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DF (시즌1)

덤프버전 :

||



1. 개요
2. 대회 개최 당시 반응
3. 경기
3.1. 예선
3.1.1. 라운드 규칙
3.1.2. 라운드 결과
3.2. Round 1 : 합작 개인전
3.2.1. 라운드 규칙
3.2.2. 라운드 결과
3.3. Round 2 : 팀 대항전
3.3.1. 라운드 규칙
3.3.2. 라운드 결과
3.4. SEMI-FINAL : 개인 디버프전
3.4.1. 라운드 규칙
3.4.2. 라운드 결과
3.4.2.1. niAE vs Daccaplores
3.4.2.2. 수론잉 vs PillyXD
3.4.2.3. 시온7264 vs dkfdfkdk
3.4.2.4. 냉동치킨 vs _OrangeFJ
3.5. FINAL : 최종 결전
3.5.1. 라운드 규칙
3.5.2. 라운드 결과
4. 대회 결과
5. 여담



1. 개요[편집]


  • 2022년 5월 28일에 처음으로 개최된 CDF의 첫번째 시즌에 대해 다룬 문서이다.


2. 대회 개최 당시 반응[편집]


기존에 많지 않았던 ADOFAI의 에디팅(커스텀 레벨 제작) 분야에 초점을 맞춘 대회로, 당시 에디팅 분야에서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던 Irin[1]에 의해 개최되어 대회 시작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미 많은 명성을 쌓은 에디터들은 물론, 이전까지 무명에 가까웠던 에디터들 역시 대거로 대회에 참여하면서 상당히 많은 유저들이 대회에 뛰어들었다.

3. 경기[편집]



3.1. 예선[편집]



3.1.1. 라운드 규칙[편집]


#1관리진이 배부한 채보[2]를 다운로드하여 이펙트를 진행한다.
#2주어진 설문지 링크를 통해 레벨 파일을 첨부하여 제출한다.
#3퀄리티가 가장 뛰어난 상위 22명이 본선에 진출한다.

3.1.2. 라운드 결과[편집]


본선 진출niAERinkiRin수론잉홍시Hongshi
metaphorDaccaplores케즈Kezhwa
DANI시온7264냉동치킨dkfdfkdk
ChyaRyamOrnamentalPillyXD
PELEXDMusic SkyLight[3]뉘슌데요_OrangeFJ
뇌빅[4]Han_rangDORA

  • 유튜브 계정을 삭제했거나 찾을 수 없는 참가자는 유튜브 채널링크를 기재하지 않았다.

3.2. Round 1 : 합작 개인전[편집]



3.2.1. 라운드 규칙[편집]


#1본선 진출자 22명은 A, B, C 그룹으로 8명씩 배정받는다.
#2각 그룹은 주어진 곡 중 하나를 선택하여 관리진 측에 제출한다.
#3선택한 곡으로 8명이 협력하여 합작을 진행한다.
#4각 멤버가 맡은 파트들이 심사 과정을 거쳐 가장 높은 퀄리티를 보인 상위 6명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 레벨 제작 자체는 합작을 통해 협력하는 구조이지만, 각 멤버들의 평가는 개인적으로 이루어져 사실상 개인전의 성격을 더 강하게 띠고있는 규칙이다.
  • 이러한 특이한 규칙 때문에, 합작 레벨을 제작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참가자들은 멤버들 간의 피드백을 꺼리는 모습을 보였다. [5]

3.2.2. 라운드 결과[편집]



그룹선정된 곡그룹원
Aかめりあ - KisaraginiAE , RinkiRin , 수론잉 , 홍시Hongshi , Daccaplores , wa , metaphor , 케즈Kehz
Bかめりあ - Kisaragi시온7264[6] , 냉동치킨 , dkfdfkdk , Ornamental , PillyXD , DANI[7] , ChyaRyam
Cかめりあ - Nacreous SnowmeltPELEX , _OrangeFJ , 뇌빅 , Han_rang , DORA , C팀 웃음벨담당 , 뉘슌데요

  • 계정을 삭제하여 기록이 말소된 유저는 기재하지 않았다.
  • 취소선은 탈락자이다.

3.3. Round 2 : 팀 대항전[편집]



3.3.1. 라운드 규칙[편집]


#1각 참가자들은 비공개 투표를 통해, A, B, C, D 중 합류하고 싶은 팀을 선택한다.
#2팀원들은 서로 상의하여 팀명과 합작으로 진행할 곡을 결정한다.
#3선택한 곡으로 각 팀원들이 협력하여 합작을 진행한다.
#4결과물을 심사하여 퀄리티가 높은 순으로 각 팀에서 전원 생존, 2명 생존, 2명 생존, 전원 탈락으로 갈린다.

3.3.2. 라운드 결과[편집]



팀명선정된 곡팀원순위
레몬즙짜는팀BilliumMoto - Cap시온7264 , 냉동치킨 , Daccaplores , 수론잉1
저기레모니[8]있다432pro - FLOWniAE , PillyXD , wa , 홍시Hongshi2
오렌지맛라임향레몬주스RKD - Boo!_OrangeFJ , dkfdfkdk , Han_rang , PELEX3
마크정품무료도티양띵ty샌즈엔더맨Shimen - ʍyʎopeOrnamental , RinkiRin , DORA , 뇌빅4
  • 취소선은 탈락자이다.
  • 마크정품무료도티양띵ty샌즈엔더맨팀의 경우, 전체적으로 높은 퀄리티의 레벨이었으나 뇌빅 선수가 자신의 담당 파트를 저작권에 의해 삭제된 Ice - iL로 제작된 커스텀 레벨의 테마를 흉내내는 다소 충격적인 만행을 일으키는 바람에 팀의 평균 퀄리티 점수가 바닥까지 떨어져버리는 불상사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정상적인 이펙트를 선보인 Ornamental , RinkiRin , DORA 선수가 모두 탈락해버리는 해프닝이 벌어졌다.[9][10]

3.4. SEMI-FINAL : 개인 디버프전[편집]



3.4.1. 라운드 규칙[편집]


#1준결승 진출자들은 2명씩 조를 이루어 1:1로 맞붙게 된다.
#2각 참가자들은 지정된 디버프에 따라 레벨을 제작한다.
#3각 참가자들은 또한 피쳐링 멤버를 선택할 수 있는데, 피쳐링에 동의한 멤버는 요청 참가자의 레벨 일부를 도맡아 제작한다.[11]
#4더 높은 퀄리티의 레벨을 제작한 참가자가 결승에 진출한다.


3.4.2. 라운드 결과[편집]



3.4.2.1. niAE vs Daccaplores[편집]

참가자선정한 곡디버프피쳐링 멤버결과
niAEOvernote' - Crowning End날먹 장식[12] 사용 금지X
Daccaploresx0o0x_ - / / // / /맵 전체에 화면 흔들기 1% 이상 사용Bori

3.4.2.2. 수론잉 vs PillyXD[편집]

참가자선정한 곡디버프피쳐링 멤버결과
수론잉Overnote' - LiLT필터 넣을 시 상시 6개 겹쳐 사용공구함
PillyXDかめりあ - KillerToy맵 30% 이상 " 길 애니메이션 퇴장 수축 " 사용X

3.4.2.3. 시온7264 vs dkfdfkdk[편집]

참가자선정한 곡디버프피쳐링 멤버결과
시온7264Toby Fox - THE WORLD REVOLVING [13]타일 30% 이상을 길 색상 #ffffff로 설정 (투명도 금지)Ornamental
dkfdfkdkTanger - SOLYPSIS모든 장식을 에디터 화면과 플레이 화면에 보이게 하기X

3.4.2.4. 냉동치킨 vs _OrangeFJ[편집]

참가자선정한 곡디버프피쳐링 멤버결과
냉동치킨Cutos - AGAINST ALL ODDS모션이 아닌 카메라 기본 확대값 118% 이하X
_OrangeFJReeK - Galaxy Collision카메라의 30% 이상을 "타일 기준 카메라" 로 설정PELEX, 오이

3.5. FINAL : 최종 결전[편집]



3.5.1. 라운드 규칙[편집]


#1결승 진출자 4명은 각자 원하는 곡으로 맵을 제작한다.
#2각 참가자는 피쳐링 멤버를 최대 2명 영입할 수 있다.
#3제작된 모든 레벨은 시청자로부터 투표를 받는다.
#4시청자와 심사위원의 투표 수를 종합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3.5.2. 라운드 결과[편집]



참가자선정한 곡피쳐링 멤버시청자 득표율(%)심사 점수총점
_OrangeFJReeK - Possessed By The Blood MoonPELEX28.5(2위)40(1위)54.25(1위)
시온7264Camellia SUPER MIX[14][15]냉동치킨, Pharah44.3(1위)30(2위)52.15(2위)
Daccaploresかめりあ - Toxic Violet CubesBori, Ornamental3.9(4위)20(3위)21.95(3위)
수론잉かめりあ - ArcheniAE, Asansis11.65(3위)10(4위)21.65(4위)

4. 대회 결과[편집]



🥇 CDF 시즌1 우승자
파일:orangefj.jpg
_OrangeFJ

🥈 CDF 시즌1 준우승자
파일:시온adofai.jpg
시온7264

🥉 CDF 시즌1 3위
파일:daccaplores.jpg
Daccaplores

최종 순위닉네임최대 진출 라운드이전 시즌 순위 변동
4수론잉결승전-
5냉동치킨준결승전-
6dkfdfkdk준결승전-
7niAE준결승전-
8PillyXD준결승전-
9wa2라운드-
9홍시Hongshi2라운드-
11Han_rang2라운드-
11PELEX2라운드-
13Ornamental2라운드-
13RinkiRin2라운드-
13DORA2라운드-
13뇌빅2라운드-
............

  • 4위 이후의 순위는 매칭된 멤버의 선전에 따라 임의로 지정된 순위이다.
  • 2라운드 진출자를 제외한 본선 진출자의 경우 순위의 신빙성이 떨어져 기재하지 않는다.
  • 본선 진출자 전원의 국적이 대한민국이기 때문에 국적은 추가로 기재하지 않는다.

5. 여담[편집]


  • 예선에서 사용된 곡인 Alphrolepis는 CDF 오리지널 곡으로, 곡 제목의 모티브는 채보 제작자인 Alpha와 Nephrolepis의 닉네임을 합친 것이다.

  • 1라운드의 C팀에서 DMusic SkyLight 선수는 ADOFAI를 그만두려 했다가, 얼떨결에 대회 예선을 통과하여 다음과 같은 다소 충격적인 파트를 제작하였다 (...) 여기서 펑크 필터에 Impact 글씨체의 FIRE!!가 돌아가는 이펙트[16]는 얼불춤 합작 팀인 Team 4%[17]Blackmagik Blazing 앨범 합작에서 Logal0[18]와 Editor AlriC[19]이 제작한 Bleed Blood에서 나온 부분에서 따온 것이다.

  • 결승에서 수론잉 선수가 Asansis라는 새로운 피처링 멤버를 섭외하였는데, 이는 사실 고퀄 맵 제작자로 알려졌던 네온빌런이라는 유저였다. 참가자들에게 자신의 정체를 들키지 않게 하기 위하여 해당 닉네임을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20] 이로 인해 해당 유저는 CDF 스트리밍에서 상당히 높은 수준의 퀄리티[21]선보이면서 많은 시청자들에게 혼동을 빚었다[22]. 여담으로 이 유저는 닉네임을 이후 이때 썼던 Asansis로 바꿔 현재까지도 이 닉네임으로 활동중이며, 이후 시즌인 CDF 2CDF 2023에선 심사위원이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16:51:04에 나무위키 CDF (시즌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개최 당시에는 Lemoni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했다.[2] Nickname - Alphrolepis by. Alpha[3] 1라운드에서 'C팀 웃음벨담당'이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였다.[4] 본인 닉네임의 영어 표기인 'NeBigh'으로 시즌2에 연달아 참여하였다.[5] 특히 B팀은 대부분의 팀원들이 입을 꾹 닫고 있었다고 한다.[6] DANI 선수의 탈주로 인한 추가합격[7] 서버 탈주로 인한 탈락 처리[8] 주최자 Irin의 구 닉네임[9] 이로 인해 CDF2에서는 다음과 같은 불상사가 없도록 규칙이 개정되었다.[10] 다만 DORA선수와 RinkiRin선수는 처음부터 뇌빅 선수의 트롤링에 재미있겠다고 동의하였으며, Ornamental 선수는 처음에 반대하였으나 추후 뇌빅 선수가 따로 사과하였고 본인은 이를 받아들였으니 더 이상 이에 대해 말이 나오지 않았으면 한다고 밝혔다.[11] 이때 피쳐링 파트는 레벨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수 없다.[12] 레터박스 , 시계 , 파편 , 그리드 , 보케[13] かめりあ Remix[14] かめりあ의 몇몇 곡들을 합쳐놓은 팬메이드 곡.[15] Lúin øf Celtchaя → Newspapers for Magicians → 2021年の魔法使いたち [We Magicians Still Alive in 2021\] → CICADA3302 → Alone Intelligence → We Could Get More Machinegun Psystyle! (And More Genre Switches) → KillerBeast → First Town Of This Journey → crystallized → KillerToy → WYSI (When You See It) → Arche → Tojita Sekai → ΩΩPART(1) → SSECRET BOSS → ΩΩPARTS(2) 순으로 등장한다.[16] 일종의 밈에 가까우며 주로 '펑크파이어'로 불린다.[17] 다음 시즌의 2라운드에서 3팀의 이름인 Team 2%의 유래인 팀이기도 하다.[18] 채보 제작[19] 이펙터. 다음 시즌에서 Critic이란 명의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20] 실수로 서버를 나가버린 것이 결정적 원인이라고.[21] 풀 이펙트 버전에서 이벤트가 무려 139,469개 사용됐다. 이로 인해 풀 이펙트 버전은 열기도 어려운 경우가 많다.[22] 물론 네온빌런 특유의 이펙과 수론잉 선수가 채팅으로 정체를 공개한 덕분에 빠르게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