash-start=w-59ab1a1d1f2c0ebde93ec1634e28a102[[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부천시 오정구
제16대
ta-hash-start=w-7990ad08e2a53d4c50050f87f4220c6b[[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원혜영
ta-hash-start=w-8cf4ecb5db3bd52916325cf38feb7c01[[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ta-hash-start=w-66085beee49294dd1e8bff0eca7c13ee[[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ta-hash-start=w-44ebc4e28c99d8aeaead73b4b70cc5e9[[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서영석2020년 5월 30일 ~부천시 정


2.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이전[편집]


부천시 중구 선거구였다.


2.2. 부천시 중구 을 (14대)[편집]


중구의 인구가 많아짐의 따라 중구 단일 선거구를 갑, 을로 분리해 신설되었다.

2.2.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부천시 중구 을
원종1동, 원종2동, 고강본동, 고강1동, 오정동, 신흥1동, 신흥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임무웅(林茂雄)22,9852위

ta-hash-start=w-73ae443d7bcb8169c047834d8ceaa17b[[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2.95%낙선
2원혜영(元惠榮)36,6081위


52.48%당선
3김재석(金在錫)2,4075위

ta-hash-start=w-d3aebf149cab3f82a73fd4abbe1b82b1[[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3.45%낙선
4임동섭(林東燮)3,5824위

파일:민중당 1990년 글자.svg

5.13%낙선
5한재희(韓在熙)4,1703위

무소속

5.97%낙선
선거인 수110,396투표율
70.61%
투표 수77,948
무효표 수1,058


2.3. 부천시 오정구 (15~20대)[편집]


1993년 부천시가 일반구를 대대적으로 개편하며 오정구 선거구가 되었고, 중구 갑에 있던 성곡동이 오정구로 오며 이 선거구에 편입되었다. 또한 오정동이 분동되어 약대동이 생겼는데 이 동은 원미구로 편입되며 신설된 원미구 을 선거구로 이동하였다.

2.3.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부천시 오정구
오정구 일원[오정]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성계(吳成桂)19,3383위

ta-hash-start=w-ebcc54f79222a80f49b949532df637c4[[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8.41%낙선
2최선영(崔善榮)20,8921위

ta-hash-start=w-98b1e16f65a1500023372d2b362c0991[[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30.69%당선
3원혜영(元惠榮)20,5022위


30.12%낙선
4김정웅(金正雄)7,3374위

ta-hash-start=w-072e81e77edf6f7370bc290b32c9bb81[[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0.78%낙선
선거인 수120,730투표율
57.47%
투표 수69,383
무효표 수1,314


2.3.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부천시 오정구
오정구 일원[오정]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종운(朴鐘雲)19,652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32.82%낙선
2최선영(崔善榮)27,6761위
46.22%당선
3이재옥(李載玉)10,0013위
16.70%낙선
4안기희(安基熙)2,5514위
4.26%낙선
선거인 수125,327투표율
48.36%
투표수60,613
무효표수733


2.3.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부천시 오정구
오정구 일원[오정]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종운(朴鍾雲)20,2162위
28.05%낙선
2김옥현(金玉炫)6,7403위
9.35%낙선
3원혜영(元惠榮)43,2841위
60.06%당선
4하태호(河泰浩)1,8294위
2.54%낙선
선거인 수134,043투표율
54.28%
투표 수72,757
무효표 수688


2.3.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부천시 오정구
오정구 일원[오정]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원혜영(元惠榮)32,8611위
56.01%당선
2박종운(朴鍾雲)24,8312위
42.32%낙선
6권혁기(權赫基)9823위
1.67%낙선
선거인 수145,857투표율
40.60%
투표 수59,219
무효표 수545

2.3.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부천시 오정구
오정구 일원[오정]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안병도(安柄燾)23,3282위
32.51%낙선
2원혜영(元惠榮)38,3501위
53.44%당선
6나삼운(羅三運)5695위
0.79%낙선
7서영석(徐榮奭)5,6743위
7.90%낙선
8홍건표(洪建杓)3,8324위
5.34%낙선
선거인 수151,676투표율
47.60%
투표 수72,205
무효표 수452


2.3.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부천시 오정구
오정구 일원[오정]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안병도(安柄燾)24,7102위
31.12%낙선
2원혜영(元惠榮)35,5591위
44.78%당선
3서영석(徐榮奭)17,3103위
21.80%낙선
4구자호(具滋鎬)1,8184위
2.28%낙선
선거인 수152,131투표율
52.71%
투표 수80,195
무효표 수798


2.4. 부천시 정 (21대~)[편집]


부천시가 일반구를 폐지하며 선거구명이 부천시 정으로 변경되었다.

2.4.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부천시 정
성곡동 [A], 오정동[B]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영석(徐暎錫)49,5521위
56.74%당선
2안병도(安柄燾)32,0942위
36.75%낙선
6구자호(具滋鎬)4,9843위
5.70%낙선
7서남순(徐男諄)6924위
0.79%낙선
선거인 수150,459투표율
58.85%
투표 수88,552
무효표 수1,23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부천시 정)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서영석안병도
득표수
(득표율)
49,552
(56.74%)
32,094
(36.75%)
+ 17,458
(△19.99)
88,552
(58.85%)
성곡동56.37%37.60%△18.7756.43
오정동55.55%37.78%△17.7756.51
후보서영석안병도격차
거소·선상투표51.10%28.63%△22.47
관외사전투표64.54%27.76%△40.31
국외부재자투표68.37%26.49%△41.88
더불어민주당에선 현역 원혜영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처음엔 전략공천 대상 지역구로 지정되었으나[4] 경선 지역으로 전환되어서 정은혜 비례대표 의원[5], 김만수 전 부천시장[6], 서영석 대한약사회 정책기획단장[7]이 3자 경선한 결과, 예상을 깨고 서영석 예비후보가 승리해서 공천을 받았다.

미래통합당에선 안병도 당협위원장이 단수 공천을 받았다.#

정의당에서는 구자호 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결과는 서영석의 20% 차 낙승. 원혜영이 5선을 한 지역구인데다가 민주당이 박살났던 18대 총선에서도 승리했던 민주당의 수도권 텃밭 중 하나인 만큼, 애초에 야당이 이길 가망이 없었다. 대개 여야 막론하고 중진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하면 해당 지역구 후보 경선이 치열한 만큼 공천 잡음만이 그나마 기대해볼 만한 것이었을텐데, 그마저도 공정한 경선을 통해 후보를 선출했으니... 다만 부천시 선거구들 중 득표율로는 3위였는데, 서영석 후보의 여러 논란들이 유권자들에게 안 좋은 인상을 남겼을 가능성이 있다. 물론 그래봤자 50%대 중반이니 야당들에게는 전혀 위안이 안 됐을 듯. 설령 서영석의 음주운전이 논란이 됐다고 해도 안병도 역시 음주운전 전과자라 표 흡수를 못했을 가능성도 있다.

결국 3번 연속 패배의 쓴 맛을 본 안병도 후보는 총선 패배 이후 본인의 페이스북을 통해 정계은퇴를 선언하게 되었고, 비록 승리한 적은 없지만 오랫동안 당협위원장으로 지역을 지켜왔던 안 후보마저 떠나면서 앞으로도 보수정당이 발 붙이기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2.4.2.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부천시 정
성곡동[A], 오정동[B]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서영석 의원이 재선에 도전하며 지난 총선에서 경선에서 패한 정은혜 전 의원, 비례대표 유정주 의원도 본 지역구에 출마 준비를 하고 있어 경선을 통해 후보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에서는 송윤원 당협위원장과 서영석 전 부천시장 후보가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만약 양 당에서 서영석 의원과 서영석 전 후보가 공천을 받는다면 서영석 vs 서영석의 대결이 벌어질 수도 있다. [8]

[1] 부천시의 일반구가 개편되면서 부천시 중구 을에서 부천시 오정구로 선거구명 변경[2] 부천시의 일반구 폐지로, 선거구명 변경[3] 분구 이후 보수계열 후보가 당선된 적이 단 한번도 없다. 심지어 인근 선거구 중 민주당 초강세 지역으로 유명한 구로구 을강서구 갑에서도 보수정당이 한번쯤은 승리했던걸 감안하면 그야말로 시흥시 을과 함께 보수정당의 무덤이라고 볼 수 있다.[오정] A B C D E F 여월동, 원종동, 고강동, 오정동, 삼정동, 대장동, 작동, 내동[A] A B 법정동 : 여월동, 작동, 원종동, 고강동.[B] A B 법정동 : 오정동, 대장동, 원종동, 내동, 삼정동.[4] 민주당 당규에 따른 것. 모든 현역 불출마 지역구들이 대상이었으며, 몇몇 지역구들은 경선 지역으로 전환되기도 했다.[5] 지역에 연고가 있다.[6] 원래 부천시 병에서 3번 출마했었으나, 다 낙선했다. 김상희19대 국회부터 국회의원인데다가 여성 의원이라 공천을 못 받을 확률이 거의 없어서인지, 지역구를 바꾼 듯. 원혜영의 측근이기도 하며, 실제로 원혜영이 후원회장을 맡기도 했다.[7] 시장이었던 김만수에 비해 인지도는 떨어지지만 사실 원혜영의 최최최측근이라고 할 수 있다. 부천시의원 3선, 경기도의원 1선을 역임했고, 원혜영이 치른 거의 모든 선거를 도왔다.[8] 2022년 지방선거 때 국민의힘 부천시장 후보 경선에서 서영석 vs 서영석의 대결이 벌어진 적이 있기는 했다. 국민의힘 소속 서영석은 나이도 모두 1958년생으로 동갑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