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울산 버스 712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구 712번에 대한 내용은 울산 버스 722(폐선) 문서
울산 버스 722(폐선)번 문단을
울산 버스 722(폐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



파일:울산712번.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71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울산712.png
기점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율리(율리공영차고지)종점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구.모화역)
종점행첫차05:20(평일)
05:00(토요일, 공휴일)
기점행첫차05:20(평일)
05:30(토요일, 공휴일)
막차22:45막차22:50
평일배차20~35분주말배차20~45분
운수사명대우여객인가대수평일 11대
토, 공휴일 9대
노선율리공영차고지 - 울산대학교 - 신복로터리 - 성광여고 - 옥동초등학교 - 공업탑 - 시외고속버스터미널.신세계안과의원 - 태화강역 - 효문사거리 - 북구청 - 울산공항 - 유아교육진흥원 - 농소공영차고지 - 농소1동행정복지센터 - 호계초등학교입구.유황사우나 - 매곡에일린의뜰1, 2차 - 월드메르디앙1단지 - 매곡푸르지오1차 - 오토밸리로효성, 에듀파크에뜰 - 약수윗마을(중산초등학교) - 화정마을 - 모화


2. 개요[편집]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왕복 운행거리는 64.7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17년 1월 14일에 신설되었다. 차량 5대는 402번에서 2대, 225번, 256번, 412번에서 1대씩 가지고 왔다.

  • 2017년 12월 30일에 '율리공영차고지 - 울산대학교 - 신복로터리 - 성광여고 - 구.울주군청 - 공업탑 - 태화강역' 구간이 연장되었고, '농소1동주민센터 - 농소2동주민센터 - 효성해링턴플레이스' 구간이 '농소1동주민센터 - 유황사우나 - 에일린의뜰1~2차 - 월드메르디앙1~2단지 - 매곡푸르지오 - 효성해링턴플레이스'로 바뀌고 화봉동을 지나지 않게 되었다.



  • 신도여객 파산으로 인해 2021년 9월 1일부터 운행 업체가 대우여객으로 변경되었다.

  • 2022년 5월 6일부터 3대가 증차되어 11대로 운행한다. 동시에 기종점 출발 시간표로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편집]


  • 남구 무거동과 북구를 이어주는 노선으로 형제노선으로는 402번, 412번, 422번, 432번, 442번, 453번, 472번, 482번, 492번이 있다.[1]

  • 다른 모화 방면 노선들과 달리 매곡동 안동네를 거쳐서 간다. 482번에서 화봉과 신천을 빼고 호계와 매곡을 넣었다고 보면 된다.

  • 최초로 매곡푸르지오1차를 경유하는 노선이다.


  • 702번이 매곡으로 변경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신설한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도 있는데, 노선 형태와 수요 범위가 702번과는 많이 다르다. 702번은 북구청에서 중구 깊게까지 쭉 갔다가 다시 삼산 쪽으로 돌아오는 구조지만 712번은 북구청(ID : 40331, 40332, 상방지하차도 상부)에서 직진을 해서 산업로를 쭉 내달리는 노선이다. 702번은 장거리 수요보다는 구간 수요가 훨씬 많은 노선이다. 반면에 712번은 북구(농소) ↔ 삼산 간 수요가 대부분이다.[2]

  • 서울에서 부산까지 시내버스 여행을 할 때 울산 통과 노선으로 활용할 수 있지만, 매곡동 안동네를 경유하기 때문에 잘 안 탄다. 경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모화역까지 경주 600번을 탄 다음 이 노선으로 환승하고 농소공영차고지에서 1127번, 1147번으로[3], 태화강역에서 1137번으로 환승하면 노포역까지 갈 수 있다.

  • 역사 문단에서 서술했듯이, 신도여객의 파산으로 인해 대우여객이 뒤를 이어서 운행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서 대우여객 최초의 모화노선이 되었다.

  • 신도여객 운행 시절엔 모화발 막차가 율리에 11시 50분 ~ 12시 경 도착하였는데 대우여객으로 운수업체가 바뀌고 나선 12시 30분이 넘어서 도착하기도 한다.


4.1. 노선[편집]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712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산업로
▲ 화정마을
오토밸리로
매곡푸르지오1차 ▼▲ 약수윗마을
신천로
매곡푸르지오아파트 ▼▲ 매곡푸르지오1차
매곡1로
매곡 ▼▲ 매곡현대아파트
매산로
매곡에일린의뜰1,2차 ▼▲ 월드메르디앙1단지
호계매곡1로
홈골 ▼▲ 매곡에일린의뜰1,2차
호계매곡6로
유황사우나 ▼▲ 홈골
동대로
농소중학교 ▼▲ 호계초등학교입구.유황사우나
호계로
유아교육진흥원 ▼▲ 원지마을입구
산업로
이마트앞 ▼▲ 태화강역
삼산로
신정고등학교앞 ▼▲ 공업탑
문수로
성광여고앞 ▼▲ 공원묘지입구
남부순환도로
신복로터리 ▼▲ 삼호중학교앞
대학로
문수실버복지관 ▼▲ 우신고등학교입구
웅촌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매곡지구 경유 시내버스



파일:경주시 CI.svg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파일:포항시 CI.svg파일:영천시 CI.svg파일:청도군 CI.svg파일:양산시 CI.svg
경주 - 타 시 · 군 간 버스
[ 울산광역시 ]
[ 포항시 ]

포항시환승지경주시
800감포100100-1130
1607001100
600강동200201202
203205206
207208212
2172601200
206위덕대212222260
700기계1기계200
9009000포항경주공항1000

[ 영천시 ]

영천시환승지경주시
753760번대763임포305
753아화300300-1301
302303304
3051300

[ 청도군 ]

청도군환승지경주시
동곡순환동곡지촌2-1산내
동곡: 동곡터미널에서 청도군 농어촌버스, 경산시 시내버스 환승 가능 / 산내: 산내정류소에서 경주시 시내버스 환승 가능

[ 양산시 ]

양산시환승지경주시
1330003100언양35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6:28:08에 나무위키 울산 버스 71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전엔 452번, 462번도 있었지만 각각 2011년 11월 11일2018년 12월 22일에 폐선되었다.[2] 북구청 이북으로는 2권역 종점 노선들이 거의 다 겹치기 때문이다.[3] 보통은 울산공항에서 환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