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

덤프버전 :

||





파일:awclogo.png
불과 얼음의 춤 월드 챔피언쉽 2024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
대회 기간 2023년 12월 8일 ~ 2024년 (KST)
주최ADOFAI.gg
주관
지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경기장전 경기 온라인
조 추첨2024년 (KST)
참가 선수 32명
패치 버전2.6.x [1]
상금총 상금 | ₩240,000 + a, 우승 | ₩ 100,000 + a
중계
중계 플랫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캐스터 미정
해설자 ez2dal, ImRoxta-_-
대회 결과
우승자파일:국기.svg TBD ?번째 우승
준우승자파일:국기.svg TBD
이전·이후 대회
이전 대회ADOFAI World Cup 2023
이후 대회ADOFAI World Championship 20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1. 개요
2. 예선
2.1. 참가 신청 레벨
2.2. 예선 레벨
3. 본선 진출자
4. 일정
5. 대회 진행
6. 결과
6.1. 우승자
6.2. 최종 순위
7. 여담



1. 개요[편집]


2024년에 개막 예정인 ADOFAI World Championship에 대한 문서이다. 대회 명이 ADOFAI World Cup에서 ADOFAI World Championship으로 변경 후 열리는 첫 대회이다.

역할대회 위원 목록
디렉터Star4th, 정현수, 태림, CrackThrough
매니저새제비, TEO_72, Phrygia, ppapman
영상Ssimille
디자이너ppapman
이펙터
[ 펼치기 • 접기 ]
시온[1]
sediero
B.Sanmul
1329082
Pharah
오이
GamingGooseTV
Ocbim
챠람
냉동치킨[2]
niAE
Editor AlriC[3]
Bingsu
Daccaplores[4]
한월
NoviceTowa.[5][6]
Han_rang
Star4th
[1] CDF 1 준우승자.[2] CDF 2 4위.[3] CDF 2 우승자(Critic).[4] CDF 1 3위.[5] 토트(Toht)라는 닉네임으로 잘 알려져있던 유저.[6] ADOFAI World Cup 2023에서는 중계를 담당했었다.
채보 제작자
[ 펼치기 • 접기 ]
V0W4N
oceanic shipping and trade
Han_rang
PELEX
새제비
Daccaplores
Appilia
ABorinGuy
SarouA[1]
Nephrolepis
Alpha[2]
[1] 상추융합체 혹은 SSSangchu라는 닉네임으로 잘 알려져있던 유저.[2] AWC 2023 4위.
해설위원[2]ez2dal, ImRoxta-_-

2. 예선[편집]



2.1. 참가 신청 레벨[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레벨에 대한 내용은 ADOFAI World Cup/역대 오리지널 레벨 문서
3.1번 문단을
ADOFAI World Cup/역대 오리지널 레벨#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Kobaryo - Heaven's Gateway
레벨 제작자AWC Chart Team "V0W4N & GamingGooseTV"
포럼 난이도
17
BPM168
시간2분 14초
타일 수2029
레벨 정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ODA - Aqua Wave
레벨 제작자AWC Chart Team "Han_rang & Daccaplores"
포럼 난이도
17
BPM150
시간2분 43초
타일 수1067
레벨 정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전기 대회와는 다르게 참가 레벨이 2개이며, 둘 중 하나만 클리어해 클리어 영상을 주최 측에 보내면 참가 신청이 완료된다.

최종적으로는 전기 대회에서 6명이 감소한 186명이 참가 신청을 완료하였다.

2.2. 예선 레벨[편집]




3. 본선 진출자[편집]


국가선수 목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BD & TBD
파일:국기.svg 미정
TBD & TBD


4. 일정[편집]





5. 대회 진행[편집]



5.1. 진행 방식[편집]



[3]

  • 그룹 스테이지
예선을 통과한 32명의 선수가 8개조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진행한다.
  • 진행 방식
    • 여러개의 맵 중 각각 선수들이 고른 맵 하나, 대회측에서 고른 맵 하나씩 총 5개의 맵을 플레이 한다.
    • 플레이 한 맵들의 정확도에서 최고 정확도와 최저 정확도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정확도를 합한 값이 점수가 된다.[4]

  • 녹다운 스테이지
그룹 스테이지를 통과한 상위 16명이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진행한다.
  • 진행 방식
    • 여러개의 맵 중 5개의 맵을 랜덤으로 추첨한다.
    • 각 선수가 각자 한 맵씩 밴을 해 남은 3개의 맵으로 진행한다.
    • 3개의 맵에서 절대정확도를 합산, 더 우위에 있는 선수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 결승전
준결승전에서 승리를 한 2명이 결승전에 진출한다.
  • 진행 방식
    • 차례대로 번갈아가며 레벨을 선택하여 총 6레벨을 플레이한다.
    • 6개의 선택된 맵과 2개의 오리지널(초견) 맵에서 절대정확도를 합산, 더 우위에 있는 선수가 우승한다.


5.1.1. 조별 리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조별 리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2. 16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16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3. 8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8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4. 준결승[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준결승#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5. 결승[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결승#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결과[편집]



6.1. 우승자[편집]



6.2. 최종 순위[편집]


최종 순위예선 순위선수평균 정확도[5]최종 경기비고
우승
TBDTBD
파일:국기.svg
---%결승전 승?번째 우승
준우승
TBDTBD
파일:국기.svg
---%결승전 패
3위
TBDTBD
파일:국기.svg
---%3·4위전 승
4위TBDTBD
파일:국기.svg
---%3·4위전 패
8강 탈락 ▼[6]
5위TBDTBD
파일:국기.svg
---%8강 1경기 패
6위TBDTBD
파일:국기.svg
---%8강 2경기 패
7위TBDTBD
파일:국기.svg
---%8강 3경기 패
8위TBDTBD
파일:국기.svg
---%8강 4경기 패
16강 탈락 ▼[7]
9위TBDTBD
파일:국기.svg
---%16강 1경기 패
10위TBDTBD
파일:국기.svg
---%16강 2경기 패
11위TBDTBD
파일:국기.svg
---%16강 3경기 패
12위TBDTBD
파일:국기.svg
---%16강 4경기 패
13위TBDTBD
파일:국기.svg
---%16강 5경기 패
14위TBDTBD
파일:국기.svg
---%16강 6경기 패
15위TBDTBD
파일:국기.svg
---%16강 7경기 패
16위TBDTBD
파일:국기.svg
---%16강 8경기 패
조별 리그 탈락 ▼
[ 펼치기 · 접기 ]

17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G조 3위
18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A조 3위
19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B조 3위
20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C조 3위
21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D조 3위
22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E조 3위
23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F조 3위
24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G조 3위
25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A조 4위
26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B조 4위
27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C조 4위
28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D조 4위
29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E조 4위
30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F조 4위
31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G조 4위
32위TBDTBD
파일:국기.svg
---%조별 리그 H조 4위



7.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1 10:33:23에 나무위키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가 신청 한에서 2.5.0 허용[2] 공식적으로는 밝혀지진 않았으나 AWC Staff 역할을 받은 스테프중 자신이 해설자라고 밝힌 인물만 기재했다.[3] 58초부터[4] 실제 올림픽 경기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것이 리듬체조. [5] 초견 플레이 라운드 제외[6] 5위~8위는 8강전 성적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8강전 성적은 플레이한 맵이 서로 다르므로 실력의 절대적인 기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심하자.[7] 9위~16위는 16강전 성적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8강전 성적과 마찬가지로 플레이한 맵이 서로 다르므로 실력의 절대적인 기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