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주 버스 200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분류좌석입석
시내
순환
문무대왕
양남
감포
현곡
천북
안강
강동
기계
건천
서면
산내
북안
언양
내남
외동
수요응답좌석, 입석 겸용
18-1 : 가을 한정 운행 노선
기타 노선은 경주시 시내버스 참고.
공항
급행




파일:경주200.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경주시 CI_White.svg 경주시 좌석버스 200번
기점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경주시외버스터미널)종점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현내리(기계환승센터)
종점행첫차06:35기점행첫차07:35
막차19:50막차20:45
배차간격1일 9회
운수사명새천년미소인가대수2대
노선경주시외버스터미널 - (→ 청년회의소 →/← 경주고속버스터미널 ←) - 대구은행 - 성동시장 - 계림중학교 - 황성휴포레/KCC - 모아양지아파트 - 오야2리 - 오금리 - 강동 - 안강사거리 - 안강시외버스터미널 - 안강사거리 - 양월리 - 노당리 - 달성사거리 - 기계환승센터


2. 개요[편집]


새천년미소에서 운행 중인 노선으로 경주시외버스터미널포항시 기계면을 오간다. 전체 정류장 목록 왕복 운행거리는 78.6km다.


3. 역사[편집]


  • 2019년 4월 24일부터 경주 막차가 19시 25분에서 19시 50분으로 기계 막차가 20시 25분에서 20시 50분으로 조정되었다.

  • 2022년 1월 27일부터 용강사거리, 근화여고 대신 계림중학교, 용황지구[1]를 경유하게 노선이 바뀌었다. 이 개편으로 인해 이전에는 300-2번이 했던 역할을 일부 이어받았다.[2]

4. 특징[편집]


  • 경주시 시내버스 노선들 중에서 1000번과 함께 포항시로 들어가는 노선이다.

  • 종점인 기계환승센터에서 포항 700번이나 죽장 방면이나 기북 방면으로 가는 지선버스를 탈 수 있다. 물론 경주에서 죽장이나 기북으로 가는 경우에는 200번을 타는 것이 훨씬 낫지만, 포항시내나 흥해로 갈 때 지곡동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포항터미널, 농협포항시지부, 죽도시장 등 시내나 흥해로 간다면 강동에서 내려서 고가도로 아래로 건너가면 포항 방면이라고 적혀 있는 작은 정류장이 있는데 여기서 600번을 타는 게 훨씬 낫다.[3] 당연히 환승할인은 되지않는다.[4]

  • 안강 방면으로 가는 노선 중 유일하게 신당1리 입구 정류장을 의무정차한다. 시간표에도 하차 승객의 유무에 상관없이 무조건 경유하라고 강조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노선도 기사에게 미리 신당1리에서 내린다고 말하면 하차는 가능하다.

  • 강동과 안강읍내에서는 양 방향 차량이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니 주의. 버스에 붙어있는 팻말을 확인하자. 단 경주 첫차는 안강터미널까지 들어가지 않고 안강사거리에서 바로 우회전해서 기계로 가니 주의.

  • 2017년 11월 24일부터 2019년 3월까지 700번 출신 현대 유니버스 럭셔리로 운행했다. 2019년 3월에 운행되던 유니버스들이 대차되고 대차분은 500번600번에 들어갔는데 200번에는 600번 출신 1대와 500번 출신 1대 뉴슈퍼 F/L 좌석들이 넘어오게 되었다.

  • 2020년 8월(?) 즈음에 150번에 뉴슈퍼에어로시티 5대 대차가 되면서 기존 차량은 다른 노선으로 이동하고 150번 유니시티 2대가 넘어오게 되었다. (2020년 9월 기준)

  • 본 노선 운행 구간중 안강 ~ 단구리 구간은 경주시 구역이지만 경주버스보다 포항버스가 더 많이 들어온다.

  • 안강-기계 구간은 기계1번과 공동으로 운행해 총 25회 운행한다.[5] 이로 인해 최종목적지까지 알뜰하게 가려면 자기 방면을 알아야 한다. 만약에 사방/금장/강교 방면이라면(이 버스는 경주시내까지 들어가므로 황성/경주시내로 간다면 그냥 계속 타면된다.) 200번을 타야 경주로 갈 때 환승할인이 인정되어 저렴하게 갈 수 있으며, 반대로 포항/죽장/기북 방면으로 가려면 기계1번을 타야 다음 포항버스(700,770,771번 등...)과의 환승할인이 인정되어 저렴하게 갈 수 있다. 포항버스↔경주버스는 서로 환승할인이 안된다.

  • 2022년 7월 개편안에 의하면 기점과 종점을 경주역과 안강으로 옯긴 급행2번이 신설(또는 급행2번으로 변경)되며, 안강-기계 구간은 포항마을버스처럼 지선버스가 역할을 맡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경주시와 새천년미소간의 조율이 무산되었는지 개편은 실행되지 않았다.

  • 공식적인 기계발 막차는 20시 45분이지만, 21시가 넘어서야 출발하는 경우가 흔하다.

4.1. 시간표[편집]


2022년 1월 27일 기준이다. #


4.2. 노선[편집]


파일:경주시 CI_White.svg 경주시 좌석버스 200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기계로
내단2리 ▼▲ 기계환승센터
새마을로
달성사거리 ▼▲ 내단3리
안현로
백년예식장 ▼▲ 안강동부정류장
안강중앙로
양동마을입구 ▼▲ 안강사거리
호국로
강동 ▼▲ 인동
강변로
현진에버빌 ▼▲ 국민체육센터
용담로
계림고등학교 ▼▲ 계림중학교
산업로
경주교 ▼▲ 신라중학교
원화로
성동시장 ▼▲ 성동시장 동편
화랑로
중앙시장 ▼▲ 청년회의소
금성로강변로
고속버스터미널 ▼
태종로


파일:경주시 CI_White.svg 경주시 좌석버스 200번(안강사거리)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기계로
내단2리 ▼▲ 기계환승센터
새마을로
달성사거리 ▼▲ 내단3리
안현로
백년예식장 ▼▲ 안강동부정류장
안강중앙로
양동마을입구 ▼▲ 안강사거리
호국로
강동 ▼▲ 인동
강변로
현진에버빌 ▼▲ 국민체육센터
용담로
계림고등학교 ▼▲ 계림중학교
산업로
경주교 ▼▲ 신라중학교
원화로
성동시장 ▼▲ 성동시장 동편
화랑로
중앙시장 ▼▲ 청년회의소
금성로강변로
고속버스터미널 ▼
태종로



5. 연계 철도역[편집]


없음.


6. 둘러보기[편집]



파일:경주시 CI.svg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파일:포항시 CI.svg파일:영천시 CI.svg파일:청도군 CI.svg파일:양산시 CI.svg
경주 - 타 시 · 군 간 버스
[ 울산광역시 ]
[ 포항시 ]

포항시환승지경주시
800감포100100-1130
1607001100
600강동200201202
203205206
207208212
2172601200
206위덕대212222260
700기계1기계200
9009000포항경주공항1000

[ 영천시 ]

영천시환승지경주시
753760번대763임포305
753아화300300-1301
302303304
3051300

[ 청도군 ]

청도군환승지경주시
동곡순환동곡지촌2-1산내
동곡: 동곡터미널에서 청도군 농어촌버스, 경산시 시내버스 환승 가능 / 산내: 산내정류소에서 경주시 시내버스 환승 가능

[ 양산시 ]

양산시환승지경주시
1330003100언양35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0:50:04에 나무위키 경주 버스 2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변경된 경유 정류장은 태광산업, 용강소방서, 제일아파트, 황성 협성휴포레/황성 KCC 스위첸, 국민체육센터(기계행만), 현진에버빌, 우리마트(이하 경주행만), e편한세상 황성이다.[2] 2021~2022년의 노선 변경에서 기존 300-1, 300-2 노선이 맡던 역할은 60, 61번과 이 노선, 그리고 273번과 276번이 맡게 대체되었다.[3] 이는 위덕대에서 환승 가능한 260번-206번 연계도 마찬가지다. 물론 목적지가 유강이면 예외.[4] 이로 인해 죽장에서 안강으로 갈 때 죽장에서 770, 771번을 타놓고 기계까지 와서 안강으로 갈 때 기계1번이 아닌 이 노선을 타면 환승할인은 그대로 타절되고 요금은 2배 더 나가니 주의해야 한다.[5] 기계1번은 16회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