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자 혼종

덤프버전 :




엘든 링 보스 목록
[ 펼치기 · 접기 ]





사자 혼종
파일:사자 혼종 트로피.png
일어명獅子の混種
영문명Leonine Misbegotten
보스 정보
등급GREAT ENEMY
보상3,800 룬
검 잇기의 대검
BGM

1. 개요
2. 상세
3. 공략
4. 혼종 전사
4.1. 혼종 전사 & 도가니의 기사
4.1.1. 공략
4.2. 혼종 전사 & 조향사 트리샤
4.3. 혼종의 성기사
5. 기타



1. 개요[편집]


파일:사자 혼종 3.png
엘든 링보스.


2. 상세[편집]


파일:사자 혼종 2.png
흐느낌의 반도에 위치한 중형 던전 몬 성의 메인 보스로, 이름 그대로 사자를 베이스에 인간, 새, 파충류 등등을 섞어놓은 듯한 형상을 하고 철 대검을 든 보스이다. 해파리들이 잔뜩 있는 해변 지형에 있는 안개 문에 들어가면 등장하며, 넓은 개활지에서 전투가 진행된다.

조건부[1]로 영체 에드거를 소환할 수 있으며 격파하면 특대검: 검 잇기의 대검을 드랍한다.

도읍 로데일에서도 등장. 수인들과 조향사하고 같이 등장하며 금역으로 향하는 길목에서 등장한다. 이때는 잡몹 판정이라 축복에서 쉬면 리젠되니 조심하자.

이후 미켈라의 성수에서 둘이나 잡몹 판정을 받으며 등장하며, 안 그래도 좁아터진 성수 맵과 애매하게 튼튼한 강인도가 맞물려 소형 무기를 사용하는 빛 바랜 자에게 지옥을 선사한다. 다만 특대형 무기와 특대검을 사용하면 강인도를 씹고 일방적으로 두들겨 팰 수 있으니 사용할 수 있다면 애용하자.

날렵하다는 점만 제외하면 사자 혼종의 패턴은 도가니의 기사와 매우 흡사한 패턴을 보여준다. 특히 분노하여 땅을 밟은뒤 회전하는 공격은 검방 도가니가 쓰는 것과 거의 똑같다. 혼종 자체가 강인도가 높은편은 아니지만 조건부로 강인도가 급상승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도가니의 기사 상대하듯 히트앤런 전략을 유지하는게 좋다.

3. 공략[편집]


파일:사자 혼종.png
대검답지않은 재빠르고 히트앤런에 특화된 움직임이 주력으로 패턴을 여러개 빠르게 섞어 쓰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보스의 강인도가 터무니없이 낮고[2] 피도 생각보단 많은 편이 아닌지라 경직도가 높은 무기나 늑대 혼령으로 강인도를 아작내주거나[3] 에드거를 불러 어그로를 핑퐁시키기만 해도 상당히 쉽고 방패전사라면 침착하게 가드카운터만 넣어줘도 무난하게 깰 수 있다.[4] 특히나 대형 방패를 들고 있다면 대부분의 공격이 막힐 시 사자 혼종에게 경직이 걸리기 때문에, 이 틈에 가드 카운터를 몇 대만 넣어 주면 그로기에 걸려 앞잡 찬스를 내주는 호구가 되어버린다. 이는 몬 성 이후에 등장하는 개체들도 매한가지.

요점은 당황하지 않는 것. 막강해보이는 공격에 쫄아 계속 도망치기만 하다간 그대로 얻어맞고 죽기 십상이다. 스태미너가 어지간히 낮지 않은 이상 콤보를 막고나서 가드 카운터 박을 정도의 스태미너는 남으므로 괜히 당황해서 방어를 풀거나 구르다가 연격을 맞는 것 보다는 최대한 침착하게 받아치는 게 훨씬 낫다. 원거리 플레이어라면 엄청난 속도로 달려들기 때문에 상술한대로 뼛가루든 영체든 불러서 어그로를 핑퐁시켜주는 게 좋다.

NPC인 성주 에드거를 죽이고 얻을 수 있는 8강 할버드를 이용하면 한 방 한 방 경직이 걸리며 손쉽게 잡을 수 있다. 사실 방랑기사 선택 시 기본으로 주는 노강 기본 할버드로 찔러도 경직이 걸린다.

관문 앞 폐허 마차 상자에서 루팅할 수 있는 철퇴로 점프 강공만 해도 경직이 계속 걸리기 때문에 쉽게 잡을 수 있다.

단순히 대검으로 휘두르거나 내려찍는 것 외에도 다음의 패턴을 보인다.
  • 포효하더니 검을 양손으로 잡고 강하게 휘두르거나 진각 후 2번 돌며 공격한다. 포효에도 공격 판정이 있어 맞으면 경직에 걸리니 주의해야 한다. 다행히 경직에 걸려도 이후 들어오는 공격을 피할 시간이 나오니 침착하게 피하자.
  • 왼손으로 2번 할퀸다. 경우에 따라선 할퀴기 공격 후 곧바로 다른 패턴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 한바퀴 돌면서 검을 반바퀴 휘두르더니 곧이어 점프하면서 플레이어를 향해 검을 내리꽂는다.
  • 검 휘두르기 -> 할퀴기 -> 검을 횡으로 휘두르고서는 양손으로 잡아 위로 치켜들어 약간의 텀을 두고 내려찍는 4연속 공격. 내려찍기가 엇박이니 조심하자.[5] 경우에 따라선 내려찍지 않고 횡으로 2번 빠르게 검을 휘두르기도 한다.
  • 검 휘두르기 4연격. 가드해서 막았다간 2~3타째에 가드 터지고 얻어맞기 십상이니 되도록이면 피하도록 하자.
  • 검을 휘두르고 검끝을 바닥에 대 끌면서 힘을 주고서는 강하게 휘두르더니 위의 4연속 공격과 똑같이 엇박으로 내려찍는다.
  • 4족보행 자세로 몸을 낮추더니 이내 돌진하면서 검을 휘두른다.
  • 점프하면서 검을 가로로 양손으로 잡아 내려찍는다. 보통 2번 연속으로 사용하지만 1번만 사용하고 다른 패턴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4. 혼종 전사[편집]



4.1. 혼종 전사 & 도가니의 기사[편집]


혼종 전사 & 도가니의 기사
파일:혼종 전사와 도가니의 기사.png
일어명混種の戦士 & 坩堝の騎士
영문명Misbegotten Warrior & Crucible Knight
보스 정보
등장지역적사자성
등급GREAT ENEMY
보상16,000룬
유적의 대검
BGM

케일리드의 중형 던전인 적사자성에서 재등장. 설정상 라단 축제에 참가할 자격을 시험하는 역할이다. 그래서인지 라단 축제가 시작되면 병사들과 함께 성을 비운다. 그런데 충격적이게도 체력이 50% 아래가 되거나 전투 시작 후 30초가 지나면 그 강한 도가니의 기사가 등장하며 2대 1 싸움을 벌인다!

도가니의 기사 혼자만으로도 강력한데 그걸로도 모자라 혼종 전사까지 덤벼드니 난이도가 아주 죽을 맛인데, 핵심은 상술한 사자 혼종과 같다. 절대 당황하지 않는 것. 여기서 나오는 도가니의 기사는 여타 도가니의 기사와 달리 호전성이 상당히 낮아서 거리를 벌리다 보면 호전성이 매우 높아 계속 달려드는 혼종 전사와 박자가 안 맞는 경우가 많다. 이때문에 도가니의 기사를 소환했다고 당황에서 서두르려 하거나 너무 도망만 치다가 벽에 몰리기 보다는 침착하게 거리를 벌려 도가니의 기사와 혼종 전사간의 거리를 벌린 뒤 혼종 전사부터 1대1로 처리하고 다음에 도가니의 기사를 1대1로 처리하는게 이상적이다. 대신 맵에 은근 장애물이 산재해있고 그중에서 파괴불가 오브젝트도 있기 때문에 도망칠때 주변을 신경쓰는게 좋다.


4.1.1. 공략[편집]


  • 정통 파훼법
경직이 잘 들어가는 무기를 사용하면 편하다. 도끼창과 같은 무기를 사용하면 한 방 한 방 경직이 들어가며 무난하게 잡을 수 있다. 만약 도가니의 기사가 나오기 전까지 잡는게 불가능하다면 영체를 소환[6] 하여 최대한 체력을 깎고 도가니의 기사가 나올때 영체에 어그로가 끌리게 하고 1:1로 사냥하면 사자혼종은 무난하게 잡을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도가니의 기사. 정석 공략은 일단 패링. 근접전을 패링없이 벌이면 지옥을 본다. 프롬 소프트 게임 특성상 공격 타이밍에 정확하게 맞춰야 패링이 가능해서 상당히 어렵다. 이 때문에 스톰빌 성에서 도가니의 기사와 먼저 1:1 대결을 한 후 잡는 것이 좋다. 도가니의 기사 패링 공략 패링을 하지 않는다면, 공격시 구르고 한 대씩 짤딜 하는 방법 밖에 없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이쪽이 훨씬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명도 월은을 가지고 있다면 발도술 짤딜로 그나마 쉬워진다.

영체를 사용하지 않고 하려면 사냥개의 긴 이빨과 같은 대곡검이나 특대검처럼 리치가 길고 경직을 잘 주는 무기를 사용하여 먼저 사자 혼종을 패서 피를 뺀다. 그리고 2:1 구도가 되면 도가니의 기사는 대쉬 공격을 거의 하지 않으므로 원거리에서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면 사자 혼종이 대쉬 공격 또는 점프 공격으로 달려든다. 이때 사냥개의 긴 이빨 전기를 사용하거나 특대검의 우월한 리치를 사용해서 한대씩 때리고 후퇴하는 방식으로 하면 사자혼종은 금방 잡을 수 있다.

  • 꼼수 파훼법
엘든링에서는 플레이어나 몬스터가 버그 등으로 공중에 떠 있는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추락사 판정으로 죽게된다. 이를 활용하여 시작하자마자 영체로 어그로를 끌고 우측 상자위로 올라가 원통으로 간 후 도가니의 기사를 잡고, 사자혼종을 잡는 방법이다. 물론 일정 시간 후에 즉사하는 버그는 패치로 막혔다.


4.2. 혼종 전사 & 조향사 트리샤[편집]


조향사 트리샤
파일:Misbegotten-Warrior-And-Purfumer-Tricia-Featured-Image-Elden-Ring-1024x493.jpg
일어명調香師トリシャ
영문명Perfumer Tricia
보스 정보
등장지역추한 지하묘지
등급ENEMY
보상9400룬
조향사 트리샤


알터 고원 추한 지하묘지의 보스. 이쪽은 아예 처음부터 보스방 들어가자마자 둘이서 같이 덤벼든다. 네임드 조향사긴 하지만 딱히 이렇다할 추가패턴도 없고, 도읍 로데일에서는 자주 보게되는 적인 만큼 어려운 적은 아니다. 물론 그렇다고 조향사를 냅두고 혼종 전사부터 죽일려고 하면 옆에서 보호막을 씌우는 고양의 향기를 계속 뿌려대므로 조향사를 먼저 죽이는것을 추천한다.

격파하면 조향사 트리샤의 뼛가루를 얻는다.

4.3. 혼종의 성기사[편집]


혼종의 성기사
파일:혼종의 성기사.png
일어명混種の聖騎士
영문명Misbegotten Crusader
보스 정보
등장지역기댈 동굴
등급ENEMY
보상93,000룬
황금률의 대검

구별된 설원의 기댈 동굴에서 혼종의 성기사라는 혼종 전사 계열의 끝판왕이 등장한다. 파훼법은 기존 사자 혼종과 같이 강인도가 낮아 대형 무기로 한 대만 쳐줘도 경직에 쉽게 걸리고, 대형 방패에도 공격이 거의 다 튕겨나며 매우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 피통 또한 큰 편이 아니기에 구별된 설원까지 뚫은 플레이어라면 어렵지 않게 격파할 수 있다.

다만 무기가 전설의 무기인 황금률의 대검으로 바뀐 만큼 몬 성의 사자 혼종보다는 약간 더 까다롭다. 당연히 등장하는 지역이 지역인만큼 데미지가 굉장히 높고, 이따금씩 황금률 기도 특유의 포즈와 함께 황금률의 대검 전투기술을 시전하는데 공격 타이밍 예측을 실패하면 말그대로 골로가는 데미지를 입고 마리카의 쐐기로 사출될수 있다. 황금률의 대검은 100% 신성 속성에 가드가 불가능하므로 이 점을 주의해야 한다.


5. 기타[편집]


보통 첫 조우를 몬 성에서 하기에 단순히 혼종의 우두머리 격으로 보게 되지만 후반에 갈 수록 여타 혼종들과는 취급이 조금 다르게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두번째 조우를 혼종과 연관이 거의 없는 적사자성의 혼종 전사 도가니 기사 듀오로 보게 되며 이후 조향사와 엮이는 건 보스전 뿐만 아니라 도읍 로데일에서도 혼종 무리 사이에 조향사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패턴들과 날개혼종의 뼛가루의 텍스트를 봐선 도가니 기사와는 무관하지 않은 관계성이 보이고 조향사와의 관계도 트리샤 뼛가루에 나와있듯이 차별받는 여타 혼종 대우와 다르지 않을 듯하다. 그래도 일반 잡졸과 몬스터같은 혼종들의 마구잡이식 무기 휘두르기와는 다르게 어느정도 검술을 사용하고 나중엔 황금률 기도까지 사용하는 개체가 등장하는걸 봐선 개별적으로 판단할 지성도 꽤 되는 편인듯. 물론 유저와 상호작용이 되는 혼종 개체래봐야 휴그뿐이기에 사자 혼종들이 단순히 조향사나 다른 누군가에게 이용만 당하는 것인지 스스로 알아서 판단하고 행동하는지는 의문.

분명 설정 상으로나 인 게임 상으로나 대단한 적은 아니지만, 전설의 무기를 3 드랍한다. 특히 황금률의 대검은 국교의 상징에 해당하는, 현실로 따지자면 국보나 다름 없는 물건인데도 수도 근처가 아니라 구별된 설원 구석의 작은 동굴에 숨겨져 있다는게 상당히 특이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7:56:54에 나무위키 사자 혼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흐느낌의 반도 입구 초반부에 있는 NPC 엘리나에게 편지를 받은 뒤 성벽 끝자락에 있는 에드거와 대화하면 이후 보스전 문 앞에서 영체로 소환이 가능하다. 굳이 소환하지 않고 사자 혼종을 잡은 뒤에 에드거를 처음 찾아가든, 에드거와 대화 이후 영체 에드거를 소환하지 않고 엘리나를 찾아가든 해도 퀘스트는 평범하게 완료가능하다.[2] 대형 무기로는 한대만 맞아도 일일이 경직이 걸리는 수준이다.[3] 흐느낌의 반도 초입의 꼬챙이의 지하 묘지 던전에서 아인단의 뼛가루를 획득후 사용시 경직이 계속걸려 편하게 잡을 수 있다.[4] 추천하는 방패는 물리컷 100이기만 하면 되고, 핵심은 "전회:철벽의 방패"를 사용할 것, 버프지속동안 강인도와 안정성이 매우 높아져서 대형무기도 튕겨낼 수 있다. 몬성 들어가는 길에서 밤 기병를 처치하고 획득할 수 있으며, 밤의 기수를 깨기 어렵다면 거북이의 등껍질 중형 방패가 자체적으로 보유하고있다.[5] 동작이 큰 3타를 보고 틈을 노려 반격에 들어가는 순간 4타를 맞고 축복으로 사출되니 주의하도록 하자.[6] 원거리 공격이 가능한 영체를 추천하며 선조령을 잡을 경우 얻을 수 있는 영체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