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포늪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 광릉 크낙새 서식지 · 진도의 진도개 · 울주 목도 상록수림 · 원성 성남리 성황림 · 제주도 김녕굴만장굴 · 보은 속리 정이품송 ·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 · 설악산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한라산 · 울릉군 성인봉 원시림 · 의령 서동리 함안층 빗방울 자국 · 크낙새 · 따오기 · 황새 · 고니 · 두루미 · 재두루미 · 팔색조 · 저어새 · 노랑부리저어새 · 느시 · 사향노루 · 산양 · 장수하늘소 · 고씨동굴 · 흑두루미 · 남양주 양지리 향나무 · 까막딱따구리 · 독수리 · 검독수리 · 참수리 · 흰꼬리수리 · 어름치 · 오계 · 무주군반딧불이 서식지 · , 황조롱이 · 회갈색올빼미 · 수리부엉이 · 부엉이 · 기러기 · 검은머리물떼새 · 원앙 · 하늘다람쥐 · 반달가슴곰 · 유라시아 수달 · 점박이물범 · 홍도(통영) · 독도 ·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 · 노랑부리백로 · 삽살개 · 성주 경산리 성밖숲 · 의성 사촌리 가로숲 ·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 · 성산 일출봉 · 문섬, 범섬 · 차귀도 · 마라도 ·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 ·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 뜸부기 · 두견 · 뿔쇠오리 · 붉은박쥐 · 남생이 · 꼬치동자개 · 무등산 주상절리 · 비단벌레 · 갓바위 · 우포늪 · 비둘기낭 폭포 · 동경이 · 화성 뿔공룡(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 골격 화석




우포늪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external/tong.visitkorea.or.kr/657038_image2_1.jpg

1. 소개
2. 상세
3. 여담


1. 소개[편집]


牛浦늪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이방면, 대합면 즉, 3개면에 걸쳐있는 총면적 2.31㎢의 대한민국 최대의 내륙 습지. 우포늪 권역은 2011년 천연기념물 제524호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유어면 대대리, 세진리 일원에 걸쳐 있는 우포늪(1.28㎢)과 이방면 안리 일원의 목포늪(0.53㎢), 대합면 주매리 일원의 사지포(0.36㎢), 이방면 옥천리 일원의 쪽지벌(0.14㎢)로 나뉜다.[1] 우포늪은 남한 최대의 자연호수다.

형성시기는 암반 형성시기는 백악기 중기인 1억 4000만년전이지만 늪이 형성되는 것은 오래잡아도 신생대 마지막 빙하기 시절 때 홍수가 나면 낙동강물이 우포로 역류하고 평상시에도 배수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이 일대는 물이 고여있는 늪이 됐다.[2][3]

480여종의 식물, 62종의 조류, 28종의 어류, 55종의 곤충류가 서식하고있다. 때문에 람사르 협약에 의해 보호받는 대표적인 습지이며, 대한민국의 얼마 안되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후보 중 하나다.

각종 야생동물과 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생태학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곳이다.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광활한 늪지에는 수많은 물풀들이 머리를 내밀고 있어서 생태박물관을 보는 것 같으며 호소성 배후습지인 우포늪은 우기나 홍수 때의 과다한 수분을 습지토양 속에 저장하였다가 건기에 지속적으로 주변에 공급하여 지형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수문학적 가치를 지니는 자연환경 보전지역이며, 생태자원, 관광자원으로서도 탁월한 경제성을 지닌 지역으로 평가된다.


2. 상세[편집]


광복 이전 일제강점기1933년에 천연기념물로 이미 지정되었고, 광복 후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자 '창녕 백조 도래지'란 이름으로 천연기념물 제15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11년 후인 1973년에 철새 감소를 이유로 천연기념물에서 해제되면서 우포늪 주변의 사몰포, 용호 등과 같은 습지들이 농지로 개간되기 시작했고,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 정부 간의 갈등도 본격화되었다.

원래부터 경남지역의 강변(낙동강, 남강)은 신생대 시기[4] 평원을 흐르던 자유곡류였으나 신생대 중반 경상도 지방이 융기하고, 그 결과 차별침식에 의해 우각호로 남으며 늪지로 형성된 지역이 많았다. 창녕군 창녕읍 근방의 우포늪, 함안군 군북면 유전늪과 법수면 일대의 여러 늪지대 등 구릉지 사이에 거대한 늪지대가 끼어 있는 것이 보통인데 특히 유전늪은 우포늪보다도 규모가 훨씬 큰 자연습지대였다. 과학잡지 뉴턴 한국판[5]이 1985년에 창간준비호를 내면서 제일 처음 특집기사로 실은 것이 바로 유전늪의 습지식물이었을 정도. 인근의 가야장, 창녕장, 군북장 등에서는 이들 늪지에서 낚아 올린 팔뚝만한 민물고기들이 장터를 가득 채울 정도였으나, 1980년대 낙동강 수계 정비사업과 농토개간[6] 등으로 함안군 영역의 4개 습지는 죄다 메꿔지고[7] 비교적 접근이 힘든 오지였던 우포늪만 살아남았다. 늪지이다 보니 무엇보다도 모기떼가 창궐했고 지역주민들의 교통편의나 치안 등에도 악영향이 있었기 때문. 위 문단의 지역주민과 환경단체간 갈등은 이것을 말한다.

남해고속도로 개통으로 이미 1990년에 모두 개간되어버린 유전늪과 달리 우포늪은 주변에 구마고속도로가 지나가긴 하지만 몇몇 지방도 외에는 의외로 사람이 접근하기도 쉽지 않은 오지였던 탓에[8][9] 살아남았다. 결국 1997년 환경부 고시에 의해 생태경관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 1998년에는 람사르 협약에 등록하여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2011년에는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이란 이름으로 천연기념물 524호로 재지정되었다.

우포늪은 현재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후보에 포함되어있다. 한국에서 이토록 큰 내륙습지와 다양한 생물이 분포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보존 상태도 나쁘지 않기에 등재에도 별 무리가 없지만 인근의 주민들이 어떻게 반응할지는 미지수이기도 하다.[10] 덧붙여 창녕에는 가야시대 교동 고분군이 2023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그리고, 창녕 영산줄다리기는 이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어있다. (정확히는 줄다리기 자체가 등재) 따라서 만에 하나 여기가 모두 세계유산에 등재될 경우, 창녕은 일개 임에도 세계유산을 무려 3개나 보유한 관광지가 될 수도 있다.[11]

우포늪에도 나름의 위기가 있는데 뉴트리아 출몰과 더불어 습지 부근에서 무분별한 농경과 어로 활동이 벌어지는 탓에 늪이 파괴된다는 얘기도 적지 않다. 한국 정부와 지자체가 이를 방치하면 람사르 협약 위반에 걸릴 수 있기에 우려를 낳는 부분이다.

교통과 관련해서는 중부내륙고속도로 창녕IC 근방에 있어 자가용을 이용하면 어렵지 않게 접근이 가능하다.[12]

하천은 우포늪에서 발원해 마을을 지나 낙동강으로 유출되는 토평천이 있다.
  • 식물: 480여종
    • 부생식물: 생이가래, 개구리밥, 부레옥잠 등
    • 부엽식물: 가시연꽃, 마름, 가래, 수련 등
    • 습지식물: 부들, 줄, 갈대, 억새, 골풀 등

따오기, 물꿩[13]
  • 텃새: 논병아리, 쇠백로, 중대백로, 왜가리, 쇠물닭, 민물가마우지,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물닭, 원앙 등
  • 겨울철새: 고방오리, 알락오리, 넓적부리, 홍머리오리, 청머리오리, 쇠오리, 백조 등

  • 물고기
뱀장어, 피라미, 잉어, 붕어, 메기, 가물치, 버들붕어 등

  • 포유류
두더지, 족제비, 너구리, 삵, 고라니 등

  • 파충류
남생이, 자라, 줄장지뱀, 유혈목이 등

  • 양서류
무당개구리, 두꺼비, 청개구리, 참개구리, 황소개구리

  • 패류
논우렁이, 물달팽이, 말조개 등

3. 여담[편집]



  • 신종원 작가의 소설 [습지 장례법]의 주 무대로 등장하는 곳이다. 물론 소설의 내용은 현실과 동일하지 않다.

  • 어린 습지식물을 먹이로 삼는 뉴트리아는 과거 90년 대에 '수익성이 좋다'라는 루머로 인해 여러 지역 사람들이 들여왔다가, 훗날 자연방사되어 생태계 교란종이 되었는데, 우포늪의 주민들도 당시에 뉴트리아를 들여왔었다가 방생했었다고 한다. 그래서 아직 우포늪에 많은 뉴트리아가 있다고 한다. 그래서 2014년 낙동강유역 환경청에서 뉴트리아 포획 포상금지급 지역에 창녕을 추가했다. 다만 총기, 활, 석궁 등으로 잡은 개체는 포상금 지급 제외 대상이라 실효성은 의문.(뉴트리아에 웅담 성분이 있다는 소문이 퍼지자 급격히 수가 줄어들고 있다.)

  • 기능적으로도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수많은 생명체의 서식처가 되고 이것은 그대로 인간이 식량을 얻을 수 있는 자원이다. 또한 습지가 머금은 물은 홍수를 예방하고 지구 온난화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게다가 차곡차곡 쌓인 생태계의 모습은 우리가 살고 있는 생태계 연구를 위한 훌륭한 교재가 된다.

  • 1962년 12월 3일 창녕백조도래지라는 이름으로 천연기념물에 지정되었다가 1965년 10월 25일에 해제되었다.

  • 이곳을 주제로 삼은 시도 있다. 작가는 김바다. 내용이 가히 충격적이다.
우포늪

안개에 덮인
우포늪은
새들의 세상이다.

우웩웩웩 우웩웩웩
퀘퀘퀘퀘 퀘퀘퀘퀘
깨깩깨깩 깨깩깨깩
푸드덕푸드덕푸드덕
애액애액애액애액애액
에엑우웩에엑우웩에엑
엑엑엑엑엑엑엑엑엑엑
깍악악악깍깍악악악깍
뚜두뚜두뚜두뚜두뚜두
삐약삐약삐약삐약삐약
까르까르까르까르까르
우두우두우두우두우두
꿔어억꿔어억꿔어억.||
과거 지식IN에서 가볍게 읽는 시를 추천해 달라는 질문에 이 시를 올린 네티즌이 있었다(..)#.



[1] 둑이 생기기 전인 일제 강점기 이전에는 전부 하나였다.[2] 근거 1: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D%8F%AC%EB%8A%AA[3] 근거 2:https://www.cng.go.kr/tour/upo/00001081.web[4] 중생대에는 경상 분지 지역 대부분이 바닷속에 있었다.[5] 당시는 '월간 과학', 계몽사에서 라이센스 발간[6] 이미 일제강점기에 늪 범람을 이유로 제방을 여기저기 쌓아 일부 습지대는 개간되어있던 상태였다.[7] 유전늪은 하도 커서 지금도 유현리 동네 옆에 1/2 정도는 남아있으나 바로 옆에 공장부지가 들어와 있는 등 자연습지로서의 기능은 사실상 상실했다.[8] 우포늪 주변에 높은 산은 없지만 죄다 낙동강 연변의 구릉지이기 때문에 민가도 거의 없고 매우 썰렁하다. 해가 지면 지방도 근처의 몇몇 동리 외에는 인적 하나 얼씬하지 않는다.[9] 인근의 창녕, 함안 등에 비교해보면 민가가 많은 지역은 대개 높은 산 아래에 농지를 끼고 있는 배산임수의 지형이 많다. 낙동강, 남강 인근은 여름에 홍수가 나면 물이 안 빠지기로 유명한 곳이라서, 안동댐남강댐이 건설되기 전에는 큰물이 들었다 하면 안 빠지기 일쑤. 상기한 함안의 늪지들도 인근 창원의 폭발적인 도시화와 남해고속도로로 인한 교통 편의성이 개선되면서 농토로 개간된 것. 한 마디로 도시화의 산물이다. 그나마 그 농토도 이제는 죄다 공장부지가 되었다.[10] 주변에는 예전부터 우포늪의 영향을 받고 자란 산골 마을이 있고 아직도 해당 지역에서 어업에 종사하는 주민이 존재한다. 다만 실질적인 주민은 이제 8명 남짓으로 알려진다.[11] 2022년 기준, 군 단위로는 고창군이 유일하게 복수의 유네스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고인돌 무리, 갯벌)[12] 창녕읍에서 택시를 타도 되지만 콜택시 번호는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다.[13] 요즘에는 거의 매년 열대조류 물꿩이 방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