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익산시 갑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익산시 갑.svg
선거인 수118,769명 (2020)
상위 행정구역전라북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익산시 일부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인화동, 마동, 신동, 함열읍, 오산면, 망성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신설년도2004년
이전 선거구익산시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수흥



1. 개요[편집]


과거 소선거구제 하에서 이리시, 익산군 각각 선거구를 운영하다가 두 기초자치단체가 통합하며 익산시 갑/을 선거구로 개편된다.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때 한차례 선거구가 통합돼 단일 선거구로 운용된 것을 제외하면 익산시는 항상 둘로 분구되어 선거를 치러 왔다.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김수흥 의원이다.

대체로 서부 지역이며 익산시 을 선거구보다는 보수적인 편인데, 이는 이 지역이 구도심 지역 일대와 충청도와 가까운 읍면 지역을 관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곳에서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새누리당 후보가 16.12%를 득표하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하지만 민주당계 정당 지지율도 익산시 을 지역구보다 높다. 참으로 아이러니한 현상...[1]

익산시 자체의 인구도 단일 선거구 상한선(=분구 가능선)에 점점 근접해지고 있는데, 마침 옆의 김제시·부안군 역시 하한 아래로 내려간 상태라, 다음 선거에선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생긴 특례 조항을 활용해 익산시·김제시 갑/을로 재편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어디까지나 가정일뿐 만일 특례 조항이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결정이 나면 익산시는 인구상한선에 미치지 못할경우 단일선거구로 갈 가능성이 크다. 현재 강원특별자치도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그리고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의 해당 지역의 시민단체와 출마자들이 헌법소원을 제기한 상황이라 만일 위헌으로 나올 경우 익산시·김제시 갑/을 선거구 구성을 할 수 없게 된다.

2. 선거구 조정의 역사[편집]


익산시 갑(개편 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익산시 갑(개편 후, 현재)
파일:국회선거구 익산시 갑(2004).svg
파일:국회선거구 익산시 갑.svg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13대이협
ta-hash-start=w-9a8037191dbb195a2ffbc542a11dde67[[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이리시
김득수익산군
14대이협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이리시
최재승익산군
15대
ta-hash-start=w-6849aaba1d7e7f3b3e5442f5c22a467d[[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익산시 갑
16대이협
ta-hash-start=w-b0c39bf7cbbde7f4bcc22713df712483[[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익산시
17대한병도
ta-hash-start=w-f3be427f0ac1afb683a16c324f740515[[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익산시 갑
18대이춘석
ta-hash-start=w-4d1fd4b589745096b8321182e40d0f42[[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ta-hash-start=w-86773a39ba758c892d3fa03b2e3cf711[[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0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김수흥2020년 5월 30일 ~ 현재
22대

3.1. 이리시, 익산군 (13대, 14대)[편집]



3.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이리시
이리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공천섭(孔千燮)[2]25,626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28.74%낙선
2김병국(金炳國)1,7083위

ta-hash-start=w-6c6d15562b486b1d1256f567ffb6fd11[[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1%낙선
3이협(李協)61,3691위

ta-hash-start=w-b0bf8b3daf61246d13276dc8dcdfb87d[[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68.84%당선
4박경철(朴慶澈)4354위

ta-hash-start=w-917f17663ee2593e15670e504dad5c29[[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0.48%낙선
선거인 수109,921투표율
81.81%
투표 수89,930
무효표 수792

익산군
익산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남조(趙南照)22,919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6.43%낙선
2김득수(金得洙)24,4211위

ta-hash-start=w-279b369266fbc65a0f271fe465b9e8e0[[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38.82%당선
3이승홍(李承弘)12,3413위

ta-hash-start=w-ad00c9a46ebb616c7f29b962553d488e[[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19.61%낙선
4조성준(趙成濬)5685위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0.90%낙선
5오승엽(吳承燁)2,6534위

무소속

4.21%낙선
선거인 수79,649투표율
80.01%
투표 수63,728
무효표 수826

3.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이리시
이리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공천섭(孔千燮)24,3482위
26.41%낙선
2이협(李協)61,1001위
66.28%당선
3김득수(金得洙)6266위
0.67%낙선
4손인범(孫仁范)1,5324위
1.66%낙선
5박경철(朴慶澈)3,7083위
4.02%낙선
6정창기(鄭昌基)8635위
0.93%낙선
선거인 수126,515투표율
73.57%
투표 수93,083
무효표 수906

익산군
익산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남조(趙南熙)23,6762위
41.37%낙선
2최재승(崔在昇)31,0461위
54.24%당선
3류재석(柳在石)1,6313위
2.84%낙선
4오승엽(吳承燁)8764위
1.53%낙선
선거인 수73,694투표율
78.73%
투표 수58,017
무효표 수788

3.2. 익산시 갑 (15대)[편집]



3.2.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익산시 갑
함열읍, 오산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창인동, 중앙동, 평화동, 남중1가동, 남중2가동, 모현동, 송학동, 본천동, 계문동, 신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남조(趙南照)22,9182위
32.83%낙선
2최재승(崔在昇)43,6541위
62.55%당선
3손인범(孫仁范)1,5053위
2.15%낙선
4김용관(金容寬)7165위
1.02%낙선
5김범태(金範泰)9954위
1.42%낙선
선거인 수102,923투표율
69.12%
투표 수71,145
무효표 수1,357

3.3. 익산시 (16대)[편집]



3.3.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익산시
익산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이철(申貳澈)5,4563위
4.42%낙선
2이협(李協)93,3431위
75.64%당선
3김용관(金容寬)3,1575위
2.55%낙선
4강익현(姜益鉉)11,6002위
9.40%낙선
5박종완(朴鍾完)2,6726위
2.16%낙선
6정재혁(鄭在爀)4,6564위
3.77%낙선
7황세연(黃世淵)2,5207위
2.04%낙선
선거인 수232,061투표율
53.75%
투표 수124,744
무효표 수1,340

3.4. 익산시 갑 (17대~현재)[편집]



3.4.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익산시 갑
함열읍, 오산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신동, 인화동, 마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최재승(崔在昇)16,2342위
25.46%낙선
3한병도(韓秉道)47,5271위
74.54%당선
선거인 수113,569투표율
57.46%
투표 수65,258
무효표 수1,497

3.4.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익산시 갑
함열읍, 오산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신동, 인화동, 마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춘석(李春錫)26,6101위
57.34%당선
2임석삼(任錫三)4,2813위
9.22%낙선
6이철재(李철宰)8854위
1.91%낙선
7강익현(姜益鉉)14,6342위
31.53%낙선
선거인 수109,569투표율
43.05%
투표 수47,169
무효표 수759


3.4.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익산시 갑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인화동, 마동, 신동, 함열읍, 오산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경안(金京安)8,6742위
16.12%낙선
2이춘석(李春錫)41,9411위
77.98%당선
6황세연(黃世淵)3,1693위
5.89%낙선
선거인 수113,407투표율
48.04%
투표 수54,480
무효표 수696


3.4.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익산시 갑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인화동, 마동, 신동, 함열읍, 오산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일(金榮一)6,7933위
9.61%낙선
2이춘석(李春錫)35,3191위
50.00%당선
3이한수(李漢洙)25,1382위
35.58%낙선
5전권희(全權熙)2,0584위
2.91%낙선
6황세연(黃世淵)1,3285위
1.88%낙선
선거인 수117,792투표율
60.98%
투표 수71,826
무효표 수1,190

이춘석 전 의원이 무난히 3선에 성공하였다. 당시 국민의당 후보로는 이한수 전 익산시장이 출마했지만, 선거법 위반 논란과 과거 익산시장 재임 시절의 부채 문제로 좋은 평을 받지 못하고 있었으며 결국 낙선하였는데, 전라북도에서 국민의당이 패배한 지역구 세 곳중 한 곳이 바로 익산시 갑 선거구이다.

다른 후보들은 인지도나 정당 지지율을 비교할 때 매우 성적이 좋지 못하였다.

이후 황세연 후보는 민주평화당에 입당했으나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진 못했다.

3.4.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익산시 갑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인화동, 마동, 신동, 함열읍, 오산면, 망성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수흥(金洙興)59,0431위
79.63%당선
2김경안(金京安)5,5133위
7.43%낙선
3고상진(高商晋)7,0572위
9.51%낙선
7전권희(全權熙)1,8904위
2.55%낙선
8최영수(崔永洙)6365위
0.86%낙선
선거인 수118,769투표율
63.36%
투표 수75,250
무효표 수1,111

[전라북도 익산시 갑 읍면동별 개표 결과 보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익산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익산시 갑)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ecb0b112f70f0f913a71e6808c533973[[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김수흥김경안고상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9,043
(79.63%)
5,513
(7.43%)
7,057
(9.51%)
+ 51,986
(△70.12)
75,250
(63.35%)
중앙동74.80%10.42%11.95%△62.8565.27%
평화동80.44%6.79%10.06%△70.3861.91%
인화동81.31%7.82%8.87%△72.4453.07%
마동80.74%7.21%9.06%△71.6858.89%
남중동76.81%9.48%11.16%△65.6560.41%
모현동80.25%6.12%11.21%△69.0463.60%
송학동81.09%5.46%11.41%△69.6866.45%
신동79.14%8.32%9.53%△69.6155.48%
함열읍79.81%7.83%7.77%△71.9962.04%
오산면81.51%5.32%10.50%△71.0157.11%
황등면82.20%6.59%7.78%△74.4259.03%
함라면80.41%6.09%7.14%△73.2763.90%
웅포면77.89%7.97%6.48%△69.9367.68%
성당면[1]86.57%6.76%2.80%△79.8162.85%
용안면77.13%8.52%4.51%△68.54[2]62.04%
망성면72.73%13.83%7.42%△58.9157.25%
용동면64.26%7.88%3.10%△40.40[3]65.50%
후보김수흥김경안고상진격차
거소·선상투표74.57%15.25%6.35%△59.32
관외사전투표80.65%8.24%7.60%△72.40
재외투표73.91%21.73%2.17%△52.17
[1] 김수흥 후보의 고향.[2] 지역구 2위는 민중당 전권희 후보(118표, 8.59%)이다.[3] 지역구 2위는 민중당 전권희 후보(215표, 23.86%)이다.


이춘석 전 의원을 당내 경선에서 이기고 최종 후보가 된 김수흥 후보가 79.63% 득표율로 압도적으로 당선되었다. 김수흥 후보가 기록한 득표율은 전국 253개 선거구 당선인 중 4번째로 가장 높은 득표율이며 전라북도 내 선거구 한정으로는 1위였다. 이로써 익산시 갑 선거구는 전라북도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세가 강한 지역이라는 것을 입증하게 되었다.

3.4.6.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익산시 갑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인화동, 마동, 신동, 함열읍, 오산면, 망성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 꼭 그렇다고는 볼 수 없는게 대도시에서 중소도시 및 농어촌으로 갈수록 거대 정당을 지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즉 정치 성향이 보수적인걸 떠나서 선호도 경향이 그렇게 양자택일에 가깝게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나오는 현상이다.[2] 쌍방울 사장.