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강원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1. 개요[편집]


항목제14대 국회의원 선거강원도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2. 결과[편집]



2.1. 춘천시[편집]


춘천시
춘천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승수(韓昇洙)32,8042위

ta-hash-start=w-d82f9436247aa0049767b776dceab4ed[[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7.45%낙선
2유남선(兪南善)6,8133위


7.77%낙선
3손승덕(孫承德)38,0691위

ta-hash-start=w-a27011678db232be4bc660d9e5900a1e[[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43.46%당선
4백태열(白泰烈)6376위

ta-hash-start=w-bd198e94a75b9fd7bc0a3343c79825d1[[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0.72%낙선
5최윤(崔潤)7,9404위

파일:민중당 1990년 글자.svg

9.06%낙선
6이상수(李相壽)1,3205위

무소속

1.50%낙선
선거인 수117,987투표율
75.10%
투표 수88,550
무효표 수967

2.2. 원주시[편집]


원주시
원주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함종한(咸鍾漢)32,4322위

ta-hash-start=w-2851389c12fee533abfa505b4c7551d1[[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9.97%낙선
2박영록(朴永祿)9,9093위


12.21%낙선
3원광호(元光鎬)34,5791위

ta-hash-start=w-a4ed074907dc9bc3c86cc52904d763e3[[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42.61%당선
4이정구(李正九)2,4834위

파일:민중당 1990년 글자.svg

3.06%낙선
5김광림(金光林)1,7355위

무소속

2.13%낙선
선거인 수109,302투표율
74.96%
투표 수81,937
무효표 수799

2.3. 강릉시[편집]


강릉시
강릉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종완(崔鍾浣)18,2392위

ta-hash-start=w-49efa7f6c43ec1675da803542cb6ee5c[[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25.35%낙선
2함영회(咸泳會)6,9094위


9.60%낙선
3김필기(金必起)2,9615위

ta-hash-start=w-94063eda3aed413fbcfc402f7e03cd38[[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4.11%낙선
4심기섭(沈起燮)16,7543위

무소속

23.29%낙선
5최돈웅(崔燉雄)27,0681위

무소속

37.63%당선
선거인 수96,020투표율
75.73%
투표 수72,718
무효표 수787

2.4. 동해시[편집]


동해시
동해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홍희표(洪熙杓)16,1172위

ta-hash-start=w-a1c955893ce582e9e6ccb8920ca5aef0[[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4.61%낙선
2지일웅(池一雄)8,2303위


17.67%낙선
3김효영(金孝榮)21,5541위

ta-hash-start=w-c404a5adbf90e09631678b13b05d9d7a[[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46.28%당선
4조대형(趙大衡)6624위
1.42%낙선
선거인 수60,975투표율
77.18%
투표 수47,060
무효표 수497

2.5. 태백시[편집]


태백시
태백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류승규(柳昇珪)17,9751위
45.32%당선
2김성태(金聖泰)1,6585위
4.18%낙선
3김상봉(金相鳳)13,8042위
34.80%낙선
4배진(裵眞)4,4733위
11.27%낙선
5정수룡(鄭洙龍)1,7504위
4.41%낙선
선거인 수52,006투표율
77.14%
투표 수40,115
무효표 수455

2.6. 명주군·양양군[편집]


명주군·양양군
명주군 일원, 양양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문기(金文起)19,9921위
36.45%당선
2최욱철(崔旭澈)13,1673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24.01%낙선
3최각길(崔珏吉)18,5622위
[include(틀:통일국민당)]33.85%낙선
4김시환(金時煥)1,0145위
[include(틀:신정치개혁당)]1.84%낙선
5함영주(咸泳珠)2,0993위
3.82%낙선
선거인 수69,116투표율
80.51%
투표 수55,646
무효표 수812

2.7. 삼척시·삼척군[편집]


삼척시·삼척군
삼척시 일원, 삼척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일동(金日東)16,1172위
33.75%낙선
2김재철(金在徹)5,9133위
11.20%낙선
3심재정(沈在廷)6806위
1.28%낙선
4김정남(金正男)20,0761위
38.04%당선
5엄영석(嚴永錫)5,6814위
10.76%낙선
6정웅교(鄭雄敎)2,6135위
4.95%낙선
선거인 수65,057투표율
82.15%
투표 수53,443
무효표 수667

2.8. 홍천군[편집]


홍천군
홍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응선(李應善)14,8152위
36.19%낙선
2장만준(張萬俊)3,6863위
9.00%낙선
3조일현(曺馹鉉)21,6011위
52.77%당선
4이만연(李萬淵)4224위
1.03%낙선
5박성문(朴聖文)4065위
0.99%낙선
선거인 수52,976투표율
78.55%
투표 수41,612
무효표 수682

지난 총선에서 각각 민정당, 공화당 후보로 맞붙은 현역 의원인 민자당 이응선 후보와 국민당 조일현 후보의 재대결이 이뤄졌다. 조일현 후보는 4년 전 13대 총선에서 만 32세의 젊은 나이에 민주당-평민당을 제치고 2위를 해 정치적 미래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나름 선전했는지 총선 이후 김종필 총재까지 참석해 성대한 지구당 개편대회를 열었으나, 3당 합당 이후 무소속으로 남아있다가 국민당에 의해 영입되었다.


2.9. 춘천군·양구군·인제군[편집]


춘천군·양구군·인제군
춘천군 일원, 양구군 일원, 인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민섭(李敏燮)25,0841위
44.62%당선
2허경구(許景九)6,9943위
12.44%낙선
3홍종욱(洪鍾旭)22,2182위
39.52%낙선
4박영석(朴營奭)1,9104위
3.39%낙선
선거인 수70,671투표율
80.9%
투표 수57,156
무효표 수950

현역 의원인 민정당 이민섭 의원에 맞서, 국민당은 11대, 12대 의원을 지낸 교육자 출신 홍종욱 후보를 공천했다. 민주당도 역시 11대, 12대 의원을 지낸 허경구 후보를 공천했다. 허 후보는 13대 총선때 송파구 갑 선거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해 낙선했지만, 이번에 본인의 고향인 인제군이 포함된 이 선거구로 복귀하면서 다시 강원도에 출마 복귀하게 되었다.

선거는 이민섭-홍종욱 후보의 양강 대결 구도로 진행되었다. 두 후보의 고향이 있는 춘천군은 1% 이내의 박빙 결과가 나왔지만, 민자당 이민섭 후보가 양구, 인제에서 격차를 벌리며 5% 차이로 승리했다.


2.10. 횡성군·원주군[편집]


횡성군·원주군
횡성군 일원, 원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경수(朴炅秀)22,5341위
42.91%당선
2김천희(金天熙)5,2393위
9.97%낙선
3김용호(金龍鎬)18,2402위
34.73%낙선
4엄재선(嚴在善)2,1595위
4.11%낙선
5정봉철(鄭鳳澈)4,3345위
8.25%낙선
선거인 수69,207투표율
76.99%
투표 수53,280
무효표 수774

민주계 현역 의원인 민자당 박경수 후보에 맞서, 지역 연고가 있는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국민당은 전직 4선 의원인 김용호 후보를 내세웠다. 다만 3공, 4공시절의 인물이라 의원직을 마친지도 10년이 넘었다.

원주군과 횡성군 모두 9개월 뒤 치러진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당 정주영 후보가 민자당 김영삼 후보를 누를 지역이지만, 그래도 현역 의원의 관록이 먹혔는지 9개월 전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자당 박경수 후보가 8% 차이로 승리했다.


2.11. 영월군·평창군[편집]


영월군·평창군
영월군 일원, 평창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명보(沈明輔)27,4061위
46.63%당선
2김경래(金敬來)13,2043위
22.46%낙선
3신민선(辛敏善)15,3392위
26.10%낙선
4이상춘(李常春)1,1255위
1.91%낙선
5박영훈(朴英勳)1,6964위
2.88%낙선
선거인 수75,271투표율
78%
투표 수59,659
무효표 수889

4년 전 선거와 마찬가지로 현역 의원인 민자당 심명보 후보가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되었다. 다만 4년 전과 똑같이 평창군 북부 지역은 김경래 후보가 승리했다. 이번에는 공천을 받아 민주당 후보로 나왔다.

심명보 후보는 당선 직후 암투병을 시작하고 임기중인 1994년 5월 24일 향년 59세로 별세한다.


2.12. 정선군[편집]


정선군
정선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우병(朴佑炳)16,9301위
42.91%당선
2안영배(安榮培)9,0863위
23.03%낙선
3엄영달(嚴永達)9,5442위
24.19%낙선
4정연송(鄭然松)4575위
1.15%낙선
5정운환(鄭云煥)3,4344위
8.70%낙선
선거인 수51,818투표율
77.04%
투표 수39,922
무효표 수471

4년 전과 마찬가지로 박우병-엄영달 두 후보의 대결이 펼쳐졌다. 3당 합당 이후 각각 민정당, 민주당 소속이었던 두 정치인은 한솥밥을 먹지만, 공천장은 현역 의원인 박우병씨에게 돌아갔다. 엄영달 전 의원은 이에 불복해 강원도 연고력이 있는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창당한 국민당 후보로 출마한다.

민자당 박우병 후보가 4년 전보다 훨씬 더 큰 격차로 압승했다. 엄영달 전 의원은 결국 이번 선거를 마지막으로 정계를 은퇴하고 이민을 갔고 이민지에서 사망한다. 한편, 4년 전에 비해 정선군의 유권자 수는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으로 인해 약 7만 3000명에서 5만 2000명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2.13. 속초시·고성군[편집]


속초시·고성군
속초시 일원, 고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재철(鄭在哲)27,5981위
45.13%당선
2함종빈(咸鍾贇)2,8625위
4.68%낙선
3김용현(金龍現)17,4222위
28.48%낙선
4조영두(趙榮斗)5,6264위
9.20%낙선
5최정식(崔正植)7,6443위
12.50%낙선
선거인 수76,441투표율
80.97%
투표 수61,897
무효표 수745

민자당에서는 현역 의원인 민주계 최정식 의원과 4년 전 총선에서 최 의원에게 패한 민정계 정재철 전 의원간의 공천경합 결과, 최종적으로 정 전 의원이 공천을 받았다. 최정식 의원은 이에 불복,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개표 결과, 민자당 정재철 후보가 여유있는 표차로 승리하면서 4년만에 국회에 복귀한다. 무소속 최정식 후보는 국민당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로 내려앉았다. 전직 의원인 민주당 함종빈 후보는 4위로까지 내려앉았다.


2.14. 철원군·화천군[편집]


철원군·화천군
철원군 일원, 화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재순(金在淳)15,8551위
36.48%당선
2김철배(金澈培)4,4204위
10.17%낙선
3이경희(李庚熙)14,2112위
32.70%낙선
4이용삼(李龍三)8,9673위
20.63%낙선
선거인 수54,549투표율
80.80%
투표 수44,074
무효표 수621

국회의장을 지내고 7선에 도전하는 여당 정치거물 김재순 후보가, 정주영 회장의 고향인 강원도에 분 국민당 바람에다가 검정고시출신으로 사법시험에 합격한 신화를 이룬 검사 출신 정치신인 무소속 이용삼 후보의 도전까지 받아 힘겨운 승부를 치렀다.

결국 40%도 안되는 득표율로 힘겹게 당선은 되나, 이후 재산공개 파동에 휘말리면서 1년만에 의원직을 사임한다. 민자당은 이후 보궐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이용삼 후보를 영입해 지역구를 사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