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호

덤프버전 :



조선 영의정

영조 ~ 정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31px; color: #fff"
[ 펼치기 · 접기 ]


제158대

이광좌

제159대

정호

제160·161대

이광좌

제162대

홍치중

제163대

심수현

제164대

이의현

제165대

김흥경

제166대

이광좌

제167대

김재로

제168대

조현명

제169대

김재로

제170대

이종성

제171대

김재로

제172대

이천보

제173대

유척기

제174대

이천보

제175대

김상로

제176대

이천보

제177대

홍봉한

제178대

신만

제179대

홍봉한

제180대

윤동도

제181대

서지수

제182대

김치인

제183대

홍봉한

제184대

김치인

제185대

김상복

제186대

신회

제187대

김상복

제188대

한익모

제189대

김상복

제190대

신회

제191대

한익모

제192대

김상복

제193대

한익모

제194대

김상복

제195대

한익모

제196대

신회

제197대

한익모

제198대

김상철

제199대

김양택


제199대

김양택

제200대

김상철

제201대

서명선

제202대

김상철

제203대

서명선

제204대

정존겸

제205대

서명선

제206대

정존겸

제207대

김치인

제208대

김익

제209대

이재협

제210대

김익

제211대

채제공

제212대

홍낙성

제213대

이병모






정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영의정
문경공(文敬公)
정호
鄭澔


출생
1648년 11월 24일
(음력 인조 26년 10월 10일)
사망
1736년 11월 15일 (향년 87세)
(음력 영조 12년 10월 13일)
충청도 충주목
(現 충청북도 충주시)
재임기간
제159대 영의정
1725년 6월 3일 - 1727년 6월 3일
(음력 영조 1년 4월 23일 - 영조 3년 4월 14일)
시호
문경(文敬)
본관
연일 정씨[1]

중순(仲淳)

장암(丈巖)
붕당
노론
부모
부친 - 정경연(鄭慶演, 1605 ~ 1666)
모친 - 민광환(閔光煥)의 딸 여흥 민씨
부인
최응천(崔應天)의 딸 강릉 최씨
자녀
2남 4녀
장남 - 정희하(鄭羲河, 1681 ~ 1747)
차남 - 정순하(鄭舜河)
딸 - 4명

1. 개요
2. 가족 관계
3. 여담



1. 개요[편집]


조선 숙종조 중기부터 영조조 때의 문신. 영조조 중기 땐 민진원과 함께 노론 강경파의 수장이였다.


2. 가족 관계[편집]


  • 고조부 정철
    • 증조부 정종명(鄭宗溟)
      • 조부 정즉(鄭溭)
        • 아버지 정경연(鄭慶演)
          • 본인
          • 부인 강릉 최씨 최응천(崔應天)의 딸
            • 장남 정희하(鄭羲河)
            • 차남 정순하(鄭舜河)
            • 장녀 - 사위 안동 권씨 권돈(權墪)
            • 차녀 - 사위 기계 유씨 유도기(兪度基)
            • 3녀 - 사위 강화 유씨(江華 劉氏) 유재웅(劉在雄)
            • 4녀 - 사위 청풍 김씨 김집(金檝)
            • 5녀 - 사위 심사익(沈師益)[3]
              • 손녀 - 손녀사위 심항진(沈恒鎭)[2]


3. 여담[편집]


야사에 따르면 30이 넘도록 과거 급제를 못하고 있었는데 꿈속에 산신령이 나타나 이름을 고(告)로 고치라고 말했다고 한다. 특이한 점은 보통 설화 속 등장인물들은 이러면 이름을 고치는데, 정호는 "내가 실력이 안돼서 떨어지면 몰라도 이름 때문에 떨어졌다고?"라는 생각에 빡쳐서 안 고쳤다. 그것도 꿈에서 여러번 산신령이 나와 거듭 고치라고 해도 그는 무시했고 결국 혼자 노력해서 35살에 급제했다고.

그 밖에 배나무에 관한 에피소드도 전한다. 78살 때 정호는 낙향해서 수안보에 살았는데, 어느 날 그 근처로 벼슬하러 온 이형좌(李衡佐)가 정호에게 인사를 올리러 왔을 때 정호가 배나무를 심는 것을 봤댄다. 늙어서 언제 먹을지도 모르는 배나무는 왜 심냐고 의아했던 이 사람은, 10년 후 충청도 감사가 되어서 88살이 된 정호를 다시 찾았다. 그런데 정호가 그때 갖다준 가 10년 전에 심은 그 나무에서 따온 것이었다.

윤승운이 만화로 이 사람에 대하여 그린 바 있다. 이 만화에서 은퇴하여 배나무를 심은 정호에게 그 벼슬아치가 배는 열매를 맺자면 몇년은 걸리지 않습니까? 말했는데 당신 나이가 이제 여든인데 언제 그거 먹을려고? 은근히 비아냥이 담겨져 있었다는 것이다. 정호도 그 말을 이해했지만 그냥 덤덤하게 나무를 심고 신경도 안 썼다. 그리고, 10년 지나 그가 정호랑 배를 먹으며 맛있다고 감탄하자 정호는 웃으면서 "누가 꼭 자신이 먹고자 뭘 키우겠나? 이 배나무에서 열린 배를 다른 사람이 먹으면 그만 아니겠나?" 라며 10년전 그런 말을 한 그 사람을 점잖게 타일렀다고 한다. 그 사람은 부끄러워하며 사죄했지만 정호는 자네를 꾸짖고자 말하는 게 아니니 그렇게 사죄할 거 없다면서 같이 배를 먹었다고 한다.

[1] 문정공파-김제공파 16세 삼수 변(氵) 항렬[2] 사돈인 심정보의 사촌인 심정규(沈廷揆)의 손자.[3] 효종의 부마 중 한 명인 청평도위(靑平都尉) 심익현(沈翼顯)의 손자이자 심정보(沈廷輔)의 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