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개인전/결승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개인전




1. 개요
2. 장소
3. 타이틀 영상
4. 경기 전
5. 7월 22일 (토) 경기 진행
5.1. SET 1: 8강
5.2. SET 2: 1대1 대결
6. 결승전 결과표
6.1. Round 1 결과
6.2. Round 2 결과
7. 경기 후


1. 개요[편집]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의 개인전 결승전 경기 내용을 기록하는 문서.

1라운드는 80점 선취제로, 1위가 80포인트를 이상을 획득하면 종료되며, 그 이후 2라운드에서 상위 두 명이 1:1 경기를 진행한다. 각 트랙 별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순위1st2nd3rd4th5th6th7th8thRetire
포인트10754310-1-5

경기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
1 SETSet 2 진출입상
300만원
탈락 및 상금 100만원 지급

경기 종료시 동점자가 발생할 경우, 2세트 진출자 결정전 한정으로 1라운드가 진행된 트랙에서 재경기를 실행한다. 그 외의 경우는 마지막 트랙 순위를 기준으로 순위를 결정한다.[1]

1세트 첫 트랙은 개인전에 사용되는 트랙 중 추첨으로 결정되며, 다음 트랙은 직전 라운드의 1위가 남은 트랙들 중 선택한다. 직전 라운드에서 공동 1위가 나온 경우, 해당 선수 중 누적 포인트가 가장 높은 선수가 트랙을 선택하고, 누적 포인트도 동률인 경우 남은 트랙 중 하나를 추첨한다. 한 번 사용되었던 트랙은 다시 선택할 수 없으며, 모든 트랙이 1번씩 사용된 후에는 리셋되어 다시 12개의 트랙에서 선택을 이어나간다.

2세트 첫 트랙은 1세트 1위 선수가 결정하며, 이후 트랙은 직전 라운드 패자가 남은 트랙들 중 선택을 이어나간다. 마찬가지로 한번 사용되었던 트랙은 다시 선택할 수 없다.[2]

2. 장소[편집]


{{{+1 {{{#white 비타500 아프리카TV 콜로세움}}}}}}
최대 수용인원 - ???명


3. 타이틀 영상[편집]


타이틀 영상

4. 경기 전[편집]


결승전 참가 선수
(16강 → 결승전)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KDF4명 / 4명SPEAR, Cool , World, SUNGBIN
전원 생존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SB2명 / 3명HyunSu, JiMin, NEAL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ROX1명 / 4명JJONG, Spell, Duzzi, DDING
파일:KDL_Aura_white_logo.png AR1명 / 2명Hero, Luning
파일:KDL_Sensation.png SST0명 / 2명HoJun, Joker
무소속0명 / 1명Most
1. 취소선은 탈락을 의미함.[3]
2. 참가 인원은 '결승 진출자 / 16강 진출자'로 표기함.
3. 팀 프로젝트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팀전에 출전하지 않은 선수들은 무소속으로 취급함.
4. 결승 진출 선수 이름에 해당하는 이미지 컬러를 입혀줄 것.

  • DDING (이명재) - 전 시즌 결승 블루 레이서에서 이제는 결승 옐로우 레이서가 될 정도로 KDL 전환 이후 많은 성장을 보여준 DDING이다. 분명 16강 경기때만 해도 많은 사람들이 DDING의 결승 직행은 불가능할 것이라는 의견이 대다수였고 그 여정조차 결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다. 그러나 그 우려가 DDING에게는 우습다는 듯 승자전에서 저돌적인 모습으로 결승전 탑 시드를 획득해냈다. 이제 다가오는 결승에서는 DDING만의 기량을 잘 발휘하여 우승까지 따내는 반전을 기대해봐도 좋을 것이다.

  • SPEAR (유창현) - 전 시즌 32강 광탈의 좌절을 딛고 이번 결승 블랙 레이서로서 만나게 되는 SPEAR다. 이전에도 결승전 단골 손님이었으나 2022년 되면서 아예 결승 진출 실패 또는 결승전 성적이 갈수록 하락하는 등 2021-1 시즌 우승자의 자존심이 구겨진 적도 많았다. 그러나 2022-SC 이후 다시 결승 직행에 성공하고 듀얼레이스1 이후로 무려 6년 9개월만에 블랙 시드를 받은 만큼, 약 2년만에 다시 한 번 더 우승컵을 들어올리기 위한 여정이 시작될 것이다.

  • World (노준현) - KDF의 주장이자 에결 최강자, 스피드전의 제왕급으로 우뚝 서게 된 World다. 2022-1 시즌 이후 오랜만에 결승 직행에 성공하였고 이번 결승에서 레드 레이서가 되었다. 그렇기에 상위권 시드로서 이름값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 또는 결승전 중위권 징크스를 깨고 입상권에 당당히 이름을 랭크하기 위해서 World만의 남다른 주행 센스와 퍼포먼스를 결승에서 어떻게 보여줄 것인지 궁금증을 자아낸다.

  • JiMin (김지민) - 곡예사라는 오명은 이제 벗어 던지고 선수 생활 처음 결승 직행에 성공한 JiMin이다. 첫 결승 직행에 결승전 화이트 레이서가 되었는데 그동안 블루, 오렌지 등의 하위권 컬러라는 이미지로만 생각해서는 안될 것이다. 아직 전작 포함 입상 기록이 없는 JiMin이기에 이번 결승에서 좋은 폼만 유지하면 첫 커리어 입상을 화이트 시드로 성공해내는 가치 있는 일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잘 준비해온다면 문제는 전혀 없어보인다.

  • SUNGBIN (배성빈) - 2022-1 시즌 이후 정말 오랜만에 퍼플 레이서로 돌아온 SUNGBIN이다. 개인전에서 유달리 기복이 심해 본인의 역량을 잘 발휘하지 못 해왔던 SUNGBIN이었지만 양대 결승 무대를 약 1년 반만에 다시 밟아보는 만큼, 부진했던 예전 모습을 과감히 떨쳐내고 첫 우승컵을 들기 위한 질주를 보여줄 예정이다. 또한 요즘들어 퍼플의 자리가 기운이 좋기 때문에 컬러의 기운도 잘 이어갈 수 있을지 지켜봐도 좋다.

  • Cool (이재혁) - 전 시즌 첫 우승자로서, 2020-1 시즌 이후 약 3년만에 그린 레이서로 돌아온 Cool이다. 근 3년 가까이 동안 승자전에서 결승전으로 직행했던 Cool이었지만 모처럼 최종전을 거쳐 결승으로 힘겹게 왔는데 그 과정만큼은 실로 Cool답지 못 했다고 할 수 있겠다. 다가오는 결승에서는 전 시즌 우승자의 포스를 재현시켜야 하며 2연속 왕관을 쓸 수 있을 것인지 귀추가 주목되는 바이다.

  • NEAL (리우창헝) - 2022-2 이후로 3연속 퍼플 레이서였다가 이번 결승은 새로운 컬러인 블루 레이서로 달리게 된 NEAL이다. 2022-2 첫 우승 당시처럼 "KDL 최초 외국인 우승자" 타이틀에 다시 한번 더 도전하며 승자전에서는 존재감이 없었지만 최종전 후반 뒷심과 위기의 순간에 기지를 발휘하는 NEAL의 플레이 스타일로 작년 로열로더의 영광을 되찾을 수 있을 지에 대해 많은 팬들이 응원하고 있다.

  • Luning (홍성민) - 원작 리그 신흥 강자이자 그 아무도 예상 못 한 오렌지 레이서, Luning이다. 강력 결승 유력 후보 JJONG, HoJun, Hero 등 걸출 선수들을 자기 발 밑에 두며 결승에 올라가는 대이변을 만들어냈다. 결승전에서마저 Luning이 1위를 차지해버리는 충격과 감탄을 선사한다면 앞으로 KDL을 이끌어가는 빅3 일원 중 1명이 될 수도 있을 가능성을 점점 불러일으키고 있으니 실전에서 기죽지 말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

  • 여담 - 광동 프릭스 4명 모두가 개인전 결승에서 만나게 되면서 HOME SIDE 내의 SUNGBIN, World 2명이 같은 팀 소속으로 붙어 앉기 때문에 NEAL이 둘 사이에 앉아야 한다. 또한 SUNGBIN만이 유일한 패자전 출신이며 나머지는 승자전 출신 멤버들이다.[4]

개인전 결승전
선수
DDINGSPEARWorldJiMinSUNGBINCoolNEALLuning
전체 평균 점수
16강 순위승자전 1위승자전 2위승자전 3위승자전 4위최종전 1위최종전 2위최종전 3위최종전 4위

  • 자리 배치
HOME 사이드AWAY 사이드
DDINGWorldNEALSUNGBINLuningCoolJiMinSPEAR

5. 7월 22일 (토) 경기 진행[편집]



5.1. SET 1: 8강[편집]


KDL 프리시즌 2 결승전
경기트랙이명재
DDING
유창현
SPEAR
노준현
World
김지민
JiMin
배성빈
SUNGBIN
이재혁
Cool
리우창헝
NEAL
홍성민
Luning
01월드 뉴욕 대질주3rd 56th 12nd 74th 48th -11st 107th 05th 3
02월드 리우 다운힐2nd 126th 25th 108th 31st 97th 104th 43rd 8
03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1st 227th 26th 113rd 85th 128th 94th 82nd 15
04광산 3개의 지름길6th 234th 63rd 165th 112nd 197th 98th 71st 25
05광산 아슬아슬 궤도전차7th 232nd 135th 198th 104th 231st 196th 83rd 30
06사막 오래된 송수관6th 243rd 188th 184th 142nd 305th 227th 81st 40
07WKC 브라질 서킷5th 273rd 234th 227th 146th 311st 322nd 158th 39
08포레스트 지그재그8th 261st 334th 266th 155th 343rd 372nd 227th 39
09WKC 코리아 서킷2nd 334th 378th 256th 167th 345th 401st 323rd 44
10광산 꼬불꼬불 다운힐4th 375th 401st 358th 156th 357th 403rd 372nd 51
11사막 빙글빙글 공사장6th 383rd 451st 455th 187th 354th 448th 362nd 58
12빌리지 붐힐 터널5th 412nd 524th 497th 183rd 406th 451st 468th 57
13광산 꼬불꼬불 다운힐2nd 484th 566th 508th 173rd 451st 555th 497th 57
14월드 뉴욕 대질주7th 486th 578th 494th 212nd 523rd 601st 595th 60
15WKC 브라질 서킷7th 482nd 645th 528th 206th 534th 641st 693rd 65
16WKC 코리아 서킷7th 485th 678th 516th 213rd 582nd 714th 731st 75
17월드 리우 다운힐6th 493rd 721st 618th 207th 582nd 784th 775th 78
18사막 빙글빙글 공사장5th 524th 768th 602nd 273rd 637th 781st 876th 79

사용 카트바디
선수이명재
DDING
유창현
SPEAR
노준현
World
김지민
JiMin
카트바디버스트 (Burst)
선수배성빈
SUNGBIN
이재혁
Cool
리우창헝
NEAL
홍성민
Luning
카트바디버스트 (Burst)

결승전 1SET 결과
순위선수포인트결과비고
1stNEAL872인전 진출
FINALS SET 2
2ndLuning79
3rdCool78탈락
BE ELIMINATED
상금 ₩ 3,000,000
4thSPEAR76상금 ₩ 1,000,000
5thSUNGBIN63
6thWorld60
7thDDING52
8thJiMin27

파일:KDL 프리시즌2 결승.jpg

하이라이트 영상
ROUND 1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ULL 영상

  • 경기 후
초장기전 타이-기록인 18트랙을 돌고서야 경기가 마무리되었다. 18트랙 기록은 원작 리그를 포함해도 16년 전인 5차 리그 이후 최초로,[5] 70점대로 마무리한 선수가 4명,[6] 8위를 제외한 모두가 종합 50점을 넘길 정도로 오늘 경기가 치열했음을 알 수 있다.
  • 선수별 평가
NEAL (리우창헝) - 명실상부 개인전 8인전의 달인이자 전 시즌 결승 1세트와는 또 다른 느낌의 1세트 1위. 초반에 점수를 못 먹으며 종합 8위에 오래 랭크되며 힘겨웠던 최종전의 전철을 밟는가 했는데, 7트랙 2위를 시작으로 후반부로 갈 수록 점점 포디움 횟수를 늘려가며 순위를 올려 결국 마지막 트랙 1위로 종합 1위로 마무리하는데에 성공하였다. 전 시즌에는 초반에 점수를 휘몰아치며 1위를 수성했다면 이번에는 8위에서 1위로 거슬러 올라오는 능력을 보여주며, 80점제에서의 NEAL이 얼마나 강력한지를 보여주었다.[7]
Luning (홍성민) - 우승 경력이 아예 없었던 오렌지 컬러에 드디어 새 역사를 써내려갈 기회가 생겼다. 6트랙만에 40점을 먼저 찍더니, 초반부부터 점수를 잘 쌓아가며 일찌감치 종합 1위를 랭크하는 데에 성공했다. 중반부 다소 부진하면서 그동안 첫 결승이었던 선수들이 자주 보여주던 뒷심 부족을 보여주나 햇으나, 그런 상황마다 다시 점수를 쌓는데에 성공하며 결국 1점 차이로 2세트 진출에 성공하였다.
Cool (이재혁) - 마지막 한 순위 1점 차이로 2인전 진출에 실패한 뼈아픈 케이스. 중반부부터 뒷심을 발휘하며 17트랙 종료 후 Luning과 함께 78점 공동 1등이었으나, 마지막 트랙에서 종합 3위 77점이었던 NEAL은 1위 완주, 동점이던 Luning은 6위, 본인은 7위로 한 순위 아래로 들어오면서 결국 2인전 진출에 실패했다. 2020-1 시즌 트리플 79 3자동률 상황에서 SPEAR 한 순위 아래로 완주하며 2인전 진출에 실패했던 InSoo 선수를 연상시켰다는 반응이 많았다.[8]
SPEAR (유창현) - 과정은 나쁘지 않았으나 결과는 다소 아쉬워졌다. 초반 시작이 불안했으나 중반부부터 2인전 경쟁권에 합류하는데에 성공하며 기대를 받았으나, 1사이클의 광꼬에서 마지막 레일에서 떨어지며 1위에서 5위까지 떨어진 것의 스노우볼이 결국 후반까지 굴러가면서 4위로 마무리하였다. 그 7점이 있었으면 2인전 진출이 확정이었던 만큼 더욱 아쉬운 상황.
SUNGBIN (배성빈) - 어느 정도 그럭저럭 선전해준 결과. 초반에는 제법 점수를 잘 먹으면서 2세트 진출까지 노려볼만한 점수를 오랜 시간 지켜냈으나, 중반부부터 힘이 빠지며 점점 입상권에서 멀어지기 시작했다. 8인 중 제일 연금메타의 정석을 보여줬지만 연금메타로는 결승전에서 무리라는 것. 그래도 그동안 결승에 진출했을 때 3위 입상 또는 7~8위를 기록하며 극과 극이 갈린 것과 달리 후반부에 어느 정도 점수를 다시 쌓으면서 5위로 마무리한 점이 80점제 운영에 대한 큰 경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World (노준현) - 팀전과 달리 갈수록 개인전에서 부진하고 있다. 조용히 꾸준히 점수를 먹기는 했으나 초중반을 지난 후에는 1위 또는 4위 이하라는 다소 기복이 있는 완주 순위로 입상권의 종합순위는 계속 노려볼 만한 점수에만 갔을 뿐 제대로 들어가지는 못하며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다.
DDING (이명재) - 전 시즌의 재림이나 그래도 한 순위 올리는데 성공했다. 초반에는 3연속으로 포디움에 들며 승자전의 좋은 기세를 이어가나 했으나, 이후에는 2위 2번 4위 1번을 제외하면 모두 5위 이하의 하위권으로 완주하며 결국 힘이 빠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승자전 때의 좋은 폼을 생각하면 여러모로 아쉬울 만한 모습이었지만 그래도 점점 커리어 하이를 써내려가는 점에서는 높게 평가받을 만하다.
JiMin (김지민) - 이번 결승전에서 제일 안타까웠던 선수. 상위권 싸움에서도 자주 보였으나, 결국 최종적으로 완주를 할 때는 결국 하위권으로 밀리는 모습이 보였다. NEAL이 종합 8위인 상황에서 7위로 JiMin 선수를 역전한 이후부터 종합 8위를 벗어나지 못 했고, 20점 전후의 점수가 계속 유지되면서 2위 경쟁과는 일찌감치 멀어지고 말았다.

  • 특이사항 - 하위권 시드 6~8번 3인이 입상권에 들었으며 2019-2 이후로 승자전에서 결승 직행 선수 4인 전원이 입상에 실패했다. 때문에 2인전 진출 역사가 없었던 오렌지 레이서가 드디어 첫 우승을 노려볼 기회가 생기게 되었다.[9] 또 하나 공교롭게도 3위부터 6위까지는 모두 KDF 소속 선수들이 차례대로 차지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모든 선수들이 버스트 카트바디로 통일했으며 JiMin을 제외한 나머지 7인 모두가 1위를 1번 이상 골고루 했다.

5.2. SET 2: 1대1 대결[편집]


1 대 1 결승전
NEAL트랙Luning
TRACK 1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Glacier: Extreme Stadium
(버스트)
파일:카드맆-아이스_익스트림_경기장2.png
(버스트)
TRACK 2
WKC 브라질 서킷
WKC: Brazil Circuit
(버스트)
파일:카드맆-WKC_브라질_서킷.png
(버스트)
TRACK 3
월드 뉴욕 대질주
World Tour: New York Rally
(버스트)
파일:카드맆-월드_뉴욕_대질주.png
(버스트)
TRACK 4
광산 아슬아슬 궤도전차
Mine: Rickety Rails
(버스트)
파일:카드맆-광산_아슬아슬_궤도전차.png
(버스트)
1결과3
준우승
500만원
상금우승
1000만원

하이라이트 영상
ROUND 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ULL 영상

경기별 정리
1경기: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 초반 2연 원통 기둥에서 NEALLuning에게 몸싸움을 걸려다가 실패하고 본인이 꽂히면서 거리가 크게 벌어졌다, 견인으로 NEAL이 2랩 원통 구간을 지난 후 붙는 데에 성공했으나, 이후 구간에서 다시 긁으며 빌드를 크게 잃고 결국 추격할 방법을 잃으며 Luning이 첫 트랙을 따온다.
2경기: WKC 브라질 서킷 : 1랩에서는 앞서가던 NEAL과 쫓아가던 Luning의 빌드가 서로 갈리면서 작업을 당하지 않겠다는 듯이 서로 주행 싸움을 벌이다 1랩 마지막 지름길에서 드래프트를 받은 Luning이 앞을 잡는데에 성공하였다. NEAL이 약간의 스탑을 방어해가며 뒤에서 쫓아가다가 2랩 두더지 빌드 구간에서 역전에 성공했으나, Luning이 1랩과 같은 구간에서 다시 역전에 성공했고, 닐이 드래프트를 받기 위해 빌드 손해를 감수하고 직진으로 들어갔으나 드래프트가 터지지 않으면서 2:0으로 Luning이 리드한다.
3경기: 월드 뉴욕 대질주 : NEAL이 초반부터 약간 불안한 듯한 주행을 보이긴 했으나 빌드 손해는 없이 Luning의 뒤를 드래프트 거리 안에서 쫓아가는 것에 집중했고, Luning 역시 무난하게 주행하는 것에 집중했다. 공원 구간에서 Luning이 2번의 스탑을 걸었으나 NEAL이 잘 흘려냈고, 이후 타임스퀘어 구간에서 Luning이 부스터를 모으는 사이에 NEAL이 역전하였다. 이후 마지막 원끌기 구간에서 Luning이 드래프트를 받긴 했으나, NEAL이 좋은 감속으로 0.016초라는 근소한 차이로 앞서 들어오는 데에 성공하였다.
4경기: 광산 아슬아슬 궤도전차 : 1랩 레일 구간과 유턴 구간을 지난 후 Luning이 약간의 스탑을 통해 NEAL의 충돌을 만들어냈으나, 2랩 첫 코너에서 긁으면서 다시 NEAL이 앞을 잡는 것에 성공했다. NEAL은 특별한 스탑 없이 주행했고, Luning이 그 결과 3랩 진입하면서 드래프트로 역전하는 데에 성공했다. 이후 서로 드래프트로 역전, 다시 드래프트로 재역전을 반복하며 결국 레일에는 Luning이 먼저 진입했고, NEAL은 레일에서 받은 드래프트로 쫓아간 후 마지막 우회전 구간에서 역전에 성공하였다. 이대로 NEAL이 들어가는 듯 했으나, 길이 좁은 구간인 만큼 역전 직후부터 Luning에게 드래프트가 모인다는 게이지가 들어왔고, 그 마지막 드래프트로 Luning이 왼쪽으로 숏드립을 치던 NEAL의 오른쪽으로 피해 결승선 약 20미터 전에서 역전에 성공, 근소한 차이로 먼저 들어오면서 결국 경기를 종료시켰다. [10]
총평
* 오렌지 레이서가 써낸 새로운 여름밤의 기적. 22-2 당시 에이스 결정전에서 Cool을 잡아내는 이변을 일으키기는 했으나 아직까지는 빅네임급은 아니라는 평가를 받았던 Luning. 하지만 이러한 저평가들을 이겨내고 데뷔 첫 결승에서 주눅들지 않는 모습을 보였고, 개인전의 달인이라 평가받는 NEAL을 격침시키며 마침내 오렌지 레이서의 첫 우승과 본인의 커리어 첫 우승을 개인전에서 완성하였다.[11]
특이사항

6. 결승전 결과표[편집]



6.1. Round 1 결과[편집]


순위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
선수NEALLuningCoolSPEARSUNGBINWorldDDINGJiMin
점수87점79점78점76점63점60점52점27점
결과2인전 진출3위
입상
탈락 및 상금 100만원 지급


6.2. Round 2 결과[편집]


Round 2
준우승NEAL13Luning우승

7. 경기 후[편집]


Luning개인전에서 드디어 사고를 쳐버리고 말았다. 선수 커리어 첫 개인전 결승에서 1위 달성에 성공했고, 전작 포함 최초 오렌지 레이서 우승자라는 명예를 얻어냈다![12] 덕분에 정규시즌부터 프로팀 소속으로 참가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게 되었다.

NEAL의 결말은 다소 아쉬웠다. 프리시즌 1의 데자뷰처럼 보일 정도로, 1세트에서 1위로 잘 올라가놓고 2세트에서 번번이 상대에게 마지막 드래프트를 허용하며 역전당하는 것까지 비슷했다.마치 그사람이 떠오르는...

Cool그린 레이서만 되면 이상하게 3-4위에서 맴도는 안 좋은 징크스가 생기고 말았다. 디펜딩 챔피언의 저력을 보여주는 듯 했으나, 마지막 한 끗에서 결국 모자라면서 입상으로 마무리하는데에 그치고 말았다.

Cool 이외에도 광동 프릭스 3은 나란히 순위를 맞춰 끝내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중요한 위치에는 오르지 못했다. SPEARSUNGBIN은 2인전 진출 순위라도 중간에 찍어봤지, World는 그마저도 애매하게 하지 못하며 결국 셋 다 아쉽게 결승전을 마무리지어야했다.

DDING은 전 시즌보다 한 순위 올리는 선에서 그쳐야 했다. 승자전의 좋은 폼이 정작 결승전에서는 제대로 나오지 못하였다. 그래도 2연속 결승 진출이고 7위라는 커리어 하이와 톱 시드 옐로우 레이서라는 점은 변함이 없으며 52점 역시 하위권 치고는 고득점인 편이기 때문에 나름대로 선방해준 편이다.

JiMin은 전 시즌 Knock을 보는 듯 했다. 프리쇼에서 저번 프리시즌 1 결승전 화이트 레이서를 32강 타이브레이크에서 꺾고 올라와 그의 의지를 잇는다는 말이 있었는데, 그 말이 씨가 됐는지 상위권을 제대로 먹지 못하고 하위권으로 마무리하는 것까지 이어버리고 말았다.

지난 프리시즌1 결승은 물론, 2021-SC, 5차 리그의 데자뷰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2:49:38에 나무위키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개인전/결승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즉 3,4위를 가리는 동점자가 나오면 재경기는 실시하지 않고 1세트 마지막 트랙에서 가장 일찍 들어온 선수가 3위를 가져간다. 또한 1세트 1,2위가 동점이 되어도 마지막 트랙에서 결승점을 더 일찍 골인한 선수가 1세트 1위를 차지한다.[2] 트랙 목록은 규정을 참고.[3] 탈락자가 확정되는 대로 취소선을 그어 줄 것. 탈락자는 16강 패자전 경기부터 정해진다.[4] Hero는 3자 타이브레이크까지 갔으나 탈락했다.[5] 놀랍게도 그때도 마지막 트랙은 사빙공이었다.[6] 점수가 78-78-77-72라서, 80점을 넘기고도 입상조차 불가능하는 경우의 수도 있었다. 다행히도(?) 80점을 넘은 선수는 1명이 전부였지만.[7] 이러한 점은 8차 리그 김진희, 2019-2 시즌 박도현의 모습과도 오버랩된다. 심지어 세 선수 페인트도 블루 라이더인건 덤.[8] 80점제에서 78점을 가장 먼저 채우고도 2인전 진출에 실패했다.(...)그런데 17트랙까지 3위가 77점, 4위가 72점이었다.[9] 전작 포함 오렌지 시드는 우승은 커녕 2위도 1회뿐이었다.[10] NEAL은 들어오면서 '이게 뒤집혔다고?'하는 듯한 표정을 지었다. 앞선 팀전 8강 에결에서는 드래프트로 역전을 일궈냈지만, 이번엔 가장 중요한 일리미네이션 게임에서 역전을 당했으니... NEAL 입장에서는 그 허탈함이 배가 되었을 것이다.[11] 프리시즌이라 정규 커리어로 인정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정규시즌을 기대하게 만든 결과라고 볼 수 있다.[12] KRPL오렌지 레이서 우승자가 있으나 드리프트는 전작이랑 가깝기에 예외로 친다. 그리고 KRPL은 캐릭터별로 사용할 수 있는 컬러가 제한되어 있는데 주황색 폐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가 없어서인지 오렌지가 아닌 핑크 컬러를 사용한 것이 차이점이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