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beatmania IIDX 29 CastHour/단위인정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beatmania IIDX 29 CastHour



  • 전작과 구성이 동일한 단위
    • 싱글 플레이: 개전
    • 더블 플레이: 7급, 6급, 5급, 3급, 초단
  • 전작과 더불어서 저난이도에서 스크래치 비중이 늘어났다.
  • 라이선스곡들이 본작에서 가동중에 삭제됨에 따라 단위인정 곡이 가동중에 변경된 첫번째 사례가 되었다.

1. 싱글 플레이
1.1. 급(級)
1.1.1. 7급
1.1.2. 6급
1.1.3. 5급
1.1.4. 4급
1.1.5. 3급
1.1.6. 2급
1.1.7. 1급
1.2. 단(段)
1.2.1. 초단
1.2.2. 2단
1.2.3. 3단
1.2.4. 4단
1.2.5. 5단
1.2.6. 6단
1.2.7. 7단
1.2.8. 8단
1.2.9. 9단
1.2.10. 10단
1.3. 전(伝)
1.3.1. 중전
1.3.2. 개전
2. 더블 플레이
2.1. 급(級)
2.1.1. 7급
2.1.2. 6급
2.1.3. 5급
2.1.4. 4급
2.1.5. 3급
2.1.6. 2급
2.1.7. 1급
2.2. 단(段)
2.2.1. 초단
2.2.2. 2단
2.2.3. 3단
2.2.4. 4단
2.2.5. 5단
2.2.6. 6단
2.2.7. 7단
2.2.8. 8단
2.2.9. 9단
2.2.10. 10단
2.3. 전(伝)
2.3.1. 중전
2.3.2. 개전
3. 단위인정 -극-
3.1. 개요
3.2. 단위별 대상 버전 및 해금 요소


1. 싱글 플레이[편집]



1.1. 급(級)[편집]



1.1.1. 7급[편집]


파일:29_7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紅蓮華179
2ndSilly Love1131
3rd令和(1991RAVE REMIX)[2022/8/23까지]2178
シル・ヴ・プレジデント[2022/8/24부터]2152
Final東京神話2235


변경 전 7급 영상.

전작 7급에서 3스테이지를 제외한 나머지 세 곡이 변경되었으나, 3스테이지 令和(1991RAVE REMIX) 역시 2022년 9월 20일 삭제 예정에 있어 2022년 8월 24일에 다른 라이선스곡으로 변경되었다.

1.1.2. 6급[편집]


파일:29_6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ガヴリールドロップキック3207
2ndPOP TEAM EPIC(kors k Remix)[2022/8/23까지]3269
[2022/8/24부터]3183
3rdSweet Clapper3285
FinalDon't Stop The Music feat. Kanae Asaba3349


변경 전 6급 영상.

2스테이지, 4스테이지가 변경되었다.
POP TEAM EPIC(kors k Remix)가 2022년 9월 20일 삭제 예정에 있어 2022년 8월 24일에 다른 라이선스곡으로 변경되었다.

1.1.3. 5급[편집]


파일:29_5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4395
2ndAmor De Verão4404
3rdvault of heaven4401
FinalBEMANI PRO LEAGUE Theme4393


PENDUAL부터 장기간 수록되던 バビロニア가 전작의 통상곡인 BPL Theme으로 변경되었다.


1.1.4. 4급[편집]


파일:29_4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Chewingood!!!4435
2ndfffff4431
3rdSilvia Drive4429
FinalGravigazer5495


1스테이지가 전작의 통상곡으로 변경되고, PENDUAL부터 전작까지 개근하던 She is my wife가 새로운 곡으로 변경되었다.


1.1.5. 3급[편집]


파일:29_3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冬椿 ft.Kanae Asaba5482
2nd405nm(Ryu☆mix)5467
3rdmurmur twins5567
Final錬成人間トリコロイダー5531


2스테이지를 제외하고 모두 변경되었다. 3스테이지에 Tricoro부터 개근하던 SigSig가 변경되었다.


1.1.6. 2급[편집]


파일:29_2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Hypersonik5521
2ndとろぴかる倶楽部5432
3rdsakura storm5529
FinalLAST DAY6578


1스테이지, 4스테이지가 변경되었다.
8th부터 개근하던 sync와 2급의 벽이었던 ライオン好き가 빠졌다.


1.1.7. 1급[편집]


파일:29_1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Vitrum6554
2ndLethal Weapon6598
3rdRistaccia6609
FinalWith your Smile6597


4스테이지를 제외하고 모두 변경되었다.
정작 가장 중요한 마지막 스테이지는 바뀌지 않아서 3스테이지까지 게이지를 최대한 아껴야 한다는 것은 변하지 않았다.


1.2. 단(段)[편집]



1.2.1. 초단[편집]


파일:29_초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Red. by Full Metal Jacket6517
2ndLast Dance6616
3rdCrank It7731
FinalHAPPY☆ANGEL7782



전작 1스테이지였뎐 Last Dance가 2스테이지로 이동하고 1스테이지에 1급에 수록된 적이 있었던 레드바이가 들어갔다. 3스테이지도 6렙 지뢰곡이었던 You'll say "Now!"에서 교체되었다.

HAPPY☆ANGEL에서 군데군데 나오는 3연스크는 게이지를 깎아먹는 주범으로, 따다닥 하는 느낌으로 돌려줘야 한다. 그렇다고 너무 저 3연스크에만 신경쓰다간 자칫 건반에서 틀릴 가능성이 크다.


1.2.2. 2단[편집]


파일:29_2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Monkey Dance7690
2ndIDC feat. REVERBEE(Mo'Cuts Ver)7557
3rdZenius -I- vanisher7790
FinalAbyss7817



전작에서 3단에 있던 IDC가 2단으로 내려왔다. 그 외에는 몇 작품째 변경 사항 없음.[1]


1.2.3. 3단[편집]


파일:29_3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梅雪夜7759
2ndRed. by Jack Trance7770
3rdPresto8498
FinalMusic is The Answer8726



IDC가 2단으로 내려가고 그 자리에 레바잭이 들어왔다.


1.2.4. 4단[편집]


파일:29_4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虹色8792
2ndÆTHER8833
3rdPLASMA8848
FinalQQQ8961



1스테이지, 2스테이지가 서로 바뀌고 3스테이지가 변경되었다.


1.2.5. 5단[편집]


파일:29_5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Here We Are8872
2ndQueen's Tragedy8872
3rdもっと!モット!ときめき feat.松下91061
FinalDr. Chemical & Killing Machine9964



3스테이지를 제외하고 전곡이 변경되었다. 1스테이지가 전작에 나온 히나비타 관련곡으로 변경되고, 17 SIRIUS부터 오랫동안 5단의 보스 역할을 했던 NEW GENERATION -もう、お前しか見えない-가 이번 작에서 빠진 것이 특징.


1.2.6. 6단[편집]


파일:29_6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Amazing Mirage9894
2ndHello Happiness9871
3rdSphere9996
FinalHurry Hurry91045



1스테이지, 2스테이지가 변경되었다. 전작까지 2스테이지로 유지되던 스크곡 구성이 이번작에서 빠졌다.


1.2.7. 7단[편집]


파일:29_7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仮想空間の旅人たち91121
2ndSmashing Wedge101141
3rdFlash Back 90's101179
FinalTHE SAFARI10900



Flash Back 90's가 2스테이지에서 3스테이지로 이동했고 1, 2스테이지에는 새로운 곡이 들어왔다.

1스테이지 난이도가 내려갔으나, 2스테이지에 밀도 높은 동시치기 패턴이 나오고, 전작에도 있었던 플래시백이 그대로 있기 때문에 난이도는 전작과 변함이 없다.


1.2.8. 8단[편집]


파일:29_8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Virus Funk101119
2ndDaisuke101205
3rd忍恋花111141
FinalSTARLIGHT DANCEHALL111342



모든 스테이지가 변경되었다. 11레벨이 두 개가 되면서 AC 10th[2]를 제외하면 10레벨이 가장 적은 8단이 되었다.

그러나 11렙이 두 개나 수록됐음에도 역대 8단중에서도 상위권의 불렙을 자랑한 전작 8단에 비해 난이도가 매우 내려갔다. 3스테이지 인연화가 개인차가 있을지는 모르나 게이지 손실에는 위협적이지 않는데다, 4스테이지로 선정된 보스곡도 이전 보스곡인 gigadelicS!ck에 비해서 상당히 쉽다. 비스트로버와 반대로 상당한 물 8단이라는 평가가 많다. 7단보다 쉽다는 의견도 나올정도.


1.2.9. 9단[편집]


파일:29_9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111356
2ndTheory111392
3rdNight! Night! Night!111540
FinalTodestrieb121733



역시 지난 9단과 비교해서 수록곡이 모두 바뀌었다.

2스테이지 Theory가 변속에 대량의 스크래치를 처리해야하는 개인차가 강한 곡이다. 일반적으로 4스테이지인 Todestrieb보다 어려운 이번 9단의 보스곡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변속과 스크곡에 약한 유저들이라면 이전 9단 보스곡인 少年A 이상의 고비로 작용할 수 있다.

3스테이지 Night! Night! Night!은 11레벨 상위권곡으로 중반의 계단+스크견제가 고비가 된다. 후살도 만만치 않은 편.

4스테이지인 Todestrieb는 SPADA 이후의 9단 보스곡들과 비교했을 때 정배치가 쉽다고 평을 받고, 때문에 9단 4스테이지의 난이도가 나름 쉬워졌다. 그래도 동시치기를 동반한 폭타 구간에서 말려서 죽는 경우도 은근 많으니 주의하도록 하자. 다만 EX 단위인정에서는 변속과 스크로 인해 2스테이지 Theory의 난이도가 폭등하고 4스테이지 Todestrieb는 단순한 지력곡에 불과하기 때문에 개인차는 있겠지만, 2스테이지에 비하면 한참 쉬운 편이다.

일반 단위인정에서는 4스테이지가 어느정도 쉬워졌지만, 2스테이지 때문에 전체적인 난이도는 전작보다는 조금 올랐으며, EX 단위인정에서는 매우 올라갔다고 평가를 받는다.


1.2.10. 10단[편집]


파일:29_10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DARK LEGACY121828
2ndSense 2007121517
3rdColorful Cookie121773
FinalBEAT PRISONER121844


1,4스테이지가 변경되었다. 1스테이지가 전작과 더불어서 B급으로 나왔고, 4스테이지 보스곡은 전작에 비해 더 어려워졌다. 단위게이지로 까다로웠던 리빌드로 인해 올랐던 10단 난이도가 비트 프리즈너 때문에 더 올라갔으며, 이번작에서는 컬쿠가 쉽게 느껴질 정도로 어려웠다는 평이 있다.[3] EX난이도가 전작에서는 전전작의 리유니온이 빠지고 리빌드로 대체되면서 내려간 반면 이번작에서는 다소 올랐다.


1.3. 전(伝)[편집]



1.3.1. 중전[편집]


파일:29_중전.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Shooting Fireball121983
2ndDynamite121953
3rd金野火織の金色提言121630
FinalSigmund122029


Sigmund를 제외한 모든 곡이 교체되었다.
1스테이지의 Shooting Fireball은 상당히 노트수가 많고 후반부의 밀도가 높아 체력을 빼놓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전작 1스테이지는 지력 상으로도 일단 이번작보다 높기도 하고 견제 스크래치가 나오는 개인차 패턴이라 본작이 좀더 쉬운 편이다.
2스테이지는 bpm 200 기준 8비트로 꾸준히 쏟아지는 동시치기 + 스크래치 복합배치와 중간중간 섞여있는 백스핀 스크래치가 특징인 채보. 전작, 전전작의 DJ Mass식 스크래치곡과는 방향성이 다른 스크래치곡으로 개인차가 갈린다.
3스테이지는 높은 bpm과 순간발광으로 승부하며 지력 A+급으로 평가받는만큼 기본적인 처리력도 중요하지만, 다른 곡들에서 보기 힘든 스타일의 채보로 패턴을 충분히 숙지하고 도전하는 것이 좋다. 이쪽은 전작보다 확실히 어려워졌다.
4스테이지는 전작과 동일하다. 3스테이지 후반에 까먹은 게이지를 가지고 Sigmund의 초반부를 최대한 적은 손실로 버텨내는 것이 관건이다.

전작과 비교하면 난이도는 단위, EX단위 난이도 둘 다 소폭 상향된 것으로 보인다.


1.3.2. 개전[편집]


파일:29_개전.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EMERALDAS121833
2nd灼熱Beach Side Bunny121719
3rd卑弥呼122119
Final122000


전작과 동일한 구성이다.


2. 더블 플레이[편집]



2.1. 급(級)[편집]



2.1.1. 7급[편집]


파일:29_7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quick master (reform version)1128
2ndちらちら・はらはら2203
3rdI Was The One2205
Finalearth scape2230


전작과 동일하다.


2.1.2. 6급[편집]


파일:29_6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KEEP ON MOVIN'2119
2ndconnective2206
3rdClaiomh Solais2265
FinalAlpheratz3281


전작과 동일하다.


2.1.3. 5급[편집]


파일:29_5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CALL2271
2nd共犯ヘヴンズコード3267
3rdOVER TIME3262
Finalairflow3293


전작과 동일하다.


2.1.4. 4급[편집]


파일:29_4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LUV CAN SAVE U3300
2ndcrew4340
3rdFantasia4309
FinalCOLOSSEUM4353


전작까지 개근했던 Dr.Love가 빠졌다. 1스테이지는 SPADA부터 CANNON BALLERS까지 개근했었던 LUV CAN SAVE U다.


2.1.5. 3급[편집]


파일:29_3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Stay my side4301
2ndAlmace4431
3rdMagical4410
FinalWorld Wide Love4454


전작과 동일하다.


2.1.6. 2급[편집]


파일:29_2급.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純真可憐デザイア4450
2ndBeyond The Seven4472
3rdD.A.N.C.E.!5425
FinalRIDE ON THE LIGHT (HI GREAT MIX)5469


2스테이지만 변경되었다.


2.1.7. 1급[편집]


파일:29_1급.png


1스테이지와 2스테이지의 순서가 변경되었다.


2.2. 단(段)[편집]



2.2.1. 초단[편집]


파일:29_초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50th Memorial Songs -二人の時 ~under the cherry blossoms~-5623
2ndLight Shine5559
3rdMoving on5542
Final.596514


전작과 동일하다.


2.2.2. 2단[편집]


파일:29_2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表裏一体!?怪盗いいんちょの悩み♥6716
2ndWAKE UP NOW7713
3rdbit mania6643
FinalTHE F∀UST7701


1스테이지만 제외하고 모든 곡이 변경되었다. 오랜 기간동안 4스테이지 보스곡으로 활약하던 DXY!가 빠진 것이 특징.

도약 스크래치 때문에 많은 난민을 생성했던 딕씨가 빠졌으니 쉬워졌겠다고 느낄 수 있으나 이번 보스곡은 7레벨에서 비마니위키 사기난이도 항목에 들어있을 정도로 만만치 않은 곡이고, 3스테이지 비트매니아는 6레벨 치고 동시치기도 많이 나오며 밀도가 순간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이 있어 게이지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


2.2.3. 3단[편집]


파일:29_3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Flip Flap7662
2ndShining World7726
3rdAnd-RoiD7682
Finalsync7796


1스테이지만 제외하고 모든 곡이 변경되었다. HEROIC VERSE때까지 보스곡이었던 Abyss가 빠진 이래로 보스곡이 계속 변경되고 있다. SPADA 이래로 계속 수록 되던 虹色 또한 변경된 것이 특징.

전작의 펜듈럼이 전전작의 아바이스보다 쉽다는 평을 받았는지 바로 교체되고 노트 밀도가 거의 8레벨에 달하는 sync가 수록되었다. 그래서 전작보다 난이도가 약간 어려워졌다.


2.2.4. 4단[편집]


파일:29_4단.png


2스테이지와 3스테이지의 순서가 변경되었다.


2.2.5. 5단[편집]


파일:29_5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Pink Rose8770
2ndBRIGHTNESS DARKNESS8825
3rdEgret and Willow8847
FinalEURO-ROMANCE8893


3스테이지만 변경되었다. 난이도는 전작의 DESIRE와 비슷하다.


2.2.6. 6단[편집]


파일:29_6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Happy Wedding8899
2nd雪月花8867
3rdViolet Pulse8923
FinalCELEBRATE NITE8731


3스테이지만 변경되었다. 3스테이지는 6단의 난이도에 걸맞지 않게 8레벨에서 쉬운 곡(비공식 8.0, 초살 없음)으로 나왔으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쉬워진 전작에 비해서 난이도가 더 쉬워졌다.


2.2.7. 7단[편집]


파일:29_7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FIRE FIRE9962
2ndWanna Party?9910
3rdアストライアの双皿91105
Finalsatellite020712 from "CODED ARMS"101199


3스테이지만 변경되었다. 전작 3스테이지에 비하면 쉽지만 연타와 착지스크 구간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2.2.8. 8단[편집]


파일:29_8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LOVE B.B.B101181
2ndEDEN101377
3rdInfinity Mirror101303
Finalpandora111040


PENDUAL을 제외하고 개근하던 8단의 보스곡 THE LAST STRIKER가 빠졌고, 새로 pandora가 들어왔다. 개인차 요소가 많은 THE LAST STRIKER와 달리 pandora는 지력계 패턴으로, 패턴 특성상 구간 노트 밀도가 개인차 패턴에 비해 높은 편이다. 그래서 난이도 역시 이전에 비해 오른 편이다.

8단에 11레벨 패턴이 배정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며, 역대 더블 8단들 중 3스테이지와 마지막 스테이지의 노말게이지 기준 비공식 난이도 편차가 매우 큰 축에 속한다.


2.2.9. 9단[편집]


파일:29_9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Miracle 5ympho X111489
2ndSakura Reflection111395
3rdYellow Sketch(RX-Ver.S.P.L.)111545
Final& Intelligence111600


전작 2스테이지가 3스테이지로 이동하고 1,2스테이지에 새로운 곡이 들어왔다. 4스테이지 보스곡은 전작과 변함이 없다.

인텔리전스와 옐로우스케치를 제외한 나머지 곡들이 전작에 비해 난이도가 상승했으며, 1스테, 2스테 둘 다 하드게 기준으로 비공식 난이도가 전작(n'pa pa, Scharfrichter)에 비해 각각 더 높을 뿐만 아니라 요구하는 지력도 상대적으로 더 높은 편이다. Scharfrichter가 11렙에서 절대로 만만한 난이도는 아니고 옐로우스케치랑 노말게 비공식 난이도는 같지만, 하드게 포함 서바이벌 게이지 기준으로 처리력이나 체력적인 면에서는 옐로우스케치가 일반적으로 더 높은 평가를 받는다. 따라서 보스곡까지 가지고 갈 체력이 전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해졌으며 1,2스테이지 난이도 인플레와 더불어서 전체적인 난이도가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2.2.10. 10단[편집]


파일:29_10단.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神謳 -RESONANCE-122052
2ndBLACK.by X-Cross Fade121761
3rdAA121739
FinalRaison d'être 〜交差する宿命〜121836


트리코로부터 시노버즈까지 개근했던 블랙바이가 2스테이지로 돌아왔고, 3스테이지에 AA가 들어왔다. 1스테이지 빼고는 사실상 고정 멤버였던 곡들이 복귀한 셈이다. AA 때문에 전작에 비해 난이도가 확실하게 올라갔으며, 이로 인해 SPADA~SINOBUZ 시절처럼 블랙바이에서 얼마나 게이지를 잘 남기느냐가 클리어의 관건이 되었다.

3스테이지 뿐만이 아니라 첫곡도 1스테이지 치고는 빡빡한 난이도(12.3)로 나왔는데, 도전자라면 여기서 게이지를 많이 잃고 시작할 수도 있다. 잃은 게이지를 2스테이지에서 회복할 수 없다면 AA가 많이 힘들어질 것이다.

2.3. 전(伝)[편집]



2.3.1. 중전[편집]


파일:29_중전.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One More Lovely121557
2nd焔極OVERKILL121984
3rdワルツ第17番 ト短調 "大犬のワルツ"122290
FinalFlashes122090


1스테를 제외한 모든 곡이 바뀌었으며, 큰개의 왈츠는 캐논볼러즈 이후 4작품 만에, Flashes가 시노버즈 이후 5작품만에 중전으로 복귀했다. 다른 곡들도 어느하나 만만한게 없는데다 무엇보다도 Flashes는 시노버즈 당시 수많은 도전자들로부터 원성을 샀던 곡이라 이번 DP중전이 역대급 DP 불중전이 되는 데 방점을 찍었다는 평가가 대다수.


2.3.2. 개전[편집]


파일:29_개전.png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SEQUENCE CAT121985
2ndBad Maniacs121606
3rd天空の夜明け122261
Finalquasar121562


1스테가 가정용 골드 개전에 수록되었던 SEQUENCE CAT으로 바뀌었다. 나머지는 그대로.


3. 단위인정 -극-[편집]



3.1. 개요[편집]


전작에 비해 바뀐 점은 다음과 같다.

  • 도전 횟수가 정규→미러→정규의 3회로 줄었으며, 더블 초단을 제외[4]한 현행 코스가 빠진 대신 INFINITAS와 CS 구작 코스가 추가되었다. 버전 표기에서 AC/CS 구분이 없는 것은 CLASSIC CLASS와 동일하다.
  • 게이지 감소 비율이 회차에 따라 ×1.0→×1.25→×1.5로 바뀐다.
  • 2회차의 게이지 최대치는 1회차의 달성률인 것은 전작과 동일하지만, 3회차의 게이지 최대치는 1회차와 2회차의 달성률의 합에서 100을 뺀 값으로 변경되었다.
    • 만약 1회차와 2회차의 달성률의 합이 100보다 작아 결과값이 음수가 나온다면 게이지 최대치는 2%로 고정된다.
    • 달성률이 홀수인 경우 1을 더하여 짝수로 만든 뒤 계산한다.[6]
      • 3회차의 경우 홀수에 1을 더하는 계산이 달성률의 합을 구하는 것보다 우선시되기 때문에, 1회차와 2회차의 달성률이 모두 홀수라면 단순 합으로 계산한 값보다 게이지 최대치가 2% 높아진다.[5]
요구하는 완주 횟수가 줄은 것에 반해 게이지 감소량이 뒤로 갈수록 늘어남에 따라 확연히 어려워졌으며, 완주 순서를 미리 짜두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또한, 게이지 계산 방식이 1,2회차의 평균을 내는 게 아니라 더해서 100을 빼는 방식이기 때문에 해당 극 단위를 3회차 전까지 턱걸이로 깼다면 최대 게이지가 50% 미만으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어려워질 수 있다.

여담으로, 더블의 경우 전작 비스트로버의 단위인정이 극 단위인정의 초단부터 개전까지 전부 들어가있다.

3.2. 단위별 대상 버전 및 해금 요소[편집]


단위싱글 플레이더블 플레이부활곡
초단25 CANNON BALLERS24 SINOBUZ
28 BISTROVER27 HEROIC VERSE
16 EMPRESS CS[7]28 BISTROVER
2단24 SINOBUZ26 Rootage
26 Rootage28 BISTROVER
7th style CS[8]INFINITAS
3단11 IIDX RED[9]23 copula
16 EMPRESS[10]25 CANNON BALLERS
28 BISTROVER28 BISTROVER
4단10th style[11]24 SINOBUZ
21 SPADA28 BISTROVER
28 BISTROVERINFINITAS
5단20 tricoro25 CANNON BALLERS
24 SINOBUZ28 BISTROVER
16 EMPRESS CS[12]INFINITAS
6단22 PENDUAL27 HEROIC VERSE
28 BISTROVER28 BISTROVER
9th style CS[13]INFINITAS
7단28 BISTROVER23 copulaSCORE[14]
10th style CS[15]25 CANNON BALLERS
15 DJ TROOPERS CS[16]28 BISTROVER
8단25 CANNON BALLERS24 SINOBUZ
27 HEROIC VERSE28 BISTROVER
13 DistorteD CS[17]INFINITAS
9단13 DistorteD[18]23 copula
23 copula26 Rootage
15 DJ TROOPERS CS[19]28 BISTROVER
10단23 copula24 SINOBUZ
28 BISTROVER26 Rootage
16 EMPRESS CS[20]28 BISTROVER
중전23 copula23 copula
27 HEROIC VERSE27 HEROIC VERSE
28 BISTROVER28 BISTROVER
개전27 HEROIC VERSE26 RootageNEW GENERATION
-もう、お前しか見えない-

[SPL][21]
14 GOLD CS[22]28 BISTROVER
15 DJ TROOPERS CS[23]INFINITAS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00:36:16에 나무위키 beatmania IIDX 29 CastHour/단위인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2022/8/23까지] A B [2022/8/24부터] A B [1] 최근 몇 작품동안 싱글의 다른 저레벨 단위들이 모든 수록곡을 갈아엎는다거나 오랫동안 개근하던 곡들이 빠진다거나 하는 등의 변화로 구성이 파격적으로 바뀐 것에 비해 유독 2단은 어째서인지 그렇다 할 변화를 보이지 않고 히로익버스 이전의 초단이나 4단처럼 10작품이 넘게 Monkey DanceZenius -I- vanisherAbyss의 구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나마 바뀌는 게 Zenius -I- vanisher 전후로 붙는 단 한 곡뿐이다.[2] 10레벨 하이퍼 패턴들이 버그로 인해 어나더 패턴으로 나오면서 10레벨이 하나도 없다.[3] 사실 BEAT PRISONER의 비공식 난이도는 하드 게이지 기준 A급으로 비공식 서열로만 놓고 보면 10단이 아니라 중전에 들어가도 되는 수준이다.[4] 더블 초단의 BISTROVER 코스는 CastHour와 동일한 구성의 코스이다.[5] 예를 들어, 1회차와 2회차의 달성률이 모두 75%라면 3회차의 게이지 최대치는 75+75-100=50%가 아닌 (75+1)+(75+1)-100=52%가 된다.[6] 전작까지는 달성률이 홀수인 경우 1을 빼서 계산했다.[7] RIZING YOU UP(N)→I'm Screaming LOVE(H)→DoLL(H)→花吹雪~IIDX LIMITED~(H)[8] D2R(H)→Abyss(H)→THE EARTH LIGHT(H)→CAN'T STOP FALLIN' IN LOVE(H)[9] BLOCKS(H)→thunder(H)→STAR FIELD(H)→Silvia Drive(H)[10] thunder(H)→嘆きの樹(N)→BRIDAL FESTIVAL !!!(H)→CaptivAte 〜裁き〜(H)[11] CARRY ON NIGHT (English version)(H)→era (nostalmix)(H)→R5(H)→BABY LOVE(H)[12] 月光(H)→Monkey Dance '09(H)→xenon(H)→凛として咲く花の如く(H)[13] Quickening(H)→Karma(H)→ACT(H)→Distress(H)[14] 조건 싱글: CS 10th style 코스 클리어 더블:극 7단 취득[15] V(H)→HIGH(H)→SCORE(A)→1st Samurai(H)[16] THE DEEP STRIKER(H)→Ristaccia(H)→MENTAL MELTDOWN(H)→four pieces of heaven(H)[17] stoic(H)→Broadbanded(A)→So Fabulous !!(A)→QUANTUM TELEPORTATION(A)[18] tripping contact (teranoid&MC Natsack Remix)(A)→Aurora(A)→Concertino in Blue(A)→Innocent Walls(A)[19] THE DEEP STRIKER(A)→Spica(A)→Time to Air(A)→spiral galaxy(L)[20] Kung-fu Empire(L)→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A)→不沈艦CANDY(A)→BITTER CHOCOLATE STRIKER(A)[21] 조건 싱글: CS DJ TROOPERS 코스 클리어 더블:극 개전 취득[22] Fascination MAXX(A)→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A)→VANESSA(L)→KAMAITACHI(L)[23] NEW GENERATION -もう、お前しか見えない-(L)→Blue Rain(L)→Anisakis-somatic mutation type "Forza"-(L)→ICARU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