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범모

덤프버전 :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제9대 국회 전국구 (1기)
[ 펼치기 · 접기 ]

갈봉근강문봉강문용고재필구범모구태회
권갑주권일권중동권효섭김기형김도창
김동성김명회김삼봉김성용김세련김세배
김신김영도김용성김재규[B]김종필김재순
김진봉김창규김충수남상돈노진환문태갑
민병권박동묘박정자박찬현백두진백영훈
서영희서인석송호림송효순신광순신상초
안종열안춘생엄경섭오정근오주환유민상
윤태일이도선이범준이성가[A]이숙종이영근
이종식이진희이해랑임삼장동식장준한
장창국전재구정광호정복향정재호주영관
지종걸최영철최영희최용수한태연함명수
함재훈함종빈허무인[A]현오봉황창주송효순 [C]
김충수 [C]이승복 [C]남상돈 [C]
[B] 임기 중 사퇴.[A] A B 임기 중 사망.[C] A B C D 승계.





파일:external/tv.pstatic.net/chosun_400000489.jpg

具範謨
1934년 1월 7일[1] ~ (90세)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교수, 정치인이다. 본관은 능성(綾城)[2]다. 아내는 경주 김씨(1933. 7. 14 ~ )로 김세종(金世鍾)의 딸이다.

제4공화국에서 제9·1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2. 생애[편집]


1934년 1월 7일 경상북도 예천군 유천면 매산리 246번지에서 태어났다. 예천서부국민학교를 졸업하고 예천농업중학교(現 예천중학교)에 입학했다가 3학년 때 대전중학교에 전학해 졸업한 뒤 대전고등학교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1959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3]를 취득하고 미국 코넬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귀국 후 1973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4]를 취득했다.

코넬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과정을 수료한 뒤 귀국해 1968년부터 1973년까지 모교인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 조교수, 부교수를 역임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 때 유신정우회 제1기 국회의원에 임명되었고, 1976년 제2기 국회의원으로 연임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황재홍 대신 민주공화당 공천을 받아 경상북도 문경군-예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다. 역시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신민당 채문식 후보와 동반 당선되어 1979년 3월 12일에 취임하였다. 10.26 사건 이후인 1979년 말 민주공화당 김종필 총재 체제가 출범하자 이루어진 당직 개편에서 정책위원회 부의장으로 임명되었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정치규제를 당하였다가 1984년 해금되었다. 그러나 해금 이후에도 정치에 다시 몸담지 않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속 대학원(現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사회과학부 정치학 전공 교수명예교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연구부장,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로는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초빙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총동창회 회장을 지냈다.


[1] 음력 1933년 11월 22일.출처: 《능성구씨족보》 구범모편.[2] 좌정승파(左政丞派) 참판공계(叅判公系) 29세 '謨'자 항렬이다.[3] 석사 학위 논문 : 英國 保守主義 硏究 : 特히 애드몬드버그를 中心으로(영국 보수주의 연구 : 특히 애드몬드버그를 중심으로, 1959).[4] 박사 학위 논문 : 近代化過程에서의 政治 엘리뜨에 關한 硏究 : 엘리뜨의 充員과 社會集團의 變遷을 中心으로(근대화과정에서의 정치 엘리뜨에 관한 연구 : 엘리뜨의 충원과 사회집단의 변천을 중심으로, 197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