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부산직할시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1. 개요[편집]


항목제12대 국회의원 선거부산직할시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2. 결과[편집]



2.1. 중구·동구·영도구[편집]


중구·동구·영도구
부산 중구, 부산 동구, 영도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찬종(朴燦鍾)83,4632위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1.97%당선
2윤석순(尹碩淳)67,0603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25.69%낙선
3노차태(魯且泰)12,7874위


4.89%낙선
4김정길(金正吉)97,6881위

ta-hash-start=w-b821b869101ee544bb1aa4663b76dc00[[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7.42%당선
선거인 수307,900투표율
85.89%
투표 수264,466
무효표 수3,468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박찬종 4.jpg
파일:윤석순.jpg
파일:노차태12.jpg
파일:rlawjdrlf (10).jpg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ta-hash-start=w-fe085328875680ff4f8791c4b2e8b45b[[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찬종윤석순김정길
결과31.97%(당선)25.69%37.42%(당선)
중구33.46%(2위)28.53%33.87%(1위)
동구37.66%(1위)24.33%32.04%(2위)
영도구25.33%25.47%(2위)44.93%(1위)

신한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한 김정길이 민주한국당 후보로 출마하며 "아빠는 신한민주당, 엄마는 민주한국당"이라는 구호를 들고 나왔다. 그 결과 김정길과 박찬종이 동반당선되고, 민주정의당 후보인 윤석순은 낙선했다. 선거 이후 김정길은 신한민주당으로 복당했다.


2.2. 서구·사하구[편집]


서구·사하구
부산 서구, 사하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곽정출(郭正出)79,293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3.54%당선
2유강열(劉江烈)34,7843위

ta-hash-start=w-e53837f4c7d3cba61931cc0497021871[[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4.71%낙선
3서석재(徐錫宰)122,3091위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1.74%당선
선거인 수287,154투표율
83.58%
투표 수240,012
무효표 수3,626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곽정출12대.jpg
파일:유강열12.jpg
파일:ECM0120060062_0102S-1.pn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ta-hash-start=w-6e99ed46f817de00fa66a0650286d735[[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곽정출유강열서석재
결과33.54%(당선)14.71%51.74%(당선)
서구33.31%(2위)13.58%53.09%(1위)
사하구33.75%(2위)15.74%50.50%(1위)
김영삼의 정치적 고향인 부산 서·사하에서 YS의 최측근 중 하나인 서석재 후보가 과반 이상의 득표를 얻으며 1위로 당선되었다.

2.3. 부산진구[편집]


부산진구
부산진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진기(金進基)26,0044위

ta-hash-start=w-e2eaa26a93178afc1e5adfcc41744c2b[[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9.96%낙선
2구용현(具龍鉉)59,0573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22.63%낙선
3황금석(黃金石)1,8266위


0.69%낙선
4강경식(姜慶植)95,6361위


36.65%당선
5김정수(金正秀)70,8872위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7.16%당선
6김정우(金正祐)7,5035위

무소속

2.87%낙선
선거인 수306,911투표율
86.15%
투표 수264,400
무효표 수3,487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김진기12.jpg
파일:구용현2.jpg
파일:강경식12.jpg
파일:김정수12.png


구용현강경식김정수
결과22.63%36.65%(당선)27.16%(당선)
부산진구 갑[1]22.02%37.59%(1위)27.03%(2위)
부산진구 을[2]24.07%34.43%(1위)27.49%(2위)

앞서 4번이나 낙선한 국민당 강경식 후보가 동정표를 얻으면서 1위로 당선되었고, 민정당 구용현 후보는 보수표 분열로 인해 3위로 낙선하였다.


2.4. 동래구[편집]


동래구
동래구 일원[3]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건일(李健一)147,4641위
37.14%당선
2박관용(朴寬用)145,2332위
36.58%당선
3김진재(金鎭載)96,1823위
24.22%낙선
4문용한(文龍漢)8,0894위
[include(틀:자유민족당)]2.03%낙선
선거인 수476,395투표율
84.28%
투표 수401,498
무효표 수4,530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이건일.jpg
파일:박관용 2.jpg
파일:김진재12대.jpg


이건일박관용김진재
결과37.14%(당선)36.58%(당선)24.22%
동래구 갑[4]36.04%(2위)37.29%(1위)24.80%
동래구 을[5]39.52%(1위)35.06%(2위)22.98%

중구·동구·영도구 선거구와 마찬가지로 민주한국당 후보와 신한민주당 후보가 동반 당선되고, 민주정의당 후보가 낙선했다. 여기서 낙선한 민주정의당 김진재 후보는 다음 선거인 13대 총선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서 유일하게 부산 지역에서 당선된다.


2.5. 남구·해운대구[편집]


남구·해운대구
부산 남구[6], 해운대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흥수(柳興洙)120,3192위
32.51%당선
2이기택(李基澤)159,1271위
43.00%당선
3김승목(金承穆)54,0013위
14.59%낙선
4이영근(李英根)36,5614위
9.88%낙선
선거인 수434,003투표율
86.29%
투표 수374,501
무효표 수4,493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유흥수12대.jpg
파일:이기택 4.jpg
파일:김승목12.jpg
파일:이영근12.jpg


유흥수이기택김승목
결과32.51%(당선)43.00%(당선)14.59%
남구31.50%(2위)43.25%(1위)14.90%
해운대구35.12%(2위)42.35%(1위)13.77%

2.6. 북구[편집]


북구
부산 북구 일원[7]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문정수(文正秀)58,7052위
28.65%당선
2신상우(辛相佑)48,8933위
23.86%낙선
3김용호(金溶鎬)35,6824위
17.41%낙선
4장성만(張聖萬)61,5961위
30.06%당선
선거인 수242,798투표율
85.67%
투표 수208,010
무효표 수5,251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문정수12대.jpg
파일:신상우12대.jpg
파일:장성만12대.jpg


장성만신상우김용호문정수
결과30.06%(당선)23.86%17.41%28.65%(당선)

신상우는 민주한국당 부총재로 실세나 다름없었는데, 신한민주당 돌풍에 밀려 낙선한다. 원외로 밀려나면서 안기부의 압박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워진 신상우는 민주한국당을 탈당하고 신한민주당에 입당한다.

[1] 부전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양정3동, 양정4동, 부암1동, 부암2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3동, 당감4동, 가야2동, 가야3동, 개금1동, 개금2동, 개금3동[2]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전포3동, 전포4동, 가야1동, 범천1동, 범천2동, 범천4동[3] 지금의 동래구, 금정구, 연제구 일원[4] 지금의 동래구, 연제구 일원[5] 지금의 금정구 일원[6] 지금의 부산 남구, 수영구 일원[7] 지금의 부산 북구, 사상구 일원+부산 강서구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