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문태갑

덤프버전 :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제9대 국회 전국구 (1기)
[ 펼치기 · 접기 ]

갈봉근강문봉강문용고재필구범모구태회
권갑주권일권중동권효섭김기형김도창
김동성김명회김삼봉김성용김세련김세배
김신김영도김용성김재규[B]김종필김재순
김진봉김창규김충수남상돈노진환문태갑
민병권박동묘박정자박찬현백두진백영훈
서영희서인석송호림송효순신광순신상초
안종열안춘생엄경섭오정근오주환유민상
윤태일이도선이범준이성가[A]이숙종이영근
이종식이진희이해랑임삼장동식장준한
장창국전재구정광호정복향정재호주영관
지종걸최영철최영희최용수한태연함명수
함재훈함종빈허무인[A]현오봉황창주송효순 [C]
김충수 [C]이승복 [C]남상돈 [C]
[B] 임기 중 사퇴.[A] A B 임기 중 사망.[C] A B C D 승계.



파일:국민체육진흥공단 로고.svg국민체육진흥공단
역대 이사장
||
[ 펼치기 · 접기 ]

초대
김옥진
2대
문태갑
3대
유도재
4대
박성달
5대
이연택
6대
최일홍
7대
이종인
8대
박재호
직무대행
손재택
9대
김주훈
10대
정정택
11대
이창섭
직무대행
김성호
12대
조재기
13대
조현재




파일:external/people.phinf.naver.net/yonhapnews_28336194.jpg

文胎甲
1930년 2월 25일[1] ~ (94세)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이다. 본관은 남평(南平)[2].

문희갑대구광역시장의 사촌 형이며, 독립유공자 문영박의 손자이다.#

2. 생애[편집]


1930년 2월 25일 경상북도 달성군 화원면(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의 남평 문씨 본리세거지에서 아버지 문강만(文罡萬, 1906 ~ 1990. 10. 13)[3]과 어머니 광주 노씨(? ~ ?. 5. 2)[4] 사이의 3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대구수창국민학교(28회)와 경북고등학교(30회),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졸업 후 동양통신(現 연합뉴스)에서 15년간 정치부 기자근무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신정우회 제1기 국회의원으로 임명되었다. 1976년 유신정우회 제2기 국회의원 임명 때에도 유임되었다.

1979년 12월 14부터 1980년 5월 25일까지 신현확 국무총리국무총리비서실장역임했다.

이후 1980년 7월부터 1984년 8월까지 서울신문 사장을 지냈다. 한편 신문협회 회장도 겸하였다.

1994년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사장을 마지막으로 1995년 고향 인흥마을[5]로 돌아와 계속 거주하고 있다. 그는 “도시는 일하는 곳이다. 일이 끝나면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나는 낙향이라는 말도 좋아하지 않는다.“ 할 일을 다하고 돌아가는 것은 귀향이나 환향이다.”라고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4:19:35에 나무위키 문태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남평문씨 인터넷대동보에는 1931년 2월 21일생으로 기재되어 있다.[2] 의안공파-이곡-참의공-의곡파 33세 희(熙) 항렬. 족보명은 문희응(文熙膺).[3] 족보명은 문진채(文晋采).[4] 노정석(盧正錫)의 딸이다.[5] 남평 문씨의 세거지(世居地)가 있으며 문익점의 18대손이자 대구 입향조 문세근의 9대손인 인산재 문경호가 1872년에 지은 집이다. 그 후손 수봉 문영박 아들들이 분가해 한 동네를 이루면서 3300㎡에 아홉 살림집과 두 재실(수봉정사, 광거당)이 들어섰다. 세거지에는 국내에서 보기 드문 문중문고인 ‘인수문고’가 있다. 모두 9000책(2만권 분량)을 수장, 민간으로서는 가장 많은 고서를 보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