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제시·부안군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김제시·부안군.svg
선거인 수121,369명 (2020)
상위 행정구역전라북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김제시 전역
요촌동, 신풍동, 검산동, 교월동 (舊 김제시)
만경읍, 죽산면, 백산면, 용지면, 백구면, 부량면, 공덕면, 청하면, 성덕면, 진봉면, 금구면, 봉남면, 황산면, 금산면, 광활면 (舊 김제군)

부안군 전역
부안읍, 주산면, 동진면, 행안면, 계화면, 보안면, 변산면, 진서면, 백산면, 상서면, 하서면, 줄포면, 위도면
신설년도2016년
이전 선거구김제시·완주군, 고창군·부안군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원택
1. 개요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1. 개요[편집]


기존의 김제시·완주군 선거구와 고창군·부안군 선거구에서 김제시, 부안군을 통폐합해 만들어진 선거구다. 2020년 기준으로 14만명을 밑돌아 인구수 미달로 공중 분해 될 수도 있었으나 이번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선거구가 살아남았다.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의원이다.
여담으로, 두 도시는 서해안고속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11대조상래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김제군·부안군
김진배
ta-hash-start=w-9b1cab1b93285ce58e7c1dc576ff8a14[[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2대최락도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조상래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3대최락도
ta-hash-start=w-7c4049f0668f21344eb1c0de0b3bd6b0[[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김제군 일원
이희천부안군 일원
14대최락도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김제시·김제군
이희천부안군 일원
15대장성원
ta-hash-start=w-7290c4082936311a3295b7c9ca7bda8f[[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김제시 일원
김진배부안군 일원
16대장성원
ta-hash-start=w-3c00d99bc7b08007ab77df522d5ec674[[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김제시 일원
정균환고창군·부안군
17대최규성
ta-hash-start=w-81e98219f751b64b9e7ec0e4e5c6d0e4[[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김제시·완주군
김춘진고창군·부안군
18대최규성
ta-hash-start=w-aea93b39fbf6af64f5785c9514c1ef39[[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김제시·완주군
김춘진고창군·부안군
19대최규성
ta-hash-start=w-235a99a28e06f61039281f9f820a0b4d[[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김제시·완주군
김춘진고창군·부안군
20대김종회
ta-hash-start=w-841b9457fd9014ede0e8ba949e5be76d[[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김제시·부안군
21대이원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현재
22대

2.1. 중선거구제 (김제군·부안군, 11대~12대)[편집]



2.1.1. 제1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제군·부안군
김제군, 부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존일(李存一)11,2125위


7.59%낙선
2최락도(崔洛道)32,5433위


22.05%낙선
3조상래(趙尙來)42,672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28.91%당선
4김진배(金秉烈)33,3162위

ta-hash-start=w-e3f20d78aa268dbc5a1ba6a2860eaec7[[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2.57%당선
5허요석(許堯錫)3,5917위
2.43%낙선
6이창열(李昌烈)19,1324위
12.96%낙선
7유흥철(柳興喆)5,1036위
3.45%낙선
선거인 수182,849투표율
81.51%
투표 수149,046
무효표 수1,477

2.1.2. 제1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제군·부안군
김제군, 부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락도(崔洛道)41,7801위
27.29%당선
2이창열(李昌烈)27,6973위
18.09%낙선
3조상래(趙尙來)40,7862위
26.64%당선
4박용기(朴龍基)19,3425위
12.63%낙선
5김진배(金珍培)23,4784위
15.33%낙선
선거인 수183,275투표율
84.92%
투표 수155,633
무효표 수2,550

2.2. 김제군/시, 부안군 (13대~15대)[편집]



2.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제군
김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철권(趙澈權)26,2152위
31.41%낙선
2박형철(朴炯喆)6055위
0.72%낙선
3최락도(崔洛道)41,7761위
50.05%당선
4오민수(吳敏秀)7034위
0.84%낙선
5최규정(崔圭正)5606위
0.67%낙선
6이창렬(李昌烈)13,5943위
16.28%낙선
선거인 수104,643투표율
80.67%
투표 수84,419
무효표 수966

부안군
부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규환(崔奎煥)16,7352위
31.13%낙선
2홍순철(洪淳喆)7445위
1.38%낙선
3이희천(李熙天)34,2561위
63.73%당선
4김손(金孫)1,0283위
1.91%낙선
5이재환(李在煥)9834위
1.82%낙선
선거인 수68,590투표율
79.45%
투표수54,492
무효표수746

2.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제시·김제군
김제시, 김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건식(李建植)26,4272위
38.05%낙선
2최락도(崔洛道)41,8861위
60.32%당선
3노귀철(盧貴澈)1,1253위
1.62%낙선
선거인 수95,619투표율
73.74%
투표 수70,512
무효표 수1,074

부안군
부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고명승(高明昇)20,5292위
42.33%낙선
2이희천(李熙天)22,4221위
46.23%당선
3최규환(崔奎煥)4,4324위
9.13%낙선
4김송철(金松喆)2155위
0.44%낙선
5김종수(金鐘洙)5363위
1.10%낙선
6장종현(張鐘鉉)3613위
0.74%낙선
선거인 수62,675투표율
78.40%
투표 수49,143
무효표 수648

2.2.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제시
김제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건식(李建植)18,3632위
28.89%낙선
2장성원(張誠源)32,0601위
50.44%당선
3조병인(趙炳仁)1,2925위
2.03%낙선
4오남성(吳南星)4757위
0.74%낙선
5이창렬(李昌烈)5,2773위
8.30%낙선
6나경균(羅庚均)1,2486위
1.96%낙선
7최락도(崔洛道)4,8414위
7.61%낙선
선거인 수92,674투표율
70.35%
투표 수65,195
무효표 수1,639

부안군
부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고명승(高明昇)16,5392위
39.34%낙선
2김진배(金珍培)22,3001위
53.04%당선
3김일범(金一凡)6893위
1.63%낙선
4김연술(金演述)3154위
0.74%낙선
5김종국(金種國)1,4454위
3.43%낙선
6조민구(趙敏究)7494위
1.78%낙선
선거인 수59,824투표율
72.69%
투표 수43,488
무효표 수1,451

2.3. 김제시, 고창군·부안군 (16대)[편집]



2.3.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제시
김제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나경균(羅庚均)1,1326위
1.90%낙선
2장성원(張誠源)26,0161위
43.80%당선
3오민수(吳敏秀)1,4287위
2.40%낙선
4오남성(吳南星)8422위
1.41%낙선
5이건식(李建植)22,7182위
38.25%낙선
6임홍종(任洪鍾)1,7794위
2.99%낙선
7최락도(崔洛道)5,4743위
9.21%낙선
선거인 수88,516투표율
68.13%
투표 수60,306
무효표 수917

고창군·부안군
고창군, 부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백용(李伯龍)2,2885위
3.17%낙선
2정균환(鄭均桓)50,8731위
70.63%당선
3김손(金孫)2,8784위
3.99%낙선
4김경민(金京旼)8,2412위
11.44%낙선
5김종엽(金鍾葉)5,8973위
8.18%낙선
6오인석(吳寅錫)1,8496위
2.56%낙선
선거인 수114,266투표율
64.32%
투표 수73,491
무효표 수1,465

2.4. 김제시·완주군, 고창군·부안군 (17대~19대)[편집]



2.4.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제시·완주군
김제시, 완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오홍근(吳弘根)9,7473위
10.60%낙선
3최규성(崔圭成)46,8741위
51.01%당선
4하연호(河然鎬)8,2484위
8.97%낙선
5곽태석(郭台錫)4939위
0.53%낙선
6국중호(鞠重皓)6,8585위
7.46%낙선
7김대식(金大植)5697위
0.61%낙선
8김영후(金榮候)9116위
0.99%낙선
9김홍곤(金虹坤)5448위
0.59%낙선
10이건식(李建植)17,6422위
19.19%낙선
선거인 수149,298투표율
62.60%
투표 수93,457
무효표 수1,571

고창군·부안군
고창군, 부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준(金埈)1,2215위
1.89%낙선
2정균환(鄭均桓)19,2042위
29.85%낙선
3김춘진(金椿鎭)23,3281위
36.26%당선
4김영두(金榮斗)5637위
0.87%낙선
5김경민(金京旼)10,5753위
16.43%낙선
6김옥현(金玉鉉)1,0916위
1.69%낙선
7김주섭(金柱燮)7,7874위
12.10%낙선
8조민구(趙敏究)5628위
0.87%낙선
선거인 수106,145투표율
61.81%
투표 수65,607
무효표 수1,276

2.4.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제시·완주군
김제시, 완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규성(崔圭成)37,1661위
53.69%당선
2정영환(鄭永煥)5,8243위
8.41%낙선
4하연호(河然鎬)5,0324위
7.26%낙선
6이윤형(李尹炯)1,4966위
2.16%낙선
7이돈승(李敦承)16,8022위
24.27%낙선
8이종석(李鍾錫)9777위
1.41%낙선
9최상현(崔相현)1,9245위
2.77%낙선
선거인 수145,495투표율
48.36%
투표 수70,360
무효표 수1,139

고창군·부안군
고창군, 부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춘진(金椿鎭)35,6621위
77.41%당선
2김종훈(金鍾勳)6,5712위
14.26%낙선
6서동주(徐東柱)3,8333위
8.32%낙선
선거인 수100,245투표율
47.18%
투표 수47,292
무효표 수1,226

2.4.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제시·완주군
김제시, 완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영환(鄭永煥)6,2213위
8.18%낙선
2최규성(崔圭成)41,7571위
54.95%당선
6이남기(李南基)28,0092위
36.86%낙선
선거인 수145,301투표율
53.34%
투표 수77,497
무효표 수1,510

고창군·부안군
고창군, 부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춘진(金椿鎭)23,0971위
39.34%당선
6김만균(金萬均)15,7823위
26.88%낙선
7김종규(金宗奎)19,8192위
33.76%낙선
선거인 수99,797투표율
60.23%
투표 수60,108
무효표 수1,410

2.5. 김제시·부안군 (20대~현재)[편집]



2.5.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제시·부안군
김제시[김제], 부안군 일원[부안]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효성(金孝晟)3,3354위
4.34%낙선
2김춘진(金椿鎭)32,9362위
42.93%낙선
3김종회(金鍾懷)35,2601위
45.96%당선
4강상구(姜相求)5,1763위
6.74%낙선
선거인 수124,808투표율
62.36%
투표 수77,829
무효표 수1,122

서로 상대 지역의 후보도 모르던 상태에서 갑자기 한 지역구로 합쳐지게 된 관계로 선거는 철저히 소지역주의 양상으로 흘러갔고, 결과적으로 부안군 출신인 김춘진 후보가 부안군에서 60%가 넘는 표를 받았으나 김제시 출신인 김종회 후보가 인구가 1.5배 정도 더 많은 김제시에서 55%가 넘게 표를 받아 최종적으로는 김종회 후보가 당선되었다.

2.5.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제시·부안군
김제시 일원[김제], 부안군 일원[부안]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원택(李源澤)51,9811위
66.68%당선
3김경민(金京旼)4,1683위
5.35%낙선
7박정요(朴炡曜)6454위
0.83%낙선
8김종회(金鍾懷)21,1622위
27.15%낙선
선거인 수121,369투표율
65.53%
투표 수79,528
무효표 수1,572

[전라북도 김제시·부안군 읍면동별 개표 결과 보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김제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김제시·부안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격차투표율
후보이원택김종회(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1,224
(64.96%)
15,213
(31.65%)
+ 16,011
(△33.31)
48,983
(66.13%)
요촌동63.58%33.47%△30.1162.70%
신풍동65.74%31.45%△34.2961.42%
검산동66.51%30.51%△35.9963.96%
교월동63.28%33.44%△29.8463.05%
만경읍60.26%37.05%△23.2169.01%
죽산면50.89%46.20%△4.6963.84%
백산면61.53%35.86%△25.6762.89%
용지면66.31%30.28%△36.0462.99%
백구면[1]81.51%15.50%△66.0164.09%
부량면61.96%35.29%△26.6766.63%
공덕면71.77%24.51%△47.2663.46%
청하면63.85%32.44%△31.4069.16%
성덕면[2]42.82%55.06%▼12.2464.65%
진봉면51.50%45.91%△5.6063.86%
금구면72.88%23.14%△49.7562.61%
봉남면59.06%37.21%△21.8465.14%
황산면55.50%41.80%△13.6969.74%
금산면65.64%31.08%△34.5564.15%
광활면58.81%39.29%△19.5266.99%
후보이원택김종회격차
거소·선상투표62.82%23.29%△39.53
관외사전투표72.17%22.22%△49.96
재외투표68.57%17.14%△51.43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부안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김제시·부안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격차투표율
후보이원택김종회(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0,757
(69.43%)
5,949
(19.89%)
+ 14,808
(△49.53)
30,545
(64.57%)
부안읍68.39%19.29%△49.1060.49%
주산면68.90%21.68%△47.2263.34%
동진면69.70%20.35%△49.3458.52%
행안면64.93%21.66%△43.2769.64%
계화면67.18%25.56%△41.6363.61%
보안면69.87%19.71%△50.1560.87%
변산면73.24%18.61%△54.6360.97%
진서면70.71%19.17%△51.5464.63%
백산면69.78%21.27%△48.5163.41%
상서면60.04%24.06%△35.9863.54%
하서면67.93%20.19%△47.7460.38%
줄포면75.21%17.42%△57.7963.42%
위도면68.12%27.51%△40.6064.19%
후보이원택김종회격차
거소·선상투표69.75%12.68%16.09%△53.66
관외사전투표74.76%9.35%15.14%△59.63
재외투표72.22%11.11%16.66%△55.56
[1] 이원택 후보의 고향.[2] 김종회 후보의 고향.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4+1 협의체는 이 선거구를 선거구 획정 인구의 하한으로 삼자고 주장하고 있고, 자유한국당동두천시·연천군을 하한으로 삼자고 주장했다. 만약 후자를 택해서 이 선거구가 사라질 경우 김제시+완무진 / 정읍시+완무진장 / 정읍시+남임순 등 전라북도 내에서 생활권을 완전히 무시한 게리맨더링 선거구가 나올 수밖에 없고, 전자를 택해 이 선거구를 유지한다면 수도권 선거구를 줄여야 하기 때문에[1] 수도권 지역들의 인구 대비 의석 손해가 커져 해당 지역의 불만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최종 선거구 획정 결과 김제시·부안군 선거구는 이번 국회의원 선거까지는 유지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이때는 더불어민주당에서도 김제시 출신의 이원택 후보를 공천한 관계로 앞선 선거에서 벌어진 소지역주의는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되었고, 그 결과 이원택 후보가 66.68%의 득표율로 지역구 현역 의원이었던 무소속 김종회 후보를 압도적인 차이로 누르고 지역구를 탈환했다. 민생당이 별도 공천한 김경민 후보의 득표율을 합쳐도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후보의 상대가 되지 않았다.

2.5.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제시·부안군
김제시 일원[김제], 부안군 일원[부안]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김제] A B C 요촌동, 신풍동, 검산동, 교월동 (舊 김제시).
만경읍, 죽산면, 백산면, 용지면, 백구면, 부량면, 공덕면, 청하면, 성덕면, 진봉면, 금구면, 봉남면, 황산면, 금산면, 광활면 (舊 김제군).
[부안] A B C 부안읍, 주산면, 동진면, 행안면, 계화면, 보안면, 변산면, 진서면, 백산면, 상서면, 하서면, 줄포면, 위도면.[1] 진즉에 합구가 확실한 군포시 외에 강남구, 노원구, 안산시 등에서 추가적으로 선거구가 감축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