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관악구청장

덤프버전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0%><rowbgcolor=#E61E2B> 종로 ||<bgcolor=#E61E2B><width=20%> ||<bgcolor=#808080><width=20%> 용산 ||<bgcolor=#004EA1><width=20%> 성동 ||<bgcolor=#E61E2B><width=20%> 광진 ||
|| 정문헌 || 김길성 || 박희영 || 정원오 || 김경호 ||
||<bgcolor=#E61E2B> 동대문 ||<bgcolor=#004EA2> 중랑 ||<bgcolor=#004EA2> 성북 ||<bgcolor=#004EA2> 강북 ||<bgcolor=#E61E2B> 도봉 ||
|| 이필형 || 류경기 || 이승로 || 이순희 || 오언석 ||
||<bgcolor=#004EA2> 노원 ||<bgcolor=#004EA2> 은평 ||<bgcolor=#E61E2B> 서대문 ||<bgcolor=#E61E2B> 마포 ||<bgcolor=#E61E2B> 양천 ||
|| 오승록 || 김미경 || 이성헌 || 박강수 || 이기재 ||
||<bgcolor=#004EA2> 강서 ||<bgcolor=#E61E2B> 구로 ||<bgcolor=#004EA2> 금천 ||<bgcolor=#E61E2B> 영등포 ||<bgcolor=#E61E2B> 동작 ||
|| 진교훈 || 문헌일 || 유성훈 || 최호권 || 박일하 ||
||<bgcolor=#004EA2> 관악 ||<bgcolor=#E61E2B> 서초 ||<bgcolor=#E61E2B> 강남 ||<bgcolor=#E61E2B> 송파 ||<bgcolor=#E61E2B> 강동 ||
|| 박준희 || 전성수 || 조성명 || 서강석 || 이수희 ||
||<-5>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파일:관악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양재범
제2대
안진
제3대
함종원
제4대
안찬희
제5대
강정희
제6대
강병수
제7대
윤백영
제8대
이집홍
제9대
김인동
제10대
김두한
제11대
김영만
제12대
이진호
제13대
김문종
제14대
박형원
제15대
윤두영
제16대
서정희
제17대
박형석
제18대
박종옥
제19대
진진형
제20-21대
김희철
제22대
김효겸
제23-24대
유종필
제25-26대
박준희
파일:관악구 구정비전.png




파일:관악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서울特別市 冠岳區廳長
Mayor of Gwanak-gu
파일:박준희 관악구청장.jpg
현직박준희 / 제25·26대 (민선 7·8기)
취임일2018년 7월 1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홈페이지 관악구 열린구청장실
1. 개요
2. 상세
3. 역대 구정 목표
4. 명단
4.1. 과거 관악구가 속했던 지역의 장
4.2. 역대 구청장
5. 역대 선거 결과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은 서울특별시 관악구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45번지(봉천동)에 있는 관악구청이다. 1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최대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

2. 상세[편집]


총 23명[1]의 구청장이 관악구를 총괄했다. 관악구가 '서울 속의 호남'이라고 불리듯 2006년 지방선거를 제외하면 민주당계 정당에서 구청장직을 많이 가져갔다. 민선 4기 김효겸 전 구청장은 뇌물수수 혐의로 임기가 중단되었다. 관선 4대 안찬희 전 구청장은 인천직할시장까지 지낸 관료이다.

관선 노태우 정부 때는 구청장 임기 중 혼란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3. 역대 구정 목표[편집]


구청장구정 목표
안찬희 (1976년)쾌적한 도시 환경 조성, 서민 생활의 보호
박종옥 (1994년)편리한 도시 기반 구축, 쾌적한 생활 환경 조성
진진형 (민선 1기)-
김희철 (민선 2·3기)인간과 자연, 문화가 공존하는 관악 건설
김효겸 (민선 4기)아름답고 풍요로운 미래도시 관악건설
유종필 (민선 5·6기)이사 오고 싶은 관악, 살고 싶은 관악
박준희 (민선 7·8기)강한 경제, 감동행정, 찬란한 문화의 강감찬 도시

4. 명단[편집]



4.1. 과거 관악구가 속했던 지역의 장[편집]


대수성명기간정부 및 당적[2]기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청 관악출장소장
초대김찬호1963년 1월 1일 ~ 1965년 5월 14일윤치영 시정영등포구청 사회과장
2대장순무1965년 5월 15일 ~ 1967년 12월 31일전 관악보건소 위생과장
관악출장소 폐지 및 영등포구 직할로 편입

4.2. 역대 구청장[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63년부터 1973년까지 現 관악구 지역을 총괄했던 사람에 대한 내용은 영등포구청 문서
2.1번 문단을
영등포구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국회의원, 시·도지사, 차관급 이상의 직을 역임한 구청장에게는 볼드체 표시함.
대수성명기간정부 및 당적[3]기타
관선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2~3급]
초대양재범1973년 7월 1일 ~ 1974년 2월 21일제4공화국관선 중구청장[4]
2대안 진1974년 2월 22일 ~ 10월 17일관선 동대문구청장[5]
3대함종원1974년 10월 18일 ~ 1975년 7월 9일관선 성동구청장
4대안찬희1975년 7월 10일 ~ 1976년 3월 14일관선 인천직할시장[6], 국회의원[13~14대]
직무대리강정희1976년 3월 15일 ~ 8월 31일관선 도봉구청장, 인간 문화재
5대1976년 9월 1일 ~ 1977년 8월 31일
6대강병수1977년 9월 1일 ~ 1979년 6월 21일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공사 사장
7대윤백영1979년 6월 22일 ~ 1980년 7월 27일서울특별시 부시장[7]
8대이집홍1980년 7월 28일 ~ 1981년 9월 11일최규하 정부서울특별시청 새마을담당관
9대김인동1981년 9월 12일 ~ 1982년 9월 9일제5공화국서울특별시의회 의원[8]
10대김두한1982년 9월 10일 ~ 1984년 6월 14일관선 강동구청장
11대김영만1984년 6월 15일 ~ 1985년 12월 27일[9]관선 도봉구청장
직무대리이광우1985년 12월 28일 ~ 1986년 1월 13일[10]관선 강남구청장
12대이진호1986년 1월 14일 ~ 1988년 5월 11일세종문화회관[11]
13대김문종1988년 5월 12일 ~ 12월 26일노태우 정부삼성물산 고문
14대박형원1988년 12월 27일 ~ 1989년 7월 15일관악구 부구청장
직무대리박형석1989년 7월 16일 ~ 21일[12]제17대 관악구청장 역임
15대윤두영1989년 7월 22일 ~ 1991년 4월 10일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사장[13]
16대서정희1991년 4월 11일 ~ 7월 25일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공사 총무이사
17대박형석1991년 7월 26일 ~ 1993년 3월 17일관선 종로구청장[14]
18대박종옥1993년 3월 18일 ~ 1995년 6월 30일문민정부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사장[15]
민선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1급]
19대진진형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16]
민주당 고문
20대김희철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ta-hash-start=w-9404274ad7e1f860d8024845021b47d7[[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7]
국회의원[18대]
21대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ta-hash-start=w-7bab2dffdde2dc0280f291194aec45b1[[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8]
22대김효겸2006년 7월 1일 ~ 2009년 11월 26일[19]前 관악구의원[20]
권한대행박용래2009년 11월 27일 ~ 2010년 6월 30일부구청장[21]노원구 부구청장
23대유종필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22]국회도서관[23],
윤석열 국민캠프 상임고문
24대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24]
25대박준희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서울특별시의원[25]
26대2022년 7월 1일 ~ 현재[26]


5.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2위 후보의 양상이 타 구청장 선거와 약간 다르다. 4회 지선에서 열린우리당 후보가 아닌 민주당 후보[27]이 2등을, 7회 지선에서 자유한국당 후보가 아닌 바른미래당 후보가 2등을 했다.[28]

5.1. 1995년[편집]


{+1 [[파일:관악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형석(朴亨錫)102,5672위
38.78%낙선
2진진형(陳搢炯)137,9321위
52.15%당선
3안두영(安斗榮)23,9633위
9.06%낙선
선거인 수405,518투표율
67.67%
투표 수271,039
무효표 수6,577
1995년 6월 27일 선거, 7월 1일 취임. 서울시 전체적으로 여당 민주자유당이 패배하고, 야당 민주당이 승리했으며, 친 민주당 성향이 두드러지는 관악구에서도 민주당 후보가 과반승했다.
민주자유당에서는 관선 관악구청장을 역임한 박형석 후보를, 민주당에서는 조달청 국장 출신인 진진형 후보를 공천했다.

5.2. 1998년[편집]


{+1 [[파일:관악구 CI_White.svg}}} 관악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진진형(陳瑨炯)78,8562위
43.45%낙선
2김희철(金熙喆)102,6291위
56.54%당선
선거인 수390,412투표율
47.28%
투표 수184,604
무효표 수3,119

본래 민주당 소속이었던 진진형 전 구청장이 공천에 불복해 한나라당에 입당한 후 치러진 선거이다.

한나라당에서는 당시 구청장인 진진형 전 구청장을, 새정치국민회의에서는 한광옥, 김홍일 전 의원 보좌관을 지낸 당료 출신 김희철 후보를 공천했다. 두 후보 모두 전라북도 고창군 출신에 고창고등학교 동문,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 출신이라 주목을 받았다.

5.3. 2002년[편집]


{+1 [[파일:관악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재룡(金載龍)84,5772위
46.86%낙선
2김희철(金熙喆)95,8971위
53.13%당선
선거인 수409,461투표율
44.91%
투표 수183,891
무효표 수3,417
2002년 6월 13일 선거, 7월 1일 취임. 당시 레임덕에 빠졌던 새천년민주당 후보가 당선된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

한나라당에서는 전문 경영인인 김재룡 후보를, 새천년민주당에서는 당시 구청장이었던 김희철 전 구청장을 공천했다.

5.4. 2006년[편집]


{+1 [[파일:관악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진진형(陳瑨炯)46,1243위
22.16%낙선
2김효겸(金孝謙)92,4471위
44.41%당선
3김희철(金熙喆)69,5522위
33.41%낙선
선거인 수431,791투표율
48.86%
투표 수210,970
무효표 수2,847
2006년 5월 31일 선거, 7월 1일 취임. 관악구청장 선거에서 보수 정당 후보가 당선된 유일한 선거이다. 2010년 이전에 재임한 전직 구청장들이 모두 출마했다.

타 지역과 다르게 민주당에서 후보를 공천했으며, 한나라당과 11% 정도의 득표율 격차를 보였다.

열린우리당에서는 진진형 전 구청장을, 한나라당에서는 김효겸 전 관악구의회 의장을, 민주당(2005년)에서는 김희철 전 구청장을 공천했다.

5.5. 2010년[편집]


{+1 [[파일:관악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신환(吳晨煥)82,8992위
35.29%낙선
2유종필(柳鍾珌)128,3061위
54.62%당선
3허증(許增)7,5994위
3.23%낙선
7이봉화(李奉花)13,3233위
5.67%낙선
8권태오(權泰梧)2,7765위
1.18%낙선
선거인 수442,049투표율
53.93%
투표 수238,395
무효표 수3,492
2010년 6월 2일 선거, 7월 1일 취임. 다시 민주당이 구청장직을 과반이 넘는 득표율로 탈환했다.

한나라당에서는 이후 재선 국회의원, 국민의힘 HOW's 대표를 맡게 되는 오신환 서울특별시의원을, 민주당에서는 국민의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비서관을 지낸 유종필국회도서관장을 공천했으며, 자유선진당진보신당, 평화민주당에서도 후보를 공천했다.

5.6. 2014년[편집]


{+1 [[파일:관악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정호(李廷浩)92,3282위
36.23%낙선
2유종필(柳鍾珌)154,1261위
60.49%당선
3이승헌(李承憲)8,3303위
3.26%낙선
선거인 수447,728투표율
58%
투표 수259,689
무효표 수4,905
2014년 6월 4일 선거, 7월 1일 취임. 유종필 전 구청장이 60%가 넘는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새누리당에서는 영등포구 부구청장관악구청 건설교통국장, 생활복지국장을 역임한 관료 출신 이정호 후보를, 새정치민주연합에서는 유종필 전 구청장을 공천했다.

5.7. 2018년[편집]


{+1 [[파일:관악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준희(朴俊熙)153,3101위
58.93%당선
2홍희영(洪憙榮)43,6213위
16.76%낙선
3이행자(李行子)47,1872위
18.13%낙선
4김희철(金熙喆)16,0314위
6.16%낙선
선거인 수449,742투표율
59.01%
투표 수265,391
무효표 수5,242
2018년 6월 13일 선거, 7월 1일 취임. 박준희 후보가 과반 이상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서울 내 타 지역과 다르게 자유한국당 후보가 바른미래당 후보에게도 밀려 3위를 차지했으며, 민주평화당에서도 후보를 공천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박준희 서울특별시의원을, 자유한국당에서는 관악구의회 사무국장을 지낸 홍희영 후보를, 바른미래당에서는 서울특별시의원 출신 국민의당계 이행자 후보를, 민주평화당에서는 민선 2·3기 구청장을 지낸 김희철 후보를 공천했다.[29]

5.8. 2022년[편집]


{+1 [[파일:관악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준희(朴俊熙)118,3491위
52.93%당선
2이행자(李行子)105,2152위
47.06%낙선
선거인 수450,180투표율
50.38%
투표 수226,792
무효표 수3,228
2022년 6월 1일 선거, 7월 1일 취임.

6. 관련 문서[편집]



[1] A B 지방관리관(1급) 대우[2] A B 지방이사관(2급) 또는 지방부이사관(3급)[3] 관선의 경우 임명 정부명 기재, 민선의 경우 당선 시 기준. 당적 변동 사항은 각주로 기재.[4] 이외에도 전라남도 보성군수, 장성군수를 역임했다.[5] 이외에도 국회도서관 총무과장을 역임했다.[6] 제5공화국[13~14대] 13대: 전국구, 14대: 경기 가평군·양평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ta-hash-start=w-c5221983dc6ab3c2553c9b3d75962cda[[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ta-hash-start=w-a45fe3002f1aa97a56ad635ce85d5b08[[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7] 노태우 정부 고건 시정[8] 제3대(1991~1995), 운영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역임.
ta-hash-start=w-dc0ac6b56bac0a31ee23681e9020fee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5대 총선 영등포구 을통합민주당(1995년) 후보로 출마했으나 새정치국민회의 김민석 후보에 밀려 낙선.[9] 비리 사건으로 사퇴[10] 부구청장[11] 이외에도 강원도 춘천시장을 역임했다.[12] 부구청장[13] 조순 시정[14]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자유당 관악구청장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낙선.[15] 고건 시정[16] 1995.9. 탈당으로
무소속


1995.9.
ta-hash-start=w-d7d7b53081e1e3ecbd28c30c34b4bcd3[[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입당
1998.4. 공천 불복으로 인한 탈당,
무소속


1998.4.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입당.[17] 2000.1.
ta-hash-start=w-c170720310dba87cccbaebd83ea6ace9[[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으로 당명 변경.
[18대] 관악구 을.
ta-hash-start=w-7068c188dec75bdb337841ab119312fc[[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1af762c872080b066c4cd5ec1663ba91[[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85d955f1f2024dd1d790adeb6ab856c2[[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무소속

[18] 2005.5. 으로 당명 변경.[19]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임기 정지.[20] 민선 2~3기. [21] 오세훈 시정 1기[22] 2011.12. 시민통합당과의 합당으로 창당
2013.5. 으로 당명 변경
2014.3. 새정치연합과의 합당으로 창당.
[23] 김형오 의장[24] 2015.12. 으로 당명 변경.[25] 민선 5~6기. → → → → [26] 임기는 `26.6. 까지. 최대 `30.6. 까지 연임 가능.[27] 이 당시 민주당은 참여정부 이후의 자유민주연합처럼 사실상 광주·전남 지역정당으로 몰락했던 상태이다.[28] 호남 출신이 많이 거주하는지라, 호남에서 돌풍을 일으켰던 국민의당의 후신인 바른미래당의 선전에까지 영향을 끼쳤다.[29]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군소정당으로 쪼그라들은 민주당 후보로 나왔음에도 1/3을 득표하였는데, 이번엔 고작 6% 득표에 그쳤다. 현직 구청장 버프가 없어진 듯.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