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화 이글스/2022년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9861987198819891990
7위6위2위
2위
4위
19911992199319941995
2위
2위
5위3위
6위
19961997199819992000
4위
7위7위1위
{{{#ffffff PO}}}
[[1999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7위
20012002200320042005
4위
7위5위7위4위
20062007200820092010
2위
3위
5위8위8위
20112012201320142015
6위8위9위9위6위
20162017201820192020
7위8위3위
9위10위
20212022202320242025
10위10위9위
: 우승: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 2021 시즌한화 이글스
2022 시즌
2023 시즌 ▶
||

파일:한화이글스2022슬로건.png

OUR TIME HAS COME : 2022
순위승률승차
10 / 10462960.32443.0
2022년도 한화 이글스 홈경기 누적 관중수
(관중수 확인: KBO 관중현황)
구장경기전체 관중평균 관중총 관중 순위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72358,1904,9759
청주종합운동장 야구장편성된 경기 없음
2022 시즌 유니폼 정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22평일홈.jpg파일:한22주말홈.jpg파일:한22평일원정.jpg파일:한22주말원정.jpg파일:한화 2022 밀리터리 유니폼.jpg
평일 홈주말 홈평일 원정주말 원정밀리터리 유니폼
파일:한화 유니폼 제작사.png파일:22한화모자.png파일:22한화헬멧광고.png파일:22한화광고전후면.jpg파일:22한화사이드.png
제작사모자 스폰서헬멧 스폰서유니폼 전후면 스폰서유니폼 사이드 스폰서

1. 오프시즌
1.1. 스토브리그 & 스프링캠프
1.2. 시범경기
1.3. 시즌 전망
1.3.1. 타자
1.3.2. 투수
1.3.3. 코칭 스태프
2. 페넌트레이스
2.1. 등번호
2.2. 작성 요령
2.3. 경기 기록
2.4. 부상자 명단(Injured List)
2.5. 정규시즌 중 변동사항
2.5.1. 코칭스태프 변경
2.5.2. 트레이드
2.5.3. 소속선수 추가 등록
2.5.4. 외국인 선수 교체
2.5.5. 등번호 변경
2.5.6. 개명
2.5.7. 신규 영입
2.5.8. 은퇴, 웨이버 공시, 임의해지
3. 올스타전 참가 선수 목록
4. 2023 KBO 신인 드래프트
5. 전적
5.1. 정규시즌 팀 기록
5.1.1. 투타 기록
5.1.2. 팀 달성 기록
5.1.3. 상대 전적
5.1.4. 월별 전적
5.1.5. 요일별 전적
5.1.6. 구장별 전적
5.1.7. 시리즈 총합
5.2. 정규시즌 개인기록
5.2.1. 2022 시즌 1호 기록
6. 시즌 후 총평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1. 오프시즌[편집]



1.1. 스토브리그 & 스프링캠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화 이글스/2022년/스토브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시범경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화 이글스/2022년/시범경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시즌 전망[편집]


안 그래도 선수 뎁스가 얕은 팀인데 FA 최재훈을 잡은 것 이외엔 아무 소득을 보지 못한 가히 절망적인 스토브리그를 보낸 탓에, 이번 시즌에도 많은 이들이 한화의 성적에 크게 기대를 걸지 않는 추세이다.

1.3.1. 타자[편집]







2021시즌 한화 이글스의 가장 큰 수확은 내야진의 성장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주전 포수인 최재훈은 2021시즌에도 굳건한 활약을 보였다. 그리고 뛰어난 기량, 젊은 나이를 모두 갖춘 정은원-하주석-노시환으로 이어지는 주전 내야진은 10개 구단 중 어느 팀에도 꿀리지 않으며 2022시즌에도 지속적인 활약이 기대되는 포지션이다. 하지만 야수들 체력 소모 걱정을 할 필요가 없는 가상의 야구 게임들과는 다르게, 현실의 페넌트레이스에서는 이들의 체력 안배도 크게 신경을 써야 할 테고, 만에 하나 이들 넷 중 단 한 명이라도 부상 등의 변수로 엔트리를 이탈하면 백업 선수 뎁스가 굉장히 약한 한화에겐 그 구멍이 타팀들에 비해 2~3배나 더 크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번 시즌 한화로서는 주전 배터리 및 내야진의 지속적인 활약과 이들의 부상 대비 및 관리가 가장 큰 관건이다.





사실상 외야는 2021시즌에 두각을 드러낸 선수가 거의 없었고 올해도 무한경쟁이다. 그나마 가능성을 보여준 최인호는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 2023시즌 중반까지 자리를 비운다. 지난해 스탯티즈 기준 외야수 WAR이 무려 39년 KBO 역사상 최악의 지표를 자랑했는데 비시즌 동안 FA 영입 등의 외부 보강도 없었다. 2021시즌에 내야진을 완성한 것 처럼 2022시즌에는 외야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새 얼굴을 발굴하는 게 그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며, 새 외국인 타자인 마이크 터크먼의 활약 또한 절실하다.


내야진 총평: 한화는 2021시즌에 정은원-하주석-노시환으로 이어지는 준수한 내야진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비록 외야에서 모든 지표를 다 깎아먹으며 대부분의 타격지표는 9위에 머물렀으나, 내야진만 놓고 보면 어느 팀 부럽지 않은 화려한 내야진이 완성되었다. 다만 화려한 주전 멤버에 비해 백업이 부실한 편이다. 오랜 기간 동안 한화의 내야에서 뛰어온 강경학, 오선진이 트레이드로 팀을 떠났고 내야 유틸리티가 가능한 조한민이 2021시즌 후 상무 야구단으로 입대했기 때문에 2022시즌에는 슈퍼백업을 맡아줄 수 있는 선수 발굴이 필요하다.

외야진 총평: 작년과 마찬가지로 답이 없다. 사실상 마이크 터크먼 외에는 물음표로 가득한 상황으로, 터크먼마저 부진한다면 2021시즌 외야진의 재림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2021시즌을 끝으로 조니 워싱턴 타격코치가 시카고 컵스로 떠나면서 후임자인 김남형 코치와 박윤 코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다. 2021시즌의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터크먼 외에 확고한 주전이 없는 외야 파트에서 주전 멤버를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다.


1.3.2. 투수[편집]





2021시즌 한화 이글스의 투수진은 명과 암이 공존하는 시즌이였다. 외국인 원투펀치 킹험-카펜터는 준수한 활약을 보였고 김민우는 2020시즌보다도 더욱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국가대표까지 승선했다. 2년 연속 불펜의 핵으로 활약한 강재민의 활약도 빛났다. 다만 한화의 투수진이 10개 구단중에 가장 많은 볼넷을 허용한 점과 4,5선발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은 점, 그리고 마무리 투수인 정우람의 노쇠화가 더욱 완연해진 점은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2022시즌에는 스트라이크 존이 넓어지기 때문에 더 적극적인 승부로 볼넷을 줄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한화 팬들이 많은 기대를 걸고 있는 신인 듀오 문동주-박준영이 1군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면 더 좋을 것이다.


1.3.3. 코칭 스태프[편집]


2022 시즌 한화 이글스 코칭 스태프 구성
직책1군2군육성군
감독카를로스 수베로최원호
수석코치웨스 클레멘츠
타격코치김남형정현석이상훈
타격 보조코치박윤
투수코치호세 로사도박정진윤규진
불펜코치이동걸마일영
작전·주루코치대럴 케네디추승우
1루·외야코치전상렬고동진
수비코치조성환최윤석남원호
배터리코치김기남이희근

2. 페넌트레이스[편집]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2022년 시즌별 경기
||
스토브리그 & 스프링캠프시범경기4월5월
6월7월8월9~10월




2.1. 등번호[편집]


한화 이글스 2022년 등번호 현황
구분
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 코칭스태프
결번[1]
NO.선수명NO.선수명NO.선수명NO.선수명NO.선수명
1문동주26허관회51장진혁76윤규진101김태욱
2김민기27이해창52김태균77정현석102양경모
3수베로28장시환53김민우78전상렬103김겸재
4황영국29김기탁54임준섭79마일영104이성민
5윤대경30장운호55강재민80고동진105
6김건31박준영56송윤준81이상훈106신현수
7이도윤32윤산흠57정우람82박윤107노석진
8노시환33유로결58박상원83남원호108오세훈
9박정현34류희운59한승주84109조현진
10이성곤35장종훈60김규연85김기남110한경빈
11남지민36장민재61이민우86김남형111신제왕
12터크먼37김인환62박윤철87추승우01민승기
13최재훈38김종수63장지승88케네디02전승우
14강상원39신정락64허인서89클레멘츠03최현준
15김기중40신지후65유상빈9004이상혁
16하주석41정민규66주현상91최이경05
17노수광42박상언67정이황92최원호06김준석
18윤호솔43정은원68변우혁93이재민07김현우
19김재영44백용환69권광민94이준기08김범준
20페냐45이진영70로사도95120박대한
21송진우4671이동걸96안창호122도승현
22라미레즈47김범수72조성환97이종완123김석훈
23정민철48이승관73이희근98이성원124정다훈
24원혁재49이충호74최윤석99류현진125최재영
25김태연50이원석75박정진100홍창화

2.2. 작성 요령[편집]


단, 한화 이글스/2022년 문서에 기재된 내용은 유지합니다.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월 일 선발 라인업
타순123456789
선수명
포지션
선발 투수시즌 기록
엔트리 변화
등록말소




{{{#ffffff 0월 00일, 00:00 ~ 00:00 (0시간 00분),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00,000명}}}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한화
한화

양팀 주요 기록
결승타
홈런
3루타
2루타
실책
도루
주루사
견제사
병살타
포일
폭투
보크
심판
선수결과시즌 기록출장이닝투구수피안타피홈런4사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승리
패배
홀드
세이브





코멘트 작성시

사진 파일 넣는곳
코멘트 넣는곳

코멘트 미 작성시

사진 파일 넣는곳


2.3. 경기 기록[편집]



2.3.1. 4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화 이글스/2022년/4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2. 5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화 이글스/2022년/5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3. 6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화 이글스/2022년/6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4. 7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화 이글스/2022년/7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5. 8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화 이글스/2022년/8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6. 9~10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화 이글스/2022년/9~10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4. 부상자 명단(Injured List)[편집]


부상자 명단
(Injured List)
등록날짜선수명기간 부상위치비고
04. 20.정우람10일왼쪽 어깨1군 말소
04. 28.장운호15일햄스트링
06. 10.노시환오른쪽 허벅지
06. 13.문동주30일오른쪽 어깨
06. 25.노시환15일
07. 01.윤호솔
10. 03.박상원10일

2.5. 정규시즌 중 변동사항[편집]



2.5.1. 코칭스태프 변경[편집]


코칭스태프 보직 변경
날짜코치명기존 보직 변경된 보직
2022.


2.5.2. 트레이드[편집]


2022 시즌 중 트레이드
날짜 원소속팀 선수 포지션 원소속팀 선수 포지션
04. 23.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김도현투수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이민우투수
이진영외야수
06. 21.이시원외야수파일:kt wiz 엠블럼.svg류희운투수

2.5.3. 소속선수 추가 등록[편집]


소속선수 추가 등록
날짜선수명포지션 투타비고
05. 01.김인환내야수우투좌타정식선수 등록
05. 07.원혁재외야수좌투좌타
06. 08.이재민투수우언우타
06. 20.예프리 라미레즈우투우타대체선수 영입
06. 21.장진혁외야수우투좌타군보류 해제
06. 30.펠릭스 페냐투수우투우타대체선수 영입
08. 05.박상원군보류 해제
09. 13.유상빈외야수좌투좌타정식선수 등록

2.5.4. 외국인 선수 교체[편집]


2022 시즌 도중 외국인 선수 교체
영입 선수 포지션 영입 일자 비고
예프리 라미레즈투수06. 01.라이언 카펜터의 대체 영입
펠릭스 페냐투수06. 11.닉 킹험의 대체 영입


2.5.5. 등번호 변경[편집]


2022년 시즌 중 등번호 변경 선수
변경 일자 선수명 기존 배번 변경 배번
06. 08.이재민10593
06. 21.박윤철5162
08. 03.황영국584
08. 03.원혁재9524
09. 13.유상빈0565

2.5.6. 개명[편집]


2022 시즌 개명 선수
개명 일자 개명 전 이름 개명 후 이름
03. 23.김이환김도현
이동훈이시원
04. 29.김현민김건

2.5.7. 신규 영입[편집]


2022 시즌 신규 영입 선수
영입 일자 선수명 포지션 투타 이전 소속 구단
05. 17.김태욱투수좌투좌타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오세훈파일:고양위너스로고(2018~).png
05. 24.신제왕외야수우투좌타파일:파주 챌린저스(NEW-2).png
한경빈내야수

2.5.8. 은퇴, 웨이버 공시, 임의해지[편집]


2022 시즌 중 은퇴, 웨이버 공시, 임의해지 선수
날짜 선수명 포지션 구분
05. 31.라이언 카펜터투수웨이버 공시
06. 02.닉 킹험


3. 올스타전 참가 선수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O 올스타전/2022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22 KBO 올스타전
코치
카를로스 수베로
이름포지션득표수
장시환마무리 투수감독 추천
최재훈포수감독 추천
정은원2루수감독 추천
마이크 터크먼외야수감독 추천


4. 2023 KBO 신인 드래프트[편집]


2023 신인 드래프트 지명자
순위지명자출신학교포지션투타신체조건계약금비고
1라운드
전체 1순위
김서현서울고등학교투수우투우타188cm, 91kg5억원
2라운드
전체 11순위
문현빈북일고등학교내야수우투좌타178cm, 77kg1억 5천만원
3라운드
전체 21순위
이민준장충고등학교내야수우투우타185cm, 73kg1억 1천만원
4라운드
전체 31순위
김관우마산고등학교투수우투우타182cm, 96kg9천만원2003년생
5라운드
전체 41순위
김해찬대전고등학교외야수우투우타182cm, 85kg7천만원
6라운드
전체 51순위
한서구대전고등학교투수좌투좌타190cm, 98kg5천만원2003년생
7라운드
전체 61순위
송성훈대전고등학교투수우투우타185cm, 82kg5천만원
8라운드
전체 71순위
최원준청담고등학교내야수우투좌타188cm, 85kg4천만원
9라운드
전체 81순위
박재규개성고등학교투수우투우타183cm, 85kg4천만원2003년생
10라운드
전체 91순위
천보웅제물포고 - 구미대투수좌투좌타185cm, 80kg3천만원
11라운드
전체 101순위
김예준강릉고등학교내야수우투좌타182cm, 80kg3천만원

2013 신인드래프트 이후 처음 실시되는 전면 드래프트이다.


5. 전적[편집]



5.1. 정규시즌 팀 기록[편집]



5.1.1. 투타 기록[편집]


2022년 정규시즌 한화 이글스 타격 기록
기록수치순위기록수치순위
타율0.24510위득점권타율0.23710위
출루율0.31910위장타율0.35210위
2루타2176위3루타193위
홈런8810위타점52010위
도루935위BABIP0.3114위
타격 WAR13.4910위팀 OPS0.67110위
2022년 정규시즌 한화 이글스 투수 기록
기록수치순위기록수치순위
평균자책점4.8210위QS3710위
선발 평균자책점4.8710위불펜 평균자책점4.768위
WHIP1.5110위탈삼진9749위
세이브259위홀드813위
이닝1268.110위블론세이브251위
선발승2710위구원승1910위
선발 WAR2.5510위구원 WAR4.1310위


5.1.2. 팀 달성 기록[편집]


2022 시즌 한화 이글스 정규시즌 팀 달성 기록
날짜기록명상대팀구장달성 선수비고
2022. 04. 06.팀 21,000득점KIA 타이거즈광주정민규역대 6번째
2022. 04. 08.팀 3,300도루kt wiz대전터크먼
2022. 04. 10.팀 41,000안타정은원
2022. 05. 01.팀 62,000루타NC 다이노스창원
2022. 05. 25.팀 4,100홈런두산 베어스대전박상언역대 3번째
2022. 09. 14.팀 42,000안타kt wiz대전노수광역대 6번째
2022. 09. 16.팀 29,000탈삼진KIA 타이거즈광주김민우


5.1.3. 상대 전적[편집]


한화 이글스 2022년 팀별 상대 전적
상대 팀전적승률승패 마진우열잔여경기비고
KT8승 0무 8패.5000백중세경기 완료동률
두산7승 0무 9패.429-2열세경기 완료
삼성3승 1무 12패.200-9절대열세경기 완료08.18 열세 확정
LG4승 0무 12패.250-8절대열세경기 완료08.12 우세불가 확정
키움4승 0무 12패.250-8절대열세경기 완료08.13 열세 확정
SSG6승 0무 10패.375-4열세경기 완료09.11 우세불가 확정
NC6승 1무 9패.400-3열세경기 완료07.06 우세불가 확정
롯데4승 0무 12패.250-8절대열세경기 완료07.14 우세불가 확정
KIA4승 0무 12패.250-8절대열세경기 완료07.10 열세 확정
총합46승 2무 96패0.324-5010위경기 완료


시즌 후반에 들어서고 9월 중순을 이후론 상대 전적에서 앞서는 구단이 하나도 없다.

9월 4일까진 디펜딩 챔피언 KT 위즈에게 상대전적에서 앞었으나[2] 9월 5일과 9월 6일에 열린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원정 경기에서 KT 위즈에게 내리 2연패를 당했으며 9월 12일과 9월 13일에 열린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에서 KT 위즈와는 올시즌의 마지막 경기이자 홈경기인 2연전에선 각각 1승씩을 주고 받으면서 올시즌엔 KT 위즈를 상대로는 상대 전적에서 8:8로 동률인 백중세가 되었다.[3]

한편 9월 8일에 잠실 야구장에서 열린 원정 경기에서 두산 베어스전을 승리하며 7승 6패로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단 1승을 앞서긴 했지만 하루 뒤에 패배하면서 두산 베어스와의 상대 전적도 하루만에 다시 백중세로 돌아갔다. 9월 17일 기준, 유일하게 우세 기록이 가능한 팀은 두산 베어스로 단 하나 뿐이었으나, 9월 25일에 9월 8일과 9월 9일과 똑같이 잠실 야구장에서 펼쳐진 원정 경기가 되는 두산 베어스전을 또다시 패배하면서 우세 기록이 가능한 팀이 한 팀도 없게 되었다. 또한 9월 29일에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에서 열린 올시즌에 두산 베어스와 마지막 경기이자 홈경기마저도 두산 베어스에게 패배함으로서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도 올시즌의 상대 전적에서 9:7의 열세로 시즌이 완료되었다. 특히 올시즌에는 KT 위즈와 상대 전적이 8:8로 백중세인 동률인 것을 제외하면 모든 구단한테 상대 전적에서 열세를 기록하게 되었다. 의외로 우승팀 SSG를 상대로는 선방했으나, 하위권에 처진 롯데와 삼성을 상대로도 상대전적이 압살당했다.[4]

이로써 6팀을 상대로 우세를 거둔 2018년 이후 2019년도부터 2022년까지 4시즌 연속으로 우세 팀이 단 한 팀도 없게 되었다.[5]


5.1.4. 월별 전적[편집]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은 달,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은 달, 초록 글씨는 승과 패의 차이가 2 이하일 경우다. (우천취소는 계산에 포함하지 않음)

한화 이글스 2022 시즌 월별 전적
승무패 순위 승률 승차 승패마진
4월9승 0무 16패9위.36010.5-7
5월10승 0무 16패9위.37316.0-6
6월5승 1무 16패10위.23823.0-11
7월4승 1무 15패10위.21135.5-11
8월7승 0무 14패10위.33340.5-7
9월9승 0무 17패10위.34644.5-8
10월2승 0무 2패10위.050.00
최종 성적46승 2무 96패10위.324

5.1.5. 요일별 전적[편집]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은 요일,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은 요일, 초록 글씨는 승과 패의 차이가 2 이하일 경우다.

한화 이글스 2022 시즌 요일 별 전적
요일 전적 요일 전적
화요일8승 0무 11패금요일8승 1무 15패
수요일5승 0무 18패토요일8승 0무 17패
목요일7승 1무 15패일요일8승 0무 15패
추가경기월요일1승 0무 0패
최종성적46승 2무 96패


5.1.6. 구장별 전적[편집]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은 야구장,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은 야구장, 초록 글씨는 승과 패의 차이가 1 이하인 야구장인 경우다.
한화 이글스 2022년 구장별 전적
(22시즌)
홈경기 : 28승 43패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26승 0무 40패
원정경기 : 17승 2무 48패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4승 0무 4패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3승 0무 6패
대구 삼성 라이온즈파크0승 0무 5패
포항 야구장1승 1무 1패
고척 스카이돔1승 0무 7패
인천 SSG 랜더스필드1승 0무 7패
창원 NC 파크2승 1무 5패
사직 야구장2승 0무 4패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1승 0무 7패
최종성적46승 2무 96패


5.1.7. 시리즈 총합[편집]


한화 이글스 2022년 시리즈 총합
시리즈 전적 시리즈 전적
스윕[6]4회위닝시리즈5회
피스윕[7]16회루징시리즈15회
동률9회총합49회


5.2. 정규시즌 개인기록[편집]


2022년 한화 이글스 정규시즌 선수 개인 달성 기록
KBO 공식 시상식이 이루어지는 기록은 볼드체 처리
달성 일자기록상대구장달성 선수KBO 역대
4월 15일데뷔 첫 QS[퀄리티스타트]LG대전윤대경
5월 4일데뷔 첫 홈런SSG문학김인환
5월 7일데뷔 첫 안타KIA대전원혁재
5월 18일데뷔 첫 홀드삼성문동주
5월 25일데뷔 첫 장외홈런두산박정현
데뷔 첫 안타
데뷔 첫 타점
권광민
데뷔 첫 홈런
데뷔 첫 만루홈런
박상언
데뷔 첫 승남지민
6월 7일데뷔 첫 QS잠실
6월 24일데뷔 첫 홀드삼성대전윤산흠
7월 5일KBO 첫 QSNC예프리 라미레즈
7월 22일KBO 첫 승kt
7월 30일KBO 첫 승 및 QS두산펠릭스 페냐
8월 2일단일시즌 구단 최다 홀드[8]KIA김범수
데뷔 첫 끝내기 홈런하주석
8월 5일투타 형제 간 맞대결 중
나온 타자의 첫 안타
kt수원박정현KBO 역대 1번째
9월 3일데뷔 첫 선발승NC대전남지민
9월 4일데뷔 첫 완투승김민우
9월 13일데뷔 첫 멀티홈런kt정은원
9월 16일데뷔 첫 승KIA광주윤산흠
데뷔 첫 세이브주현상
9월 18일데뷔 첫 안타
데뷔 첫 2루타
LG잠실유상빈
9월 20일데뷔 첫 타점
데뷔 첫 멀티히트
롯데대전
10월 3일데뷔 첫 선발승SSG문동주


5.2.1. 2022 시즌 1호 기록[편집]


2022년 KBO 리그 1호 기록자
부문선수
안타정은원
득점
볼넷최재훈
타점터크먼
실책김민우


6. 시즌 후 총평[편집]


최강한화의 승률은 이대호 타율보다 낮다[9]

치과의사 매직박 도네이션 中


이번 시즌도 반전없이 3년 연속으로 최하위 확정을 지었다. 시즌 전부터 투자를 등한시하며 험난한 스토브리그를 보냈고 우려대로 그 대가는 너무나도 처참한 결과로 돌아왔다. 그나마 시즌 100패와 KBO 시즌 최다패 기록(97패)는 면했지만 3년 연속 3할대 승률을 기록했고, 결국 시즌 최종전에서 패하면서 구단 사상 최다패(96패)와 10구단 체제 최저 승률(.324)을 불과 2년만에 갱신하고 말았다. 2022년 한화 이글스는 시즌의 전반적인 승률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데 이바지하였다. 쉽게 말해서 상위팀의 승리를 쌓아주는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무려 당해 87승, 승률 0.613을 기록한 LG 트윈스가 2게임차 2위로 시즌을 마쳤고 1위 SSG 랜더스는 자그마치 88승, 승률 0.629를 기록했다.[10]

'준수한 유망주를 지키고 육성해 성과를 내는 리빌딩'이라는 시즌 전 목표가 무색할 만큼 거의 모든 팀 지표가 지난해보다 퇴보했다. 선발 투수진의 경우, 지난해 1, 2선발 역할을 잘 해줬던 닉 킹험라이언 카펜터가 시즌 초반 부상으로 전력에서 이탈해버렸고, 뒤늦게 이들을 대체한 예프리 라미레즈펠릭스 페냐도 인상적인 활약을 보이지 못한 채 9월에 조기 시즌 아웃되었다.[11] 지난해 오랜만에 국내 선발 10승을 신고했던 김민우도 부진과 불운이 겹치며 다소 아쉬운 성적을 보였고, 4-5선발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이던 박윤철윤대경은 각 4월과 5~6월에 선발로 나섰지만 기대 이하였으며, 5선발로 꾸준히 기용된 남지민은 선발로서의 경험치는 어느 정도 먹었지만 극히 일부 경기만 제외하면 아직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사실만 보여주었다. 그나마 시즌 도중에 다시 선발로 전환된 장민재가 가장 안정적인 투구 내용을 보여주며 연패 스토퍼 역할을 했고, 신인 문동주가 시즌 막판 임시 선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데뷔 첫 승을 거두는 모습을 보였다.

불펜진에서는 정우람의 노쇠화와 강재민의 부상 등으로 인해 마무리로 낙점된 장시환이 전반기 14세이브를 기록했지만, 지난해에 이어 도무지 승리투수와 인연을 맺지 못하면서 KBO 개인 최다연패 타이인 18연패를 기록했고,[12] 후반기 마무리로 돌아온 강재민도 지난해 활약에 비하면 다소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중간계투 중에는 김범수[13]를 제외하면 한 이닝을 믿고 맏길 만한 투수가 없다시피 했고, 그 김범수조차 그날 컨디션에 따라 투구 내용이 들쭉날쭉했다. 그나마 윤호솔, 김종수신정락이 전반기에나마 괜찮은 활약을 보여줬고, 윤산흠을 발굴한 것이 유일한 희망일 정도.

야수진의 경우, 외국인 타자 마이크 터크먼과 중고신인 김인환의 활약에 힘입어 객관적 팀 타격 지표는 지난해보다 오히려 좋아졌다. 그러나 팀의 주축인 내야수 트리오 하주석, 노시환, 정은원, 54억 FA 계약으로 팀에 잔류한 포수 최재훈, 21 시즌 후반기 인상적인 활약을 보인 김태연이 일제히 지난해보다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고, 터크먼의 낮은 득점권 타율, 노시환의 장기 부상 및 후반기 부진, 정은원과 김태연의 초반 극심한 부진 등으로 타선의 응집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면서 팀 타율과 팀 득점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외야에서는 32세 베테랑 노수광이 외야진 중 많은 경기를 소화하고, 군에서 돌아온 장진혁이 바로 주전을 차지하는 등 또 다시 주전급 선수를 발굴하지 못했다. 그나마 9월 확대 엔트리로 1군에 처음 들어온 유상빈이 타격 쪽에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수비에서도 또 다시 팀 실책 1위를 기록하는 등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고, 특히 지난해 팀 수비 향상에 기여했던 수비 시프트의 성공률이 떨어지면서 수비 효율(DER)이 2위에서 8위로 떨어졌다. 수비 시프트가 제대로 가동되려면 야수들의 멀티 포지션 소화 능력이 갖춰져야 하는데 여러 요인[14]으로 인해 시즌 전에 그러한 실력을 쌓지 못했고, 그 여파로 시프트 상황에서 수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모습이 종종 나왔다.[15] 게다가 수비 시프트가 KBO 리그 전반에 퍼지면서 타자들도 시프트 파훼법을 갖게 되었고, 전년 대비 시프트를 공략해내는 타구가 훨씬 많이 나오게 되었다.

무엇보다 결정적인 패인은 제 역할을 하지 못한 프런트였다. 21 시즌 종료 후 한화는 외야진 보강이라는 명확한 과제가 있었음에도 박건우김재환 등 FA로 풀린 A급 외야수를 영입하지 않았다.[16] '내부에서 자체 육성한 젊은 선수 위주의 리빌딩 기조 유지'라는 말 같지도 않은 핑계로 FA 시장에는 거의 참여조차 하지 않았고[17], 그 결과 팀은 또 다시 외야 문제로 한 시즌 동안 골머리를 앓아야 했다. 또 시즌 중 외국인 투수 2명이 모두 장기 부상 중일 때 머뭇거리다가 6월에야 대체 외국인 투수를 영입하는 등, 겉으로 보이는 행보만 보면 이 사람들이 과연 프로구단을 운영할 의지가 있기는 한 것인지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될 정도로, 팀에 대한 지원이 사실상 아예 없다시피하는 모습을 보이며 욕을 바가지로 먹었다.


7. 관련 문서[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KBO 리그
구단별 2022 시즌
||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관련 문서
||
[ 펼치기 · 접기 ]






[1] 영구결번, 임시결번 등을 포함한다.[2] 한때 스윕승을 포함해 6연승으로 6승1패까지 갔다.[3] 재밌는 점이라면 2022년 KT는 1위인 SSG를 상대로 유일하게 열세를 허용하지 않고 동률을 기록한 팀인데, 정작 10위인 한화에게도 유일하게 우세를 거두지 못하고 동률을 기록했다.[4] 삼성은 대놓고 강약약강 상대전적을 기록했다. 심지어 한화보다도 1~4위팀 상대 전적이 더 나쁘다.[5] 그나마 2021년에는 롯데와 키움을 상대로 각각 8승1무7패, 7승3무6패로 승패마진 양수를 기록하기는 했다.[6] 3연전(더블헤더 추가편성으로 인한 4연전 포함)이상 기준[7] 3연전(더블헤더 추가편성으로 인한 4연전 포함)이상 기준[퀄리티스타트] [8] 25홀드. 전임 기록은 2011년 박정진 현 2군 투수코치의 16홀드.[9] 한화 승률 0.324, 이대호 타율 0.331[10] 물론, 개막 10연승의 미친 페이스도 있지만 승률 0.324의 한화 이글스의 영향도 당연 있었다.[11] 오죽하면 네 외국인 선수가 소화한 167 2/3이닝은 삼성 라이온즈의 외국인 원투펀치 중 한 명인 알버트 수아레즈의 167 1/3이닝 보다 딱 1/3이닝 많다.[12] 그리고 23 시즌 개막전에 바로 패전을 기록하며 기어코 개인 19연패라는 신기록을 작성하고 만다.[13] 27홀드를 기록하며 구단 최다 홀드 기록을 경신했고 동시에 2022시즌 전 구단 불펜진 중 홀드 공동 2위를 기록, 커리어 하이 시즌을 기록했다.[14] 예를 들면 이지풍 트레이너 코치 영입 후에 나타난 야수들의 집단 살크업.[15] 대표적으로 수비의 핵이라 할 수 있는 유격수 하주석의 클러치 에러가 많이 나왔다.[16] 다만 김재환은 외야수가 아닌 전형적인 풀타임 지명타자에다가 약물 논란까지 있어서 구단 이미지 관리를 위해서라면 오히려 김재환을 영입하지 않는 게 훨씬 낫다. 그러나 올라운더인 박건우를 영입하지 않은 것은 명백한 실책.[17] 유망주 육성, 리빌딩, 성적 그 어느 하나도 제대로 한 게 없다는 점에서 프런트의 행보는 사실상 팬들을 상대로 사기를 친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