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beatmania IIDX 28 BISTROVER/단위인정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beatmania IIDX 28 BISTROVER



  • 전작과 구성이 동일한 단위
    • 싱글 플레이: 2급, 1급, 2단, 5단
    • 더블 플레이: 7급, 6급, 5급, 3급
  • 저난이도 단위에서 스크래치곡과 차지노트곡의 비중이 늘어났다.

1. 싱글 플레이
1.1. 급(級)
1.1.1. 7급
1.1.2. 6급
1.1.3. 5급
1.1.4. 4급
1.1.5. 3급
1.1.6. 2급
1.1.7. 1급
1.2. 단(段)
1.2.1. 초단
1.2.2. 2단
1.2.3. 3단
1.2.4. 4단
1.2.5. 5단
1.2.6. 6단
1.2.7. 7단
1.2.8. 8단
1.2.9. 9단
1.2.10. 10단
1.3. 전(伝)
1.3.1. 중전
1.3.2. 개전
2. 더블 플레이
2.1. 급(級)
2.1.1. 7급
2.1.2. 6급
2.1.3. 5급
2.1.4. 4급
2.1.5. 3급
2.1.6. 2급
2.1.7. 1급
2.2. 단(段)
2.2.1. 초단
2.2.2. 2단
2.2.3. 3단
2.2.4. 4단
2.2.5. 5단
2.2.6. 6단
2.2.7. 7단
2.2.8. 8단
2.2.9. 9단
2.2.10. 10단
2.3. 전(伝)
2.3.1. 중전
2.3.2. 개전
3. 단위인정 -극-
3.1. 개요
3.2. 단위별 대상 버전 및 해금 요소


1. 싱글 플레이[편집]



1.1. 급(級)[편집]



1.1.1. 7급[편집]


파일:28_7급.png

전곡이 교체되었다.
특이점으로 4스테이지를 제외한 곡이 전부 외부 라이센스 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1.1.2. 6급[편집]


파일:28_6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ガヴリールドロップキック3207
2ndU.S.A.3287
3rdSweet Clapper3285
Finalchrono diver -fragment-3347

2스테이지를 제외하고 전부 교체되었다.
7급과 마찬가지로 4스테이지를 제외한 곡이 전부 외부 라이센스 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1.1.3. 5급[편집]


파일:28_5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4395
2ndAmor De Verão4404
3rdvault of heaven4401
Finalバビロニア4422

2, 3스테이지가 교체되었다.


1.1.4. 4급[편집]


파일:28_4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Urban Constellations4362
2ndfffff4431
3rdSilvia Drive4429
FinalShe is my wife5358

1, 3스테이지가 교체되었다.


1.1.5. 3급[편집]


파일:28_3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ミッドナイト☆WAR5414
2nd405nm(Ryu☆mix)5467
3rdSigSig5548
FinalEXTREME MACH COLLIDER5527

1, 4스테이지의 곡이 교체되었다.


1.1.6. 2급[편집]


파일:28_2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sync6549
2ndとろぴかる倶楽部5432
3rdsakura storm5529
Finalライオン好き5600

전작과 동일하다.


1.1.7. 1급[편집]


파일:28_1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MENDES6573
2ndDigital Skipper6504
3rdDaisuke6613
FinalWith your Smile6597

전작과 동일하다
1스테에서 까인 게이지를 2스테와 3스테에서 회복을 못 하면 마지막 스테이지 클리어가 힘들다


1.2. 단(段)[편집]



1.2.1. 초단[편집]


파일:28_초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Last Dance6616
2ndLevel One6647
3rdYou'll say "Now!"6629
FinalHAPPY☆ANGEL7782

모든 곡이 교체되었다. 이번에 추가된 You'll say "Now!"가 최대 고비로 꼽힌다. 후반의 6,7키 연타[1] 8분박 난타에 이 곡만의 독특한 리듬과 보면 때문에 비마니 위키 에서는 7렙 중~상위로 분류한다. 이 때문에 클리어율 30퍼센트대를 기록중이다.

마지막 스테이지의 HAPPY☆ANGEL은 HAPPY SKY때 2단에 수록된 적이 있으나, 이전의 보스곡이었던 I Was The One (80's EUROBEAT STYLE) SPH가 6 중에서 알아주는 불렙이었고 HAPPY☆ANGEL은 7 중에서 그렇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체감 난도차이가 크진 않다.

1.2.2. 2단[편집]


파일:28_2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Monkey Dance7690
2ndbloomin' feeling7643
3rdZenius -I- vanisher7790
FinalAbyss7817

전작과 구성이 동일하다.


1.2.3. 3단[편집]


파일:28_3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梅雪夜7759
2ndIDC feat. REVERBEE(Mo'Cuts Ver) 7557
3rdPresto8498
FinalMusic is The Answer8726

梅雪夜가 2스테이지에서 1스테이지로 바뀌고, 기존 1스테이지에 있던 Flip Flap가 빠진 대신 2스테이지에 IDC feat. REVERBEE(Mo'Cuts Ver)가 들어왔다.


1.2.4. 4단[편집]


파일:28_4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ÆTHER8833
2nd虹色8792
3rdTA・DA☆YO・SHI8849
FinalQQQ8961

1, 4스테이지가 바뀌었다. 즉 7th부터 4단에 개근했던 era(nostalmix)와 기존 4단 보스곡이었던 R5가 빠진 것.
마지막 곡인 QQQ 하이퍼는 단위인정 도입 초기에 5단에 수록되어 있었다.


1.2.5. 5단[편집]


파일:28_5단.png

이번에도 동일한 구성이다.


1.2.6. 6단[편집]


파일:28_6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Boomy and The Boost91042
2ndDigitank System9815
3rdSphere9996
FinalHurry Hurry91045

모든 스테이지의 곡이 바뀌었다. 또한 싱글 6단에서는 시리즈 최초로 ANOTHER 난이도가 과제곡으로 들어왔다.

전작과 동일하게 2스테이지에 스크래치곡이 배정되었고 전체적으로 9레벨 상위권의 곡들이 배치되었으며, 마지막 스테이지가 전작에 비해 어렵기 때문에 전체적인 난이도가 다소 올라갔다. 3스테이지 Sphere는 HAPPY SKY 이후로 16년만에 6단에 다시 수록되었다.



1.2.7. 7단[편집]


파일:28_7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Flashes9931
2ndFlash Back 90's101179
3rdVerflucht101081
FinalTHE SAFARI10900

THE SAFARI를 제외한 모든 곡이 바뀌었다.

9렙 상급에 해당하는 1스테이지와 2스테이지 견제스크로 게이지를 갉아먹기 쉬우며, 벨플루트의 12소절에 달하는 계단 구간이 전작의 계단 구간보다 더 어렵기 때문에 전작 대비 난이도는 더 어려워졌다.


1.2.8. 8단[편집]


파일:28_8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Infinity Mirror101164
2ndRed. by Jack Trance101122
3rdV2101620
FinalS!ck111373



이번에도 S!ck을 제외한 나머지 곡들이 변경되었다. 이로써 8단의 보스곡은 gigadelic에서 S!ck로 세대 교체가 확실해졌다.

1스테이지 Infinity Mirror는 무난하게 넘길 수 있지만 2스테이지에는 10레벨 최상위 스크래치곡인 Red. by Jack Trance가 3스테이지에는 10렙 최상위권중 하나인 V2 하이퍼가 배정되어 전작 대비 난이도가 크게 상승했다.


1.2.9. 9단[편집]


파일:28_9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Override111471
2ndBroGamer111568
3rdALBA -黎明-111631
Final少年A121449



통상곡으로 풀린 Override가 1스테이지로, 2스테이지는 BroGamer가 들어왔다. 3스테이지와 보스곡은 전작과 동일.

상당히 쉬워졌다고 평가된 전작 9단보다 더 쉬워졌다. 전작에 비해 노트수가 약 400개 증가했고, 2스테이지 BroGamer의 BPM이 207로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요구 지력을 높게 요구하고, 스크래치 복합이나 동시치기에 대한 처리 능력도 평가하긴 하나, 전작에 수록된 Just a Little Smile이 개인차를 감안해도 일반적으로 11레벨 최상위권으로 평가받기에 전작에 비해서 쉬워졌다는 평이 많다.

3스테이지 ALBA -黎明-ALBAgest라고 불리기도 하는 차지노트+폭타 구간부터 난이도가 급격히 상승한다. 11레벨 내에서 노말클 난이도 최상급에 속하는 만큼 이 이후로 게이지가 크게 깎여나갈 수 있으나, 少年A 변속 지점까지 깎인 게이지의 대부분을 채울 수 있기에 큰 부담은 없다.

보스곡 少年A는 직전 보스곡들이 지나치게 어려워 저평가되는 경향이 있지만, 정배치가 난잡하기에 지력 D라는 비공식 난이도표에서의 위상에 비해 다소 어렵고, 약 1분간 계단만 나오는 채보 특성상 정배치와 미러에서는 개인차와 저주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변속곡 특성상 플로팅 미사용시 난이도가 사용시보다 크게 올라가는 편이다.

少年A는 변속 전까지 등장 노트수가 505개이기 때문에 변속 전까지 최대 약 80%를 회복할 수 있다. 123 동시치기 + 67 트릴이 등장하고 바로 다음 마디에 BPM이 90에서 192로 상승하고, 약 1마디 정도는 노트가 하나도 나오지 않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플로팅을 하면 게이지 유지에 상당히 유리하다.


1.2.10. 10단[편집]


파일:28_10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Super Rush121791
2ndSense 2007121517
3rdColorful Cookie121773
FinalAA -rebuild-121820


Colorful Cookie를 제외한 모든 악곡이 변경되었다. 평균적인 난이도는 크게 올랐기에 단순 클리어 난이도는 올라갔지만, reunion이 빠지면서 EX 클리어나 100% 난이도는 쉬워졌다.

10단 첫 스테이지에 지력 B 이상의 곡이 할당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으나 지력 B에 해당하는 Super Rush가 할당됐다. 후살로 나오는 동시치기 구간이 상당히 어렵기에 게이지가 크게 깎여나갈 수 있다. 게다가 이후 곡들에서 넉넉하게 게이지를 채울 수 있는 포션 구간은 없기 때문에 더더욱 주의해야 한다.

2스테이지에서 21 SPADA 이후 정말 오랜만에 또다른 10단 난민 생성곡으로 유명한 Sense 2007이 들어왔다. FIRE FIRE보다 Sense 2007이 더 어렵거니와 특별한 포션구간이 없기에 때문에 충분한 게이지를 가져가지 못한 채 컬쿠를 맞이하게 될 수도 있다.

기존 10단의 마지막 곡을 담당하던 reunion이 빠지고 과거 10단 마지막곡을 담당하던 AA가 AA -rebuild-로 들어갔다. 이로 인해 난이도가 다소 내려갔다고 보는 의견이 존재하지만 이는 10단을 여유롭게 클리어하고 EX클리어를 노리는 유저들만의 의견으로, 정직하지만 꾸준하게 몰아치는 지력곡이기 때문에 9,10단 유저들에게는 reunion보다 더 어렵게 느낄 수 있다. 실제로 9,10단 유저들의 플레이 기록을 보면 컬쿠에서 까인 낮은 체력으로 전전하다 AA 리믹스 초반을 버티지 못하고 사망하는 것을 다수 발견할 수 있으며, 초반을 버틴다고 하더라도 막강한 후살에서 체력이 부족해 사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1.3. 전(伝)[편집]



1.3.1. 중전[편집]


파일:28_중전.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TRIUMPH121724
2ndSnake Stick121447
3rdBad Maniacs121656
FinalSigmund122029


3스테의 Bad Maniacs를 제외한 모든 악곡이 변경되었으며, 일반/EX 모두 전작보다 꽤 올라갔다는 평이다.

1스테 TRIUMPH는 일단 Snakey Kung-fu보다 훨씬 어려우며 Dynamite 스러운 백스핀+일반 스크래치 조합 등 게이지를 조금씩 갉아먹다가 최후반 고속 이중계단 후살로 압살하는 식의 패턴이라 게이지 유지가 힘들다.

2스테 Snake Stick은 이미 중전에 들어간 적이 있다. 초반이 회복 구간이지만 중반과 최후반이 꽤나 어렵고, 중반 발광 이후 4소절을 제외하면 회복 구간이 없다시피하며 회복구간 이후 스크래치 연사 구간이 끝나면 건반 물량도 늘어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3스테 Bad Maniacs는 유일하게 전작에 이어서 등장한 패턴. 역시 중반에 축연타가 들어오면서 노트 밀도가 낮아진 뒤의 쉬는 구간 이후 중후반부터 시작되는 발광부분이 승부처가 된다.

보스 Sigmund는 초반엔 회복 구간이 주어지지만 스크래치 견제와 48비트 계단이 게이지 관리에 장애물이 되며, 중반 3소절 정도의 12비트 스크래치 지대와 그 이후 조금 지나서 나오는 3소절 분량의 12비트 이중계단 지대는 이미 이 패턴을 공략하던 유저들에게 어려운 부분으로 손꼽히는 요주의 지대. 이후 밀도가 확 뛰면서 후살까지 처리하기 까다로운 패턴이 계속 나온다. 그나마 처음부터 몰아붙이는 전작까지의 보스 MENDES에 비해 시그문드는 초반에 일단 회복할 구간을 준다는 점에서 개인차가 갈릴 요소가 있다. 그리고 EX단위 게이지로는 1스테이지와 2스테이지 곡이 전작의 곡들보다 어렵고, 결정적으로 하드 게이지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비공식 난이도 S급인 시그문드 때문에 매우 올라간 편이다.


1.3.2. 개전[편집]


파일:28_개전.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EMERALDAS121833
2nd灼熱Beach Side Bunny121719
3rd卑弥呼122119
Final122000


1스테의 한탄수가 에메랄다스로 변경되었으며 이후는 기존과 똑같은 구성이다. 에메랄다스가 비공식 S에 자리잡고 있지만 후살에서 S+급 발광을 보여주며, 이에 따라 개전 문턱이 상승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했다.

일부 매장에서 버그로 작열 대신 5.1.1. 하이퍼가 출현한다는 제보가 나오고 있다. 총통각하 극 개전 날로 먹기


2. 더블 플레이[편집]



2.1. 급(級)[편집]



2.1.1. 7급[편집]


파일:28_7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quick master (reform version)1128
2ndちらちら・はらはら2203
3rdI Was The One2205
Finalearth scape2230


2.1.2. 6급[편집]


파일:28_6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KEEP ON MOVIN'2119
2ndconnective2206
3rdClaiomh Solais2265
FinalAlpheratz3281


2.1.3. 5급[편집]


파일:28_5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CALL2271
2nd共犯ヘヴンズコード3267
3rdOVER TIME3262
Finalairflow3293


2.1.4. 4급[편집]


파일:28_4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Dr.LOVE3259
2ndcrew4340
3rdFantasia4309
FinalCOLOSSEUM4353


2.1.5. 3급[편집]


파일:28_3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Stay my side4301
2ndAlmace4431
3rdMagical4410
FinalWorld Wide Love4454


2.1.6. 2급[편집]


파일:28_2급.png


2.1.7. 1급[편집]


파일:28_1급.png


2.2. 단(段)[편집]



2.2.1. 초단[편집]


파일:28_초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50th Memorial Songs -二人の時 ~under the cherry blossoms~-5623
2ndLight Shine5559
3rdMoving on5542
Final.596514

4스테이지 .59를 제외한 전곡이 교체되었다. 15 DJ TROOPERS부터 개근했던 19,November가 이번작에서 제외됐다.


2.2.2. 2단[편집]


파일:28_2단.png

1,2스테이지 곡들이 교체되었다. 15 DJ TROOPERS부터 개근한 Cheer Train이 괴도프림으로 교체되었고, 22 PENDUAL부터 꾸준히 수록되었던 Under the Sky 또한 교체되었다.


2.2.3. 3단[편집]


파일:28_3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Flip Flap7662
2nd虹色7793
3rdShining World7726
FinalChrono Diver -PENDULUMs-7722

1,4스테이지 곡들이 교체되었다. 15 DJ TROOPERS부터 초살곡으로 꾸준히 개근했던 Abyss가 빠진 것이 특징이다.


2.2.4. 4단[편집]


파일:28_4단.png

2스테이지었던 KAMIKAZE가 3스테이지로 가고 1,2스테이지에 새로운 곡이 들어왔다.


2.2.5. 5단[편집]


파일:28_5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Pink Rose8770
2ndBRIGHTNESS DARKNESS8825
3rdDESIRE8872
FinalEURO-ROMANCE8893

1, 3스테이지가 교체되었다.


2.2.6. 6단[편집]


파일:28_6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Happy Wedding8899
2nd雪月花8867
3rdRistaccia8936
FinalCELEBRATE NITE8731

3스테이지였던 雪月花가 2스테이지로 바뀌고 1, 3스테이지의 곡이 교체되었다. 1스테이지에 링클부터 전작까지 개근하던 사요나라헤븐이 빠진것이 특징이며, 설월화와 보스곡을 제외하면 리스타시아가 전작의 2스테보다 한수 위기는 하지만 설월화에서 빠진 체력을 3스테에서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클리어 난이도는 약간 내려간 것으로 보인다.


2.2.7. 7단[편집]


파일:28_7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FIRE FIRE9962
2ndWanna Party?9910
3rdBlueberry Stream9817
Finalsatellite020712 from "CODED ARMS"101199

1, 3스테이지가 교체되었다. 오랜 작품동안 7단의 포션 구간이었던 Summer Vacation (CU mix)가 빠진 것이 특징이며, 이에 따라 클리어 난이도가 소폭 증가하였다. Blueberry Stream의 중반부 8비트 구간에서 박자를 잃지 않도록 주의. 보스곡이 그대로이기 때문에 공략 방법에서 전작과 다른 부분이 거의 없으나, 포션곡이 사라지고 블루베리도 9렙에서 상위권에 드는 곡이므로 4스테이지 진입 전 게이지 관리에 신경을 더 쓸 필요가 있다.


2.2.8. 8단[편집]


파일:28_8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Do What You Want101085
2nd煉獄のエルフェリア101265
3rdTomorrow Perfume101212
FinalTHE LAST STRIKER101342

1, 3스테이지가 교체되었다. 다른 버전들에 비해 고전적인 8단 곡 배치가 되었다.

1스테이지는 비공식 난이도 10.5로 뒤에 나올 곡에 비하면 넘어가는 곡 수준이며 후살에서 까인 피는 연옥의 초반에서 채울 수 있다. 중반에서 8비트 동시치기 구간에서 배드밀림이 뜨지 않도록 주의. 2스테이지에서 원핸드 계단에서 최대한 게이지 소모를 줄이며, 3스테이지에 충분한 게이지를 들고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스테이지 Tomorrow Perfume은 링클과 트리코로 2스테, 캐논볼로스 3스테에서 THE LAST STRIKER로 넘어가기 전 게이지 말리기로 악명을 떨쳤던 곡으로, 후반 트릴구간에서 게이지 유지를 잘 할 수 있어야 4스테이지 보스곡에서 적은 체력으로 초살에 밀려 셔터가 닫히는 것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2.2.9. 9단[편집]


파일:28_9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n'pa pa BBQ111423
2ndYellow Sketch(RX-Ver.S.P.L.)111545
3rdScharfrichter111552
Final& Intelligence111600

전작 2스테이지에 있던 Scharfrichter가 3스테이지로 들어가고 SAY BAY와 Scripted Connection⇒ H mix가 교체되었다.
전작 9단의 실질적인 보스곡 Scharfrichter가 이번작에도 있는데다 비공식 난이도 11.8인 & Intelligence의 추가로 인해 더 어려워졌다.

1스테이지는 전작과 같은 곡으로, 후살 부분에서 게이지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
2스테이지는 초반부터 계속되는 특유의 계단 패턴 때문에 저주에 걸리기 쉬운 패턴으로 말리지 않도록 조심하고, 후반에서 회복 부분이 있으니 최대한 채우고 가도록 한다.
3스테이지는 전작의 보스곡으로, 동시치기 패턴으로 지력을 측정하는 곡이다. 이곡에서 게이지를 회복할 마땅한 구간이 없으니 최대한 게이지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
4스테이지는 이번작의 보스곡으로, 코퓰라 시절의 제논, 시노버즈의 애시드펌퍼와 대등한 난이도를 보여준다. 후반에 진입하기 전에 11중급의 난이도로 나오므로 최대한 게이지를 확보한 후, 후살 원핸드 부분에서 승부를 본다는 느낌으로 가야한다.

2.2.10. 10단[편집]


파일:28_10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DXY!121332
2ndCaterpillar121681
3rdHARD BRAIN121903
FinalRaison d'être~交差する宿命~121836

마지막 스테이지를 제외한 전 곡이 변경됐다.
전작의 난관이었던 LASER CRUSTER가 빠지고 개인차 두곡이 들어왔고, 3스테이지의 난이도가 하락해서 전체적인 난이도가 전작에 비해 쉬워졌다고 보는 사람들이 많다.


2.3. 전(伝)[편집]



2.3.1. 중전[편집]


파일:28_중전.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One More Lovely121557
2ndDr. Chemical & Killing Machine121919
3rdDynamite122084
Finalお菓子の王国122135

copula ~ cannon ballers 까지 1스테이지 통곡의 벽을 담당하던 원 모어 러블리가 다시 돌아왔다. 후살구간이 정배치로 굉장히 애로사항이 꽃필수 있는 패턴이기 때문에 클리어를 위해서는 안미츠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자.

2스테이지 Dr. Chemical & Killing Machine 은 cannon ballers 이후로 오랜만에 들어간 비공식 난이도 12.5 레벨 곡으로, 최후반에서 전작 2스테이지 Fallen Leaves를 능가하는 양손 원핸드 폭타가 일품

마지막 스테이지 お菓子の王国는 원핸드 고속 계단을 필두로 한 패턴으로, verflucht와 어느 정도 유사한 패턴과 대등한 난이도를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전작의 중전이 역대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쉬운편으로 평가 받기에 확실히 다시 빡빡한 난이도를 보여준다.


2.3.2. 개전[편집]


파일:28_개전.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GENOCIDE121456
2ndBad Maniacs121606
3rd天空の夜明け122261
Finalquasar121562

2스테이지가 22 PENDUAL ~ 24 SINOBUZ의 개전곡이었던 Bad Maniacs로 변경되었다.
전작 개전에서는 1스테이지 후살을 넘기기만 하면 2스테이지였던 EMERALDAS 초반에서 게이지 100%까지 회복하는것이 어렵지 않았지만, 이번작에서는 GENICIDE의 후살 + Bad Maniacs의 초살이 조금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채보 자체 난이도는 EMERALDAS가 막강한 후살 패턴 때문에 초반의 HCN으로 충분한 체력을 채우고서도 3,4스테이지의 두 곡과 비견될 정도임에 비해서 Bad Maniacs는 그보단 명백하게 한체급 낮다고 평가 되는지라 전작에 비해서 난이도 자체는 내려갔다는 평이다. 다만 첫곡 특유의 저주 현상이 취득 난이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다는 점이 차이가 있다.


3. 단위인정 -극-[편집]



3.1. 개요[편집]


段位認定 -極-[2]

27 HEROIC VERSE에 존재했던 영세단위 시스템에 24 SINOBUZ, 25 CANNON BALLERS 당시 존재했던 CLASSIC CLASS 요소를 혼합한 신규 시스템이며, 라이트닝 모델 한정 기능이다. 세부적인 사양은 아래와 같다.

  • 급위에는 해당사항 없으며 초단부터 극단위가 존재한다.
  • 단위 선택 화면에서 키패드 1을 눌러 극단위로 전환할 수 있다. 극단위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존 단위인정 방식으로 해당 단위에 합격해야 한다(통상,EX 무관). 이 때, 상위 단위를 땄다고 해서 하위 극단위에 접근할 수 있게 되는 것이 아니라 정확히 그 단위를 따야 한다.
  • 정규→미러→정규→미러→정규 순서로 도합 5회 단위 코스에 도전하고 이전까지의 최저 달성율이 게이지 상한선으로 적용되는 시스템은 전작과 동일하다. 키패드 2를 눌러 도전 상황을 초기화 하는 것도 동일하다.
  • 같은 코스만 5번 돌았던 전작과 달리 이번엔 5개 코스가 모두 다르다. 코스 목록은 과거 버전의 해당 단위 코스 4개 + BISTROVER 코스 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VEFX로 도전할 코스를 고를 수 있다. 버전 중복은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모든 코스를 1회씩 통과해야 한다.
    • DP의 경우 23 copula 이전의 3곡 코스는 엔트리에 없다. 따라서 23, 24, 25, 26, 27 중 4버전이 반드시 포함될 수 밖에 없어 모든 극단위 도전 대상 버전이 비슷비슷하다. 23 copula부터 신설된 단위인 SP 중전도 상황이 같다. 심지어는 버전만 다르고 수록곡이 같은 경우도 있다.

관련 보상은 아래와 같다.

  • 영세단위와 동일하게 플레이어 정보에 표출되는 단위에 후광이 걸리며 구기체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극단위가 아닌 더 높은 단위를 취득했다면 더 높은 단위가 표출되므로 후광을 확인할 수 없다.
  • 영세단위와 마찬가지로 트란메달을 취득할 수 있는데 2021년 1월 기준 전작과 똑같은 '永世○○合格'이라는 이름의 메달을 받는다. 미처 수정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 2021년 3월 초에는 수정을 했는지 극중전의 경우 '極中伝合格' 이라는 메달을 획득할 수 있다.
  • CLASSIC CLASS처럼 삭제곡이 포함된 코스를 완주하면 해당 삭제곡을 부활곡으로 해금할 수 있다.
    • SP, DP 중 한 쪽만에 부활곡 코스가 존재할 경우 존재하지 않는 쪽에서 해당 극단위를 취득해도 부활곡 해금 조건이 충족된다.
  • 극개전 취득시 1ST STAGE 레벨 12 개방 조건이 1000크레딧 플레이에서 800크레딧 플레이로 완화된다.


3.2. 단위별 대상 버전 및 해금 요소[편집]


단위싱글 플레이더블 플레이부활곡
초단16
17
25
27
2단15Don't let it go[3]
18
24
26
3단16高高度降下低高度開傘[4]
19
20
27
4단14
21
22
27
5단16
22
24
26
6단19 Lincle
24 SINOBUZ
25 CANNON BALLERS
26 Rootage
7단23 copula
25 CANNON BALLERS
26 Rootage
27 HEROIC VERSE
8단24 SINOBUZ
25 CANNON BALLERS
26 Rootage
27 HEROIC VERSE
9단19 Lincle
23 copula
26 Rootage
27 HEROIC VERSE
10단18 Resort Anthem[5]
22 PENDUAL
25 CANNON BALLERS
26 Rootage
중전23 copula
24 SINOBUZ
26 Rootage
27 HEROIC VERSE
개전16 EMPRESS[6]24 SINOBUZ
20 tricoro25 CANNON BALLERS
24 SINOBUZ[7]26 Rootage
27 HEROIC VERSE[8]27 HEROIC VERSE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04:48:48에 나무위키 beatmania IIDX 28 BISTROVER/단위인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초단 도전자가 하는 경우 배드밀림이 일어나기 쉽다.[2] きわみ(키와미)로 읽는다.[3] 조건 싱글:15 DJTROOPERS 코스 완주 더블: 극 2단 획득[4] 조건 싱글:19 Lincle 코스 완주 더블:극 3단 획득[5] mosaicColorful Cookieワルツ第17番 ト短調 "大犬のワルツ"GOLDEN CROSS[6] 嘆きの樹MENDES卑弥呼[7] copula와 동일한 구성.[8] SPADA, PENDUAL, CANNON BALLERS, Rootage와 동일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