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Glitter(머라이어 캐리)

덤프버전 :

파일:MARIAH CAREY.png

[ 정규 앨범 ]
파일:mcmc.jpg
파일:mce.jpg
파일:mcmb.jpg
파일:merrychristmas.jpg
Mariah Carey
정규 1집

1990. 06. 12.
Emotions
정규 2집

1991. 09. 13.
Music Box
정규 3집

1993. 08. 31.
Merry Christmas
정규 4집

1994. 10. 28.
파일:mcd.jpg
파일:mcb.jpg
파일:mcr1.jpg
파일:mcg.jpg
Daydream
정규 5집

1995. 09. 26.
Butterfly
정규 6집

1997. 09. 10.
Rainbow
정규 7집

1999. 10. 27.
Glitter
정규 8집

2001. 08. 18.
파일:Charmbracelet.jpg
파일:mcteom.jpg
파일:mcemc2.jpg
파일:Memoirs of an imperfect Angel.jpg
Charmbracelet
정규 9집

2002. 11. 20.
The Emancipation of Mimi
정규 10집

2005. 03. 30.
E=MC²
정규 11집

2008. 04. 14.
Memoirs of an Imperfect Angel
정규 12집

2009. 09. 22.
파일:mcmciy.jpg
파일:mcmimtec1.jpg
파일:mccaution.jpg
Merry Christmas II You
정규 13집

2010. 11. 02.
Caution
정규 15집

2018. 11. 16.
[ EP ]
파일:mcmtv.jpg
파일:Valentines_cover.jpg
파일:mctld.jpg
MTV Unplugged
EP 1집

1992. 06. 02.
Valentines
EP 2집

2000. 01. 28.
The Live Debut - 1990
EP 3집

2020. 07. 17.
[ 컴필레이션 앨범 ]
파일:mcnumberones.jpg
파일:mcgh.jpg
파일:external/4.bp.blogspot.com/Mariah-Carey-The-Ballads-450140.jpg
파일:external/www.israbox.com/1265759036_cover.jpg
#1's
컴필레이션 1집

1998. 11. 16.
Greatest Hits
컴필레이션 2집

2001. 12. 04.
The Ballads
컴필레이션 3집

2008. 10. 17.
Playlist: The Very Best of Mariah Carey
컴필레이션 4집

2010. 01. 26.
파일:external/s.cdon.com/the_essential_mariah_carey_2cd-13444494-frntl.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Ov736DZhL._.jpg
파일:mcjb.jpg
파일:mctr.jpg
The Essential Mariah Carey
컴필레이션 5집

2011. 01. 07.
#1 to Infinity
컴필레이션 6집

2015. 05. 15.
Japan Best
컴필레이션 7집

2018. 10. 17.
The Rarities
컴필레이션 8집

2020. 10. 02.
[ 정규 싱글 ]

1990년대 발매 싱글
ᴠɪsɪᴏɴ ᴏғ ʟᴏᴠᴇ · ʟᴏᴠᴇ ᴛᴀᴋᴇs ᴛɪᴍᴇ · sᴏᴍᴇᴅᴀʏ · ɪ ᴅᴏɴ'ᴛ ᴡᴀɴɴᴀ ᴄʀʏ · ᴛʜᴇʀᴇ's ɢᴏᴛ ᴛᴏ ʙᴇ ᴀ ᴡᴀʏ · ᴇᴍᴏᴛɪᴏɴs · ᴄᴀɴ'ᴛ ʟᴇᴛ ɢᴏ · ᴍᴀᴋᴇ ɪᴛ ʜᴀᴘᴘᴇɴ · ɪ'ʟʟ ʙᴇ ᴛʜᴇʀᴇ · ɪғ ɪᴛ's ᴏᴠᴇʀ · ᴅʀᴇᴀᴍʟᴏᴠᴇʀ · ʜᴇʀᴏ · ᴡɪᴛʜᴏᴜᴛ ʏᴏᴜ / ɴᴇᴠᴇʀ ғᴏʀɢᴇᴛ ʏᴏᴜ · ᴀɴʏᴛɪᴍᴇ ʏᴏᴜ ɴᴇᴇᴅ ᴀ ғʀɪᴇɴᴅ · ᴇɴᴅʟᴇss ʟᴏᴠᴇ · ᴀʟʟ ɪ ᴡᴀɴᴛ ғᴏʀ ᴄʜʀɪsᴛᴍᴀs ɪs ʏᴏᴜ · ᴍɪss ʏᴏᴜ ᴍᴏsᴛ (ᴀᴛ ᴄʜʀɪsᴛᴍᴀs ᴛɪᴍᴇ) · ғᴀɴᴛᴀsʏ · ᴏɴᴇ sᴡᴇᴇᴛ ᴅᴀʏ · ᴊᴏʏ ᴛᴏ ᴛʜᴇ ᴡᴏʀʟᴅ · ᴏᴘᴇɴ ᴀʀᴍs · ᴀʟᴡᴀʏs ʙᴇ ᴍʏ ʙᴀʙʏ · ғᴏʀᴇᴠᴇʀ · ᴜɴᴅᴇʀɴᴇᴀᴛʜ ᴛʜᴇ sᴛᴀʀs · ʜᴏɴᴇʏ · ʙᴜᴛᴛᴇʀғʟʏ · ᴛʜᴇ ʀᴏᴏғ (ʙᴀᴄᴋ ɪɴ ᴛɪᴍᴇ) · ʙʀᴇᴀᴋᴅᴏᴡɴ · ᴍʏ ᴀʟʟ · sᴡᴇᴇᴛʜᴇᴀʀᴛ · ᴡʜᴇɴ ʏᴏᴜ ʙᴇʟɪᴇᴠᴇ · ɪ sᴛɪʟʟ ʙᴇʟɪᴇᴠᴇ · ʜᴇᴀʀᴛʙʀᴇᴀᴋᴇʀ
2000년대 발매 싱글
ᴛʜɪɴɢs ᴛʜᴀᴛ ᴜ ᴅᴏ · ᴛʜᴀɴᴋ ɢᴏᴅ ɪ ғᴏᴜɴᴅ ʏᴏᴜ · ᴀɢᴀɪɴsᴛ ᴀʟʟ ᴏᴅᴅs (ᴛᴀᴋᴇ ᴀ ʟᴏᴏᴋ ᴀᴛ ᴍᴇ ɴᴏᴡ) · ᴄʀʏʙᴀʙʏ / ᴄᴀɴ'ᴛ ᴛᴀᴋᴇ ᴛʜᴀᴛ ᴀᴡᴀʏ (ᴍᴀʀɪᴀʜ's ᴛʜᴇᴍᴇ) · ᴀɢᴀɪɴsᴛ ᴀʟʟ ᴏᴅᴅs · ʟᴏᴠᴇʀʙᴏʏ · ʀᴇғʟᴇᴄᴛɪᴏɴs (ᴄᴀʀᴇ ᴇɴᴏᴜɢʜ) · ɴᴇᴠᴇʀ ᴛᴏᴏ ғᴀʀ · ᴅᴏɴ'ᴛ sᴛᴏᴘ (ғᴜɴᴋɪɴ' 4 ᴊᴀᴍᴀɪᴄᴀ) · ɴᴇᴠᴇʀ ᴛᴏᴏ ғᴀʀ/ʜᴇʀᴏ ᴍᴇᴅʟᴇʏ · ᴛʜʀᴏᴜɢʜ ᴛʜᴇ ʀᴀɪɴ · ʙᴏʏ (ɪ ɴᴇᴇᴅ ʏᴏᴜ) · ɪ ᴋɴᴏᴡ ᴡʜᴀᴛ ʏᴏᴜ ᴡᴀɴᴛ · Bringin' On the Heartbreak · ᴜ ᴍᴀᴋᴇ ᴍᴇ ᴡᴀɴɴᴀ · ɪᴛ's ʟɪᴋᴇ ᴛʜᴀᴛ · ᴡᴇ ʙᴇʟᴏɴɢ ᴛᴏɢᴇᴛʜᴇʀ · sʜᴀᴋᴇ ɪᴛ ᴏғғ · ɢᴇᴛ ʏᴏᴜʀ ɴᴜᴍʙᴇʀ · ᴅᴏɴ'ᴛ ғᴏʀɢᴇᴛ ᴀʙᴏᴜᴛ ᴜs · sᴏ ʟᴏɴᴇʟʏ · ғʟʏ ʟɪᴋᴇ ᴀ ʙɪʀᴅ · sᴀʏ sᴏᴍᴇᴛʜɪɴ' · ʟɪʟ' ʟ.ᴏ.ᴠ.ᴇ. · ᴛᴏᴜᴄʜ ᴍʏ ʙᴏᴅʏ · ʙʏᴇ ʙʏᴇ · ɪ'ʟʟ ʙᴇ ʟᴏᴠɪɴ' ᴜ ʟᴏɴɢ ᴛɪᴍᴇ · ɪ sᴛᴀʏ ɪɴ ʟᴏᴠᴇ · ᴍʏ ʟᴏᴠᴇ · ᴏʙsᴇssᴇᴅ · ɪ ᴡᴀɴᴛ ᴛᴏ ᴋɴᴏᴡ ᴡʜᴀᴛ ʟᴏᴠᴇ ɪs · ʜ.ᴀ.ᴛ.ᴇ.ᴜ.
2010년대 발매 싱글
ᴜᴘ ᴏᴜᴛ ᴍʏ ғᴀᴄᴇ · ᴀɴɢᴇʟs ᴄʀʏ · ᴏʜ sᴀɴᴛᴀ! · ᴀᴜʟᴅ ʟᴀɴɢ sʏɴᴇ (ᴛʜᴇ ɴᴇᴡ ʏᴇᴀʀ's ᴀɴᴛʜᴇᴍ) · ᴡʜᴇɴ ᴄʜʀɪsᴛᴍᴀs ᴄᴏᴍᴇs · ᴀʟʟ ɪ ᴡᴀɴᴛ ғᴏʀ ᴄʜʀɪsᴛᴍᴀs ɪs ʏᴏᴜ (sᴜᴘᴇʀғᴇsᴛɪᴠᴇ!) · ᴛʀɪᴜᴍᴘʜᴀɴᴛ (ɢᴇᴛ 'ᴇᴍ) · ᴀʟᴍᴏsᴛ ʜᴏᴍᴇ · #ʙᴇᴀᴜᴛɪғᴜʟ · ᴛʜᴇ ᴀʀᴛ ᴏғ ʟᴇᴛᴛɪɴɢ ɢᴏ · ʏᴏᴜ'ʀᴇ ᴍɪɴᴇ (ᴇᴛᴇʀɴᴀʟ) · ʏᴏᴜ ᴅᴏɴ'ᴛ ᴋɴᴏᴡ ᴡʜᴀᴛ ᴛᴏ ᴅᴏ · ɪɴғɪɴɪᴛʏ · ɪ ᴅᴏɴ'ᴛ · ɢᴛғᴏ · ᴡɪᴛʜ ʏᴏᴜ · ᴀ ɴᴏ ɴᴏ · ɪɴ ᴛʜᴇ ᴍɪx
2020년대 발매 싱글
sᴀᴠᴇ ᴛʜᴇ ᴅᴀʏ · ᴏᴜᴛ ʜᴇʀᴇ ᴏɴ ᴍʏ ᴏᴡɴ · ᴏʜ sᴀɴᴛᴀ! · ʜᴇʀᴇ ᴡᴇ ɢᴏ ᴀʀᴏᴜɴᴅ ᴀɢᴀɪɴ · ᴡʜᴇʀᴇ ɪ ʙᴇʟᴏɴɢ · sᴏᴍᴇᴡʜᴀᴛ ʟᴏᴠᴇᴅ (ᴛʜᴇʀᴇ ʏᴏᴜ ɢᴏ ʙʀᴇᴀᴋɪɴ' ᴍʏ ʜᴇᴀʀᴛ) · ғᴀʟʟ ɪɴ ʟᴏᴠᴇ ᴀᴛ ᴄʜʀɪsᴛᴍᴀs · ʙɪɢ ᴇɴᴇʀɢʏ (ʀᴇᴍɪx)





머라이어 캐리 음반
8집
Glitter
(2001)
EP 1집
Valentines
(2000)
컴필레이션 2집
Greatest Hits
(2001)

The 8th Studio Album
Glitter
파일:mcg.jpg
발매2001년 8월 18일[1]
2001년 9월 11일[2]
프로듀서머라이어 캐리, 지미 잼 & 테리 루이스, 제임스 "빅 짐" 라이트, DJ 클루, 듀로, 클락 켄트, 다미자, 릭 제임스, 월터 아파나시에프
장르힙합, 펑크, R&B
레이블파일:버진 레코드 로고.png
녹음 기간2000년 11월 ~ 2001년 3월
길이51:45

1. 개요
2. 평가
3. 성적
4. #JusticeForGlitter
5. 싱글
6. 트랙리스트[3]



1. 개요[편집]


2001년 9월 11일에 발매된 머라이어 캐리의 여덟 번째 정규 앨범이자, 주연을 맡은 영화 〈Glitter〉의 사운드트랙 앨범이다.


2. 평가[편집]


당시 머라이어 캐리는 1990년도 데뷔 이후 10년간 같이 일해왔던 소니 뮤직과 결별하고 버진 레코드로 이적한 뒤 곧바로 새로운 앨범 작업에 들어갔었다.

머라이어 캐리 입장에선 소니 뮤직, 정확히는 전 남편 토미 머톨라 에게서 벗어난 뒤 새로운 음반제작에 나선 것이기 때문에 동명의 영화 촬영과 병행하며 열심히 음반을 제작하기 시작했다.[4]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앨범, 영화 제작시기에 여러가지 암초를 만났고[5] 결국 영화나 음반이나 전부 혹평속에 둘다 상업적으로 실패하였다. [6]

어쨌든 머라이어 캐리의 첫번째 침체기를 가져왔던 앨범인지라 팬들 사이에선 대단히 아쉬워하는 앨범이다.

3. 성적[편집]


차트 및 판매량
[ 펼치기 · 접기 ]
국가순위판매량인증
일본1450,000-
그리스1N/A-
미국7680,000-
영국1060,000-
프랑스5121,900플래티넘
독일750,000-
캐나다440,000-
오스트레일리아1310,000-
벨기에10N/A-
오스트리아145,000-
이탈리아525,000-
스페인350,000-
스웨덴305,000-
스위스1020,000-
덴마크12N/A-
노르웨이11N/A-
네덜란드1220,000-
브라질-60,000-
멕시코-N/A-
아르헨티나-N/A-
뉴질랜드115,000-
인도네시아-80,000-
말레이시아630,000-
싱가포르-40,0002x 플래티넘
홍콩-25,000-
대만-75,000-
한국12[1]70,000
비공식 100,000
-
월드2,000,000[2]
[1] 월간 차트[2] 아시아: 830,000 유럽:420,000

1990년대에 웬만하면 1000만장 가까이는 팔았던 머라이어 캐리였지만 영화마저 실패하면서 음반 판매량도 대폭 주저앉았다. 물론 이때부터 음원 불법 다운로드가 기승을 부렸고, 이에 음반시장도 불황이었으나[7] 머라이어 캐리 이름값에 비하면 초라한 성적이었다. 이에 버진 레코드측은 위약금까지 쥐어주면서 머라이어 캐리와 계약을 해지했었다.[8]

4. #JusticeForGlitter[편집]


파일:jfglitter.jpg
“My fans are THE BEST”
“내 팬들이 최고야”

- 머라이어 캐리 -


5. 싱글[편집]


리드 싱글
Loverboy
두 번째 싱글
Never Too Far
세 번째 싱글
Don't Stop (Funkin' 4 Jamaica)
네 번째 싱글
Reflections (Care Enough)
2001.06.182001.08.142001.09.112001.09.27
파일:l_mc.jpg파일:ntf_mc.jpg파일:ds_mc.jpg파일:r_mc.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머라이어 캐리/싱글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트랙리스트[9][편집]


Glitter
트랙제목
1Loverboy (remix) (featuring Da Brat, Ludacris, Twenty II and Shawnna)
2Lead the Way
3If We (featuring Ja Rule and Nate Dogg)
4Didn't Mean to Turn You On
5파일:single_sign.png Don't Stop (Funkin' 4 Jamaica) (featuring Mystikal)
6All My Life
7파일:single_sign.png Reflections (Care Enough)
8Last Night a DJ Saved My Life (featuring Busta Rhymes, Fabolous, DJ Clue)
9Want You (featuring Eric Benét)
10파일:single_sign.png Never Too Far
11Twister
12파일:single_sign.png Loverboy (featuring Cameo)
Japanese edition
13Loverboy (MJ Cole main remix radio edit)



[1] 일본[2] 미국[3] 파일:single_sign.png = 정식 싱글 파일:singlepromo_sign.png = 프로모, 홍보, 한정 발매 싱글[4] 지금도 가끔가다 머라이어 캐리의 성공엔 토미 머톨라의 힘 덕분이라며 비난을 받는데 이때는 훨씬 심했었다...본인입장에선 나름 거슬렸던 부분이었을 것이다. 물론 토미 머톨라와 소니 뮤직의 지원이 엄청났던것도 사실이다.[5] 리드싱글에 사용하려고 했던 샘플링 도난, 음반발매 당일날 9.11테러[6] 음반은 그래도 디스코풍의 펑키한 분위기를 잘 살렸는지라 나중에 다시 재평가 받긴 하였다.[7] 거기다 9.11테러로 미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추모분위기로 가라앉았던 시기였다.[8] 그래도 이때 두둑히 주면서잘 해결했는지, 별 잡음 없이 잘 헤어졌다.[9] 파일:single_sign.png = 정식 싱글 파일:singlepromo_sign.png = 프로모, 홍보, 한정 발매 싱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