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표영준(독립운동가)

덤프버전 : r20200302



1. 강동군 출신 독립운동가, 표영준
2. 청양군 출신 독립운동가, 표영준


1. 강동군 출신 독립운동가, 표영준[편집]


건국훈장 독립장(單章) 수훈자 파일:건국훈장독립장약장.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건국훈장독립장.jpg
강경선강기덕강기운강영소강진원계봉우
고광순고두환고이허곽재기곽종석구연영
궈타이치권기옥권오설권인규권준기산도
기삼연기우만길선주김단야김대지김덕제
김도원김도현김동식김마리아김법린김병로
김복한김상덕김상옥김석김석진김석황
김성숙김수민김순애김승학김약연김원국
김원범김인전김정익김중건김진묵김철
김철수김학규김한종김혁김홍일김희선
나월환나창헌나철나태섭남궁억남정각
노병대노응규노태준류인식마수례마진
명제세문석봉문양목문일민문일평문창학
민양기민필호박건웅박상진박시창박인호
박장호박재혁박차정박찬익박희광반하경
방순희백기환백남규백일규백정기서영석
서일석호필선우혁손정도송계백송병선
송병조송종익송진우송학선송헌주신숙
신언준신팔균신현구심남일안경신안공근
안규홍안명근안무안승우안춘생안태국
안희제양근환양기하양세봉양우조양진여
엄항섭여준연병호염온동오강표오광심
오면직오성술오영선오의선우덕순우재룡
원심창유관순유근유동하유림유석현
유일한윤동주윤병구윤세복윤세주윤자영
이갑이강이강훈이광민이규갑이남규
이만도이명하이상룡이상정이석용이설
이성구이수흥이애라이윤재이원대이의준
이인이장녕이재유이재현이종건이종희
이준이준식이중언이진룡이진무이춘숙
이탁이회영이희승임병찬임치정장도빈
장지연장진홍장태수장형전덕기정이형
정인보정인승정태진정현섭조경한조동호
조명하조병옥조병준조시원조지 쇼주기철
차이석차희식채기중채응언최양옥최용덕
최재형최중호최팔용표영준한성수한시대
함석은함태영한상렬한징한훈현익철
현정건호머 헐버트홍언홍원식홍진홍학순
황병길황병학황상규황현




성명표영준(表永俊)
이명최승환(崔昇煥, 崔承煥)
생몰1896년 ~ ?
출생지평안남도 강동군
사망지미상
추서건국훈장 독립장

표영준은 1896년경 평안남도 강동군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3월에 여행렬(呂行烈), 김상만(金相萬), 주석환(朱錫煥) 등과 함께 만주로 건너갔고, 국내에서의 항일활동 계획을 논의한 뒤 동년 11월에 유성삼(劉成三)과 함께 권총을 가지고 돌아왔다. 그리고 1920년 3월 김석황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파견되어 오자, 그는 김석황으로부터 군자금을 지원받고 평양의 기휼병원에서 결사의용단을 조직했다.

1920년 5월, 표영준은 기휼병원에서 지부장 및 간부회의를 열고 의열투쟁을 전개할 것을 결의했다. 같은 해 8월 3일, 광복군총영이 미국 의원단 일행이 조선을 방문하는 걸 기회로 삼아 한국인의 독립의지를 전세계에 보여주기로 결정하고 김영철(金榮哲)을 단장으로 하는 결사대 10여 명을 파견했다. 표영준은 이들과 연계하여 평남도청, 평양시청, 평양경찰서 등을 폭파할 계획을 세웠다.

8월 3일 오후 9시 30분, 표영준은 여행렬과 함께 평양경찰서에 폭탄을 던졌지만 불발되었고, 평양성 서쪽의 칠성문으로 도주하던 중 일본 경관의 검문을 받자 권총을 쏴 죽게 만들었다. 이후 8월 20일 오후 6시경 평남경찰부장이 탄 자동차가 부벽루 앞을 지나자 총격을 가해 운전수를 부상시켰다. 이후 8월 22일 오후 2시에 기휼병원에서 다음 거사 계획을 구상했으나 도중에 일본 경찰의 습격을 받고 체포되었다.

이후 1921년 2월 22일 평양복심법원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평양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그는 8.15 해방 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연도와 날짜는 알 수 없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표영준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2. 청양군 출신 독립운동가, 표영준[편집]


성명표영준(表永俊)
생몰1884년 4월 26일 ~ 1948년 11월 21일
출생지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대박리
사망지충청남도 청양군
추서대통령표창

표영준은 1884년 4월 26일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대박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4월 5일 청양군 정산시장에서 발생한 독립만세시위에 참가했다. 그러던 중 헌병대가 30여 명의 시위 참여자를 강제 연행하자, 그를 비롯한 시위대는 분노하여 피검자 석방을 요구하며 헌병주재소로 쇄도했다. 이때 향교 직원 권흥규(權興圭)가 일본의 철수를 주장하며 격렬히 항거하다 일본 헌병이 쏜 총탄에 맞아 즉사했다.

4월 6일, 1천 명의 주민들은 권흥규의 시신을 고향으로 운구하면서 태극기를 흔들고 운구행렬에 동참했다. 이때 공주에서 지원 나온 일본 헌병들이 운구 행렬에 무차별 사격을 가해 수많은 사상자를 양산시켰다. 이때 표영준은 운구행렬에 참가했다가 일본 경찰에게 체포되어 1919년 4월 24일 보안법 위반 혐의로 청영헌병분견소에서 태형 90도를 선고받았다. 이후 고향에서 조용히 지내던 그는 1948년 11월 21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4년 표영준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