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M(엔터메이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엔터메이지 카드군에 대한 내용은 Em(엔터메이지) 문서
Em(엔터메이지)번 문단을
Em(엔터메이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ㄱ]

가디언가스타가제트강귀개구리갤럭시거대전함검투수게이트 가디언고고고고블린고블린라이더고스트릭고요우고티스공아단군관그레이돌그림자 여섯 무사극성금지된기괴기교기믹 퍼핏기아기아기차기황

[ㄴ]
[ㄷ]

다이너미스트다이놀피어대행자더스튼데몬데블리철데스완구데스티니 히어로데스피아도도도도레미코드드라이트론드래곤메이드드래그니티드래그마디아벨스타디지털 버그

[ㄹ]

라뷰린스라의 익신룡라이트로드레드 데몬레조네이터레프티레스령사령수령신로이드로즈 드래곤룡검사룡성루닉리브로맨서리추어

[ㅁ]

마계극단마굉신마그넷 워리어마기스토스마나둠마도서마돌체마리스보라스마린세스마술사마스크드 히어로마요괴마장전사마제스펙터마탄환매지션 걸매직비스트머메일머시너즈머티리어크톨메가리스메르피메멘토메타파이즈메탈포제명세계모케모케몽마경묘지기무사신무한기동문라이트문장수뮤트리아미계역미래황미캉코

[ㅂ]

바렐바렛바르모니카바르바로스바바리안바운서바이론방계방해꾼밸리언츠뱀파이어버스터 블레이더버제스토마베다베놈베어루크티벤데드벨즈보옥수볼캐닉봄화정봉인된 엑조디아분보그불꽃성기사붉은 눈블랙 매지션비서스=스타프로스트비스테드비전 히어로비틀트루퍼빙결계빙의장착

[ㅅ]

사이바넷사이버사이버 드래곤사이버 엔젤사이버 다크사이퍼사일런트 매지션사일런트 스워드맨삼라상검새크리파이스샐러맨그레이트생아발론샤크섀도르서브테러섬도희성각성기사성유물성잔세리온즈세븐스세이비어세이크리드세피라센츄리온소환수수호룡수호신관순성숲의 성령숲의 성수스네이크아이스마일스케어클로스크랩스타더스트스프라이트스프리건즈시계신시라누이시무르그심해십이수싱크론쌍천썬더 드래곤

[ㅇ]

아로마아르카나 포스아마조네스아머드 엑시즈아모르파지아쿠아액트리스아티팩트악마양안개 골짜기알버스의 낙윤암드 드래곤암흑 기사 가이아암흑계앤틱 기어어메이즈먼트언체인드얼루어 퀸얼터가이스트엄브럴에볼에스프릿에일리언에지임프엑소시스터엔디미온엘드리치엘리멘트세이버엘리멘틀 히어로여섯 무사염성염왕오노마토오드아이즈오르페골오파츠왈큐레요선수용기사 가이아용사운마물워크라이위치크래프트유벨유익환상수 키메라유토피아육화이그나이트이블 히어로이빌트윈인벨즈인잭터인조인간인페르노이드인페르니티일렉

[ㅈ]

재빠른잭나이츠저주받은 하인전뇌계전지맨전황점술공주점쟁이 마녀정크제너레이드제넥스제알제왕젬나이트주바바주안죽도쥬락지박지박신진룡

[ㅊ]
[ㅋ]
[ㅌ]
[ㅍ]

파괴수파라디온파샤스파이어월패왕권룡패왕룡 즈아크팬텀 나이츠퍼니멀퍼핏페어리테일펭귄포츈 레이디포탄포톤푸른 눈퓨어리프랭키즈프레데터 플랜츠프린세스 코롱플런드롤플레임벨피안

[ㅎ]

해황헤이즈비스트현세와 명계의 역전호루스호루스의 흑염룡홀리 라이트닝홀리나이츠화석화이트 아우라화합야수환마환상수환상수기환주환접의 자객환황룡후완다리즈히로익히어로히스이

[A~Z, 특수문자]

(이그니스터A(어드밴스드 보옥수ABCA·O·J[ruby(BF,ruby=블랙 페더)][ruby(BK,ruby=버닝나쿠라)][ruby(B·F,ruby=비 포스)][ruby(C,ruby=체인)][ruby(D,ruby=디포머)][ruby(DD,ruby=디디)][ruby(Em,ruby=엔터메이지)][ruby(EM,ruby=엔터메이트)][ruby(F.A.,ruby=포뮬러 애슬리트)]G골렘[ruby(GP,ruby=골드 프라이드)][ruby(Kozmo,ruby=코즈모)][ruby(LL,ruby=리리컬 루스키니아)]No.[ruby(P.U.N.K.,ruby=펑크)]PSY(싸이프레임[ruby(RR,ruby=레이드 랩터즈)][ruby(RUM,ruby=랭크 업 매직)][ruby(R-ACE,ruby=레스큐 에이스)]SD(슈퍼 디펜스 로보[ruby(Sin,ruby=신)][ruby(SPYRAL,ruby=스파이랄)][ruby(SR,ruby=스피드로이드)][ruby(S-Force,ruby=시큐리티 포스)][ruby(TG,ruby=테크지너스)]Tistina[ruby(U.A.,ruby=울트라 애슬리트)][ruby(VS,ruby=뱅키시 소울)]VWXYZ[ruby(WW,ruby=윈드 위치)]X-세이버[ruby(ZW,ruby=제알 웨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EM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EM
한국어판 명칭EM(엔터메이트
일어판 명칭EM(エンタメイト
영어판 명칭Performapal
속성종족관련 카테고리
골고루 분포골고루 분포효과, 펜듈럼, 튜너, 융합

1. 개요
2. 성능
2.1. 유희왕 OCG
2.2. 유희왕 듀얼링크스
5. 융합 몬스터
6. 마법 카드
6.2. EM 캐스트 체인지
6.3. EM 팝업
7. 함정 카드
7.1. EM 리바이벌
7.2. EM 콜
7.3. EM 핀치헬퍼
7.4. EM 쇼다운
8. 서포트 카드
8.4. 일루전 벌룬
8.5. 엔터메 밴드 허리케인
8.6. 엔터메 플래시
8.7. 급캔슬
10.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유희왕의 카드군으로 유희왕 ARC-V주인공사카키 유우야와 그의 아버지인 사카키 유우쇼가 사용하는 카드군. 관련 사항은 사카키 유우야/덱 문서 참조.

소속 몬스터 자체는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에서부터 등장하기 시작했고, 그 다음 날 발표된 V점프 (2014년 6월호) 동봉 카드인 EM 실버 크로우가 EM을 카드군으로서 지정하면서 정식으로 카드군이 되었다.

이름의 유래는 유우야가 듀얼에서 추구하는 예능(엔터테인먼트, Entertainment) + 친구(메이트, Mate). EM이라고 쓰고, 엔터메이트라고 읽는다.[1] 몬스터 이름에 말장난이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 영어명의 경우 Performer(연기자) + Pal(친구)로 단어는 좀 바뀌었으나 비슷한 의미가 되었다.

몬스터의 특징은 소속 몬스터의 대부분이 실제 동물을 모티브로 하는 점, 나비 넥타이, 모자 등을 입고 있고 있는 점, 일러스트 배경에 별이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소수의 인간형 EM 몬스터들은, 배우나 마술의 도우미 같은 무대 의상 차림을 하고 있다. 다양한 종족들이 분포되어 있는 것도 이 카드군의 특징이며, 현재 14종족이 소속되어 있다.[2] 현재 가장 많은 종족은 야수족이다. 필드 마법 EM 드라마틱시어터는 이 다양한 종족 분포의 특징을 지원해 준다. 종족별 몬스터 분류는 EM 드라마틱시어터 문서 참조.

No.와 파생 카드군이 다수 존재하는 히어로 다음으로 테마에 소속된 카드 수가 많으며, 그 대부분이 메인 덱 몬스터다. 특히 카드군에 소속된 메인 덱 몬스터 수가 가장 많은 테마다. 히어로가 유희왕 GX 시절부터 이어져 오면서 계속 지원을 받은 유서 깊은 테마임을 생각하면 실로 단시간에 어마어마한 양의 카드가 발매된 것.


2. 성능[편집]



2.1. 유희왕 OCG[편집]


  • OCG 금지제한 카드
몬스터/효과EM 멍키보드제한

"EM이란 어떤 테마인가?"를 묻는다면 굉장히 대답하기 어려운 카드군이다. 카드의 수가 엄청나게 많은 데다가 그 중 대부분이 애니메이션 특유의 특정 상황 돌파만을 위한 카드고, 마술사, 오드아이즈 등과의 연계를 상정한 카드까지 다수 존재하여 이렇다 할 컨셉으로 정리하기 어렵다. 심지어 마술사 지속 마법 카드를 다루는 EM 스카이 매지션 계통, 스마일 카드를 다루는 EM 스마일 매지션, 펜듈럼 몬스터 이외의 EM과 연계하는 슬라이핸드 매지션 등 고유의 구축을 요구하는 몬스터들도 일부 존재한다.

가능한 선에서 공통점을 따지자면, 낮은 공격력 / 수비력의 몬스터가 많은 대신 이를 펜듈럼 소환을 통한 전개력과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는 효과들로 커버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서치 효과가 뛰어난 몬스터가 상당히 많아 안정적인 펜듈럼 소환이 가능하고, 이렇게 소환된 몬스터들을 강화하거나 다른 소환법으로 연결하여 강력한 비트 다운을 선보일 수 있다. EM 트럼프 걸을 비롯한 융합 효과를 내장한 몬스터들을 사용하면 융합 소환도 어렵지 않다.

EM의 특히나 강력한 점은 뛰어난 서치 능력으로, EM 멍키보드EM 펜듈럼 매지션 등 다른 테마와는 비교를 불허하는 강력한 서치 효과가 많다. 안정적인 펜듈럼 스케일 확보 및 펜듈럼 소환할 대량의 몬스터가 중요한 펜듈럼 소환에 있어서 EM의 서치 능력은 괄목할 만한 것으로, 수많은 펜듈럼 덱에서 EM 카드를 채용하곤 했다. EM 몬스터를 기반으로 강력한 펜듈럼 카드들을 투입한 EMEm은 한때 환경권에서 엄청난 실적을 올렸다.

우수한 카드가 많은 카드군인 덕분에 EM 단일 덱으로도 충분히 운용이 가능하기는 하나, 연계성이나 성능의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흔히 사용되지는 않는다. 대신 상술한 EMEm의 예에서 볼 수 있듯 다른 펜듈럼 테마와 함께 사용되어 성능을 극대화시키는 데에 이용되곤 한다. 원작에서도 그러했듯 마술사, 오드아이즈와의 연계를 상정한 카드가 많아 사실상 한 세트라고 보아도 될 정도. EM 오드아이즈가 대표적이다.

EMEm이 너무나 강력하여 2015년 하반기 듀얼 판도에 지나친 강세를 떨친 나머지 결국 2016년 4월 리미트 레귤레이션에서 EM 펜듈럼 매지션 제한, EM 도크로배트 조커 제한, EM 멍키보드 금지라는 강력한 제재를 받았다. EM 멍키보드의 금지로 주인공이 사용하는 테마 최초로 시리즈 방영 중에 금지 카드를 만들어낸 카드군이 되었다. 이후 2017년 신 마스터 룰이 도입되고 펜듈럼 소환이 약화되면서 EM 펜듈럼 매지션이 2017년 7월에 준제한, 10월에 무제한으로 풀려 내려왔다. 마지막까지 금지 카드로 남아있던 EM 멍키보드는 이로부터로도 많은 시간이 지난 뒤인 2023년 7월에 와서야 제한으로 풀렸다.

EMEm덱이 금제로 인해 사라진 이후론 이렇다 할 승리플랜이 없어서, 마술사덱과 오드아이즈덱을 보조하는 역할로만 쓰이고 있다.

2.2. 유희왕 듀얼링크스[편집]


INFERNITY DESTRUCTION에서 R, N등급으로 일부 EM 카드들이 풀렸다. 다만 나온 당시에는 펜듈럼 소환도 없었고, 유야(유희왕 듀얼링크스)도 없었기 때문에 덱 구성 자체가 사실상 카드뭉치 수준이었다. 현재 평행세계격 인물들의 카드군 중 아예 듀링에 없는 팬텀 나이츠를 제외하면 제일 약한 덱 취급을 받는다. 일단 ARC-V 월드의 확정이 되면서 스킬들과 신규 지원 카드들이 올 것이기 때문에 기대를 해 볼 만한 상황이다.


3. 효과 몬스터 (非 펜듈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 이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효과 몬스터 (펜듈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융합 몬스터[편집]



5.1. 레벨 8[편집]



5.1.1. EM 오드아이즈 메탈 크로우[편집]


EM의 첫 엑스트라 덱 몬스터이자 첫 융합 몬스터이자 오드아이즈 보텍스 드래곤에 이은 2번째 오드아이즈 융합 몬스터.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5.1.2. EM 개틀링구울[편집]


최초의 악마족 EM 몬스터이자, EM의 2번째 융합 몬스터. EM 개틀링구울 문서 참조.


6. 마법 카드[편집]


EM 오드아이즈 프리스트의 효과를 통해서만 샐비지가 가능하며, 서치는 불가능하다. 그 이외 EM 몬스터들 중 일부는 효과로 필드 위의 해당 카드들을 카운트하는 경우도 있다.

6.1. EM 드라마틱시어터[편집]


EM 드라마틱시어터 문서 참조. EM의 종족 지원 필드 마법. EM의 종족별 몬스터 분류도 이 쪽을 참조할 것.

6.2. EM 캐스트 체인지[편집]


파일:attachment/EM/캐스트체인지.jpg파일:_00_0006_Performapal-Recasting.png
일본판해외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ruby>EM<rp>(</rp><rt>엔터메이트</rt><rp>)</rp></ruby> 캐스트 체인지,
일어판명칭=<ruby>EM<rp>(</rp><rt>エンタメイト</rt><rp>)</rp></ruby>キャスト・チェンジ,
영어판명칭=Performapal Recasting,
효과외1="EM(엔터메이트) 캐스트 체인지"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의 "EM(엔터메이트)"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상대에게 보여주고\, 덱으로 되돌려 셔플한다. 그 후\, 자신은 덱으로 되돌린 수 + 1장을 덱에서 드로우한다.)]
패의 EM를 드로우로 바꿔주는 마법 카드. 해외판에선 엉덩이 부분이 검열당했다.

EM 몬스터 전용 요술망치라고 볼 수 있다. 되돌린 수에 1장을 추가로 드로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성능이 뛰어나지만, 요술망치와는 달리 EM 몬스터만 되돌릴 수 있다는 제약이 있다.

수록 시리즈
2015-05-18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ROS-KR052 | 크로스오버 소울즈
2015-02-14 |
파일:일본 국기.svg

CROS-JP052 | CROSSOVER SOULS
2015-05-15 |
파일:미국 국기.svg

CROS-EN052 | Crossed Souls
2016-09-02 |
파일:미국 국기.svg

MP16-EN023 | 2016 Mega-Tins Mega Pack


6.3. EM 팝업[편집]


파일:EMポップアップ.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ruby>EM<rp>(</rp><rt>엔터메이트</rt><rp>)</rp></ruby> 팝업,
일어판명칭=<ruby>EM<rp>(</rp><rt>エンタメイト</rt><rp>)</rp></ruby>ポップアップ,
영어판명칭=Performapal Popperup,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패를 3장까지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그 수만큼 덱에서 드로우한다. 그 후\, 이 효과로 드로우한 수까지\,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 2장의 펜듈럼 스케일로 펜듈럼 소환 가능한 레벨을 가지는\, "EM(엔터메이트)" 몬스터\, "마술사" 펜듈럼 몬스터\, "오드아이즈" 몬스터를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하지 않았을 경우\, 자신은 자신의 패의 수 × 1000 LP를 상실한다.)]
엔터메 듀얼을 재현하는 듯한 카드로, 펜듈럼 스케일이 세트되어 있고 패에 유우야의 몬스터들이 갖추어져 있다면 사실상 한 번 더 펜듈럼 소환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효과부터 도박성이 짙으며, 이 카드의 발동에 체인해 하루 우라라를 발동한다면 펜듈럼 덱에서 패만 4장을 버리는 셈이 되므로 성능이 좋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더군다나 펜듈럼 소환이 불발될 경우 패 1장마다 1000 LP를 상실하니 여러모로 예능용 카드.

하지만 자신만 패를 교환하고 LP를 상실한다는 점을 이용해 묘지 자원을 활용하는 덱(오르페골, SPYRAL)에서 초동 잡기+덤핑 용도로 사용하거나 매지컬 익스플로전, 대역전 퀴즈와 같은 덱에서 LP 조절과 부스팅 용도로 채용되기도 한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엑시즈 페스티벌 이벤트에서 라이프 상실 수치가 어마무시하다는 점을 노려서 최대한 게임을 빨리 끝내기 위해 스스로 LP를 깎아 자멸시키는 일명 자살 덱의 키 카드로 쓰이고 있다.[3] 통상적으로 발동하기만 하면 4000 라이프가 한꺼번에 날라가기 때문에 사이버네틱 퓨전 서포트와 병행하면 고작 10초 정도로 듀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래 의도와는 전혀 다른 엉뚱한 방향으로 빛을 보게 된 셈.

결국 이러한 자살 덱이 판을 치자 2022년 3월 23일부터 시작되는 레어리티 페스티벌에서는 스스로 패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카드들을 제재한다고 한다.

수록 시리즈
2020-02-05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P23-KR047 |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6 -
R
레어

2019-11-09 |
파일:일본 국기.svg

DP23-JP047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
R
레어

2020-01-17 |
파일:미국 국기.svg

LED6-EN047 | Legendary Duelists: Magical Hero
R
레어

2022-07-22 |
파일:미국 국기.svg

LDS3-EN132 | Legendary Duelists: Season 3


7. 함정 카드[편집]


EM 오드아이즈 프리스트의 효과를 통해서만 샐비지가 가능하며, 서치는 불가능하다. 그 이외 EM 몬스터들 중 일부는 효과로 필드 위의 해당 카드들을 카운트하는 경우도 있다.

7.1. EM 리바이벌[편집]


파일:attachment/EM/리바이벌.jpg파일:_00_0008_Performapal-Revival.png
일본판해외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ruby>EM<rp>(</rp><rt>엔터메이트</rt><rp>)</rp></ruby> 리바이벌,
일어판명칭=<ruby>EM<rp>(</rp><rt>エンタメイト</rt><rp>)</rp></ruby>リバイバル,
영어판명칭=Performapal Revival,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EM(엔터메이트)"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자신의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경우, 패 / 묘지에서 EM를 불러오는 함정 카드.

해외판에서는 데스완구랑 비슷하게 칼 부분이 빛나는 검이 되었다. 이전에는 도검류가 일러스트에 그려져 있어도 그다지 심각한 탄압이 없었는데 총기류뿐만 아니라 도검류에 대해서도 심의가 엄격해진 듯하다.

수록 시리즈
2014-10-2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NECH-KR070 | 넥스트 챌린저스
2014-07-19 |
파일:일본 국기.svg

NECH-JP070 | NEXT CHALLENGERS
2014-11-07 |
파일:미국 국기.svg

NECH-EN070 | The New Challengers
2015-06-12 |
파일:미국 국기.svg

SP15-EN047 | Star Pack ARC-V[SH]
P
패러렐(노멀)

2015-09-18 | MP15-EN179 | 2015 Mega-Tins Mega Pack


7.2. EM 콜[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033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ruby>EM<rp>(</rp><rt>엔터메이트</rt><rp>)</rp></ruby> 콜,
일어판명칭=<ruby>EM<rp>(</rp><rt>エンタメイト</rt><rp>)</rp></ruby>コール,
영어판명칭=Performapal Call,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에\, 그 공격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하고\, 수비력의 합계가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 이하가 되도록\, 덱에서 "EM(엔터메이트) 몬스터를 2장까지 패에 넣는다. 이 카드의 발동 후\, 다음 자신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상대의 직접 공격을 무효로 하고 덱에서 EM를 서치하는 함정 카드. 서치 효과는 나쁘진 않지만, 엑스트라 덱 특수 소환 불가 제약이 치명적이라 써먹기 힘들다.

수록 시리즈
2015-02-13 | SECE-KR067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
2014-11-15 | SECE-JP067 | THE SECRET OF EVOLUTION
2015-01-16 | SECE-EN067 | Secrets of Eternity
2015-09-18 | MP15-EN236 | 2015 Mega-Tins Mega Pack


7.3. EM 핀치헬퍼[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159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ruby>EM<rp>(</rp><rt>엔터메이트</rt><rp>)</rp></ruby> 핀치헬퍼,
일어판명칭=<ruby>EM<rp>(</rp><rt>エンタメイト</rt><rp>)</rp></ruby>ピンチヘルパー,
영어판명칭=Performapal Pinch Helper,
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에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하고\, 덱에서 "EM(엔터메이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2=②: 자신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 이 된다.)]
직접 공격 시에 그걸 무효로 하고 덱의 EM를 특수 소환하고, 묘지로 보내서 전투 데미지를 틀어막을 수 있는 카드. 그리고 보면 알겠지만, 발동과 동시에 효과가 발동되는 게 아닌, 발동과 효과가 따로 떨어져 있다. 즉 이 카드가 필드에 남아 있기만 해도 직접 공격을 무효로 하는 동시에 EM를 꺼낼 수 있다는 점. 지속 함정이라서, 매 턴 상대가 때려줄 때마다 몬스터의 공격을 두 번이나 막아주고 덱도 압축시켜주는 고마운 카드다. 전투 데미지 무효 효과는 쓰면 묘지로 보내지니까 상황을 보면서 사용해야 할 것이다. 어차피 마법 / 함정 견제 카드가 많아진 이상 제거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전투 데미지 무효 효과를 써도 아깝지 않을 때 사용하자.

원작에서는 공격력 800 이하의 EM만 소환할 수 있었다. OCG화되면서 대폭 상향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5-05-18 | CROS-KR066 | 크로스오버 소울즈
2016-08-12 | ST16-KR032 | 스타터 덱 2016
2015-02-14 | CROS-JP066 | CROSSOVER SOULS
2016-03-19 | ST16-JP032 | STARTER DECK 2016
2015-05-15 | CROS-EN066 | Crossed Souls
2016-05-27 | YS16-EN032 | Starter Deck Yuya
2016-09-02 | MP16-EN030 | 2016 Mega-Tins Mega Pack


7.4. EM 쇼다운[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402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ruby>EM<rp>(</rp><rt>엔터메이트</rt><rp>)</rp></ruby> 쇼다운,
일어판명칭=<ruby>EM<rp>(</rp><rt>エンタメイト</rt><rp>)</rp></ruby>ショーダウン,
영어판명칭=Performapal Show Down,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마법 카드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OCG 공식 트위터의 9만 팔로워 기념으로 EM 쇼다운의 풀 일러스트가 공개되었다.

효과는 개기일식의 서의 상호 호환으로, 일반 함정이라 속공성은 떨어지지만, 상대에게 드로우를 주는 효과는 없다. 펜듈럼 존의 펜듈럼 몬스터도 마법 카드로 취급하기에 시너지를 노릴 수 있다.

수록 시리즈
2016-08-12 | ST16-KR031 | 스타터 덱 2016
2016-03-19 | ST16-JP031 | STARTER DECK 2016
2016-05-27 | YS16-EN031 | Starter Deck Yuya


8. 서포트 카드[편집]



8.1. 베리어 버블[편집]



8.2. 천공의 홍채[편집]



8.3. 초히포 카니발[편집]



8.4. 일루전 벌룬[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031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일루전 벌룬,
일어판명칭=イリュージョン・バルーン,
영어판명칭=Illusion Balloons,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파괴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5장 넘긴다. 그 중에서 "EM(엔터메이트)"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남은 카드는 덱으로 되돌리고 셔플한다.)]
자신의 몬스터가 파괴된 턴 덱 위의 카드를 넘기고 EM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속공 마법 카드.

수록 시리즈
2015-02-13 | SECE-KR053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
2014-11-15 | SECE-JP053 | THE SECRET OF EVOLUTION
2015-01-16 | SECE-EN053 | Secrets of Eternity
2015-06-12 | SP15-EN044 | Star Pack ARC-V[SH]
2015-09-18 | MP15-EN226 | 2015 Mega-Tins Mega Pack


8.5. 엔터메 밴드 허리케인[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871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엔터메 밴드 허리케인,
일어판명칭=エンタメ・バンド・ハリケーン,
영어판명칭=Performance Hurricane,
효과외1="엔터메 밴드 허리케인"은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EM(엔터메이트)" 몬스터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엔터메이트 전용 허리케인. 허리케인과 다른 점은 몬스터도 건드릴 수 있다는 것. 그러나 EM 카드가 아니라서 서치가 불가능하다.

원작에선 EM 몬스터가 3장 이상 있을 때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되돌리는 효과였기에 상향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6-02-01 | BOSH-KR056 |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
2015-10-17 | BOSH-JP056 | BREAKERS OF SHADOW
2016-01-15 | BOSH-EN056 | Breakers of Shadow
2016-09-02 | MP16-EN214 | 2016 Mega-Tins Mega Pack


8.6. 엔터메 플래시[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885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엔터메 플래시,
일어판명칭=エンタメ・フラッシュ,
영어판명칭=Command Performance,
효과1=①: 자신 필드에 "EM(엔터메이트)"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앞면 공격 표시 몬스터는 전부 수비 표시가 되고\, 그 몬스터는 다음 턴의 종료시까지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없다.)]
EM가 존재할 경우, 상대의 공격 표시 몬스터를 전부 수비 표시로 변경하는 함정 카드. 성방을 쓰는 것이 훨씬 낫지만 굳이 장점을 꼽자면 남겨두면 상생의 마술사의 스케일 유지에 도움을 줄 수도 있고, 패왕흑룡의 먹잇감이 늘어난다. 또한 핵심적으로 이 함정은 공격 반응형 함정이 아니기 때문에 프리 체인으로 발동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

수록 시리즈
2014-10-20 | NECH-KR069 | 넥스트 챌린저스
2014-07-19 | NECH-JP069 | NEXT CHALLENGERS
2014-11-07 | NECH-EN069 | The New Challengers
2015-06-12 | SP15-EN046 | Star Pack ARC-V[SH]
2015-09-18 | MP15-EN178 | 2015 Mega-Tins Mega Pack


8.7. 급캔슬[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033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급캔슬,
일어판명칭=ドタキャン,
영어판명칭=Last Minute Cancel,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수비 표시로 한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전투 / 효과로 파괴된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EM(엔터메이트)" 몬스터는 묘지로는 가지 않고 주인의 패로 되돌아간다.)]
상대의 공격 선언 시 자기 몬스터를 전부 수비 표시로 하고, 그 턴 중 파괴될 EM들을 패로 되돌리는 함정 카드.

문제는 타이밍이 공격 선언시에다가, 상대 필드를 건드리지 않아 자신의 몬스터를 지켜줄 수 없다는 점. 공격 반응형 함정 카드에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같은 강력한 카드가 넘친다는 것을 고려하면 차별화하기 매우 어려운 카드.

어원은 일본어로 "찰나, 그 순간, 막"의 의미인 "と(ど)たん" + 영어로 "취소"를 뜻하는 Cancel(キャンセル)의 합성어로, 본래 일본 연예계에서 연예인이 이벤트/프로그램에 출연하기로 해놓고 직전에 취소하는 행위를 가리키는 업계은어다. 일단 어원을 철저하게 따라 번역하면 "급캔"이 되며, 한글 정발명도 이를 어느 정도 따라서 급캔슬이 되었다.

말 그대로 일러스트에서는 디스커버 히포와 치어몰이 고대의 몬스터 드림 삐에로에게 무언가에 대한 (긴급) 거부 의사를 표현하고 있다. 이름을 봐선 드림 삐에로의 효과[4] 때문에 공연에 나가기 직전에 출연을 거부당해서 공연이 취소된 듯.

수록 시리즈
2015-02-13 | SECE-KR069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
2014-11-15 | SECE-JP069 | THE SECRET OF EVOLUTION
2015-01-16 | SECE-EN069 | Secrets of Eternity
2015-09-18 | MP15-EN238 | 2015 Mega-Tins Mega Pack


9. OCG화되지 않은 카드[편집]





10. 관련 문서[편집]




[1] 열혈! 듀얼 학원 설명.[2] 이 카드군에 없는 종족은 공룡족, 기계족, 사이킥족, 번개족, 언데드족, 화염족, 환룡족, 해룡족. 사이버스족은 ARC-V 종영 이후 등장했고, 환신야수족과 창조신족은 각각 삼환신빛의 창조신 호르아크티 전용 종족.[3] 항복 선언을 제외하면 승패 유무에 상관없이 모두가 메달 점수를 얻게 되는데, 이런 점을 간파해낸 전술이다. 코나미가 이에 승리 보상을 패배 보상의 10배가 되게 늘려버린 뒤로는 사실상 사장된 덱.[SH] A B C [4] 이 카드에 딱 맞게 대응되는 이 카드가 공격 표시에서 수비 표시가 될 경우 상대 몬스터를 1장 파괴하는 효과이다. 때문에 어느 쪽이 상대 취급이냐에 따라 디스커버 히포, 치어몰 혹은 관객들이(...) 죽어나가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당연히 어느 경우든 싫을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